노인 울리는 무면허 틀니 시술
입력 2001.06.0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노인들 가운데 상당수가 무면허 의료행위자에게 틀니를 시술받아서 오히려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치료비 차이는 크지 않지만 노인들은 이들의 감언이설에 속아 넘어가고 있습니다.
박에스더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가양동에 사는 올해 80살 배예심 할머니.
거동조차 힘든 할머니는 8년 전에 무면허 업자에게 시술받은 틀니가 툭하면 빠져 아예 빼놓고 지냅니다.
⊙배예심(80살): 끼고 밥 한번을 못 먹었어, 그렇게 빼고 먹었지, 처음부터.
어떻게 이빨 때문에 죽을 뻔 했는지...
⊙기자: 오맹순 할머니도 틀니를 낀 뒤로는 평소 좋아하던 비빔밥에 손도 대지 못합니다.
틀니가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맹순(76살): 너무 어려워 가지고 할 수 없어서 그거 하면 싸다고 해서 한 것이...
⊙기자: 한 치과대학에서 생활보호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틀니사용 노인의 43%가 무면허 의료업자에게 시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 노인들의 절반 가량은 잇몸이 자주 붓거나 턱관절을 앓고 있습니다.
틀니를 했다가 오히려 고생만 하는 셈입니다.
⊙권호근(연세대 예방의학과 교수): 무면허 치과의사한테 치료받는 것만은 삼가해 달라고 부탁을 하고 싶습니다.
그 분들이 치료받을 때 결과가 굉장히 안 좋고, 오히려 치아를 더 망가뜨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자: 무면허 업자의 틀니시술비는 평균 100만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만한 시술비면 치과의원의 치료비와 크게 차이가 없는데도 무면허 의료업자에게 속는 노인들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에스더입니다.
치료비 차이는 크지 않지만 노인들은 이들의 감언이설에 속아 넘어가고 있습니다.
박에스더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가양동에 사는 올해 80살 배예심 할머니.
거동조차 힘든 할머니는 8년 전에 무면허 업자에게 시술받은 틀니가 툭하면 빠져 아예 빼놓고 지냅니다.
⊙배예심(80살): 끼고 밥 한번을 못 먹었어, 그렇게 빼고 먹었지, 처음부터.
어떻게 이빨 때문에 죽을 뻔 했는지...
⊙기자: 오맹순 할머니도 틀니를 낀 뒤로는 평소 좋아하던 비빔밥에 손도 대지 못합니다.
틀니가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맹순(76살): 너무 어려워 가지고 할 수 없어서 그거 하면 싸다고 해서 한 것이...
⊙기자: 한 치과대학에서 생활보호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틀니사용 노인의 43%가 무면허 의료업자에게 시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 노인들의 절반 가량은 잇몸이 자주 붓거나 턱관절을 앓고 있습니다.
틀니를 했다가 오히려 고생만 하는 셈입니다.
⊙권호근(연세대 예방의학과 교수): 무면허 치과의사한테 치료받는 것만은 삼가해 달라고 부탁을 하고 싶습니다.
그 분들이 치료받을 때 결과가 굉장히 안 좋고, 오히려 치아를 더 망가뜨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자: 무면허 업자의 틀니시술비는 평균 100만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만한 시술비면 치과의원의 치료비와 크게 차이가 없는데도 무면허 의료업자에게 속는 노인들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에스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노인 울리는 무면허 틀니 시술
-
- 입력 2001-06-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노인들 가운데 상당수가 무면허 의료행위자에게 틀니를 시술받아서 오히려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치료비 차이는 크지 않지만 노인들은 이들의 감언이설에 속아 넘어가고 있습니다.
박에스더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가양동에 사는 올해 80살 배예심 할머니.
거동조차 힘든 할머니는 8년 전에 무면허 업자에게 시술받은 틀니가 툭하면 빠져 아예 빼놓고 지냅니다.
⊙배예심(80살): 끼고 밥 한번을 못 먹었어, 그렇게 빼고 먹었지, 처음부터.
어떻게 이빨 때문에 죽을 뻔 했는지...
⊙기자: 오맹순 할머니도 틀니를 낀 뒤로는 평소 좋아하던 비빔밥에 손도 대지 못합니다.
틀니가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맹순(76살): 너무 어려워 가지고 할 수 없어서 그거 하면 싸다고 해서 한 것이...
⊙기자: 한 치과대학에서 생활보호 노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틀니사용 노인의 43%가 무면허 의료업자에게 시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이 노인들의 절반 가량은 잇몸이 자주 붓거나 턱관절을 앓고 있습니다.
틀니를 했다가 오히려 고생만 하는 셈입니다.
⊙권호근(연세대 예방의학과 교수): 무면허 치과의사한테 치료받는 것만은 삼가해 달라고 부탁을 하고 싶습니다.
그 분들이 치료받을 때 결과가 굉장히 안 좋고, 오히려 치아를 더 망가뜨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자: 무면허 업자의 틀니시술비는 평균 100만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만한 시술비면 치과의원의 치료비와 크게 차이가 없는데도 무면허 의료업자에게 속는 노인들의 피해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박에스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