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일은 치아 건강에 관심을 갖자는 취지로 지정된 치아의 날입니다마는 4년째 논란만 거듭되고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수돗물 불소화를 둘러싼 논란이 그것입니다.
취재에 황상길 기자입니다.
⊙기자: 수돗물에 불소를 넣은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은 곳보다 충치발생이 30%가 적고 부작용도 없었다는 게 서울대 연구팀의 조사 결과입니다.
정부가 수돗물 불소화를 강력히 주장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여순상(보건복지부 구강보건과장): 치과진료비가 2조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정 재정과 국가재정에 엄청난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기자: 정부는 이에 따라 전국 600여 정수장 중 불소를 투입하는 곳을 지금의 38군데에서 48군데로 늘릴 계획입니다.
하지만 대상 자치단체 가운데 일부는 불소 투입을 망설이고 있습니다.
불소의 유해성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서울시가 불소는 해롭다며 극구 반대하고 있습니다.
⊙박수환(서울상수도사업본부 생산관리부장): 수질에서 유해무기물질로 분리돼 있는 물질들은 완전히 제거하는 게 최종 목표입니다.
⊙기자: 수돗물 불소화가 강제 의료행위냐 아니면 공공복리를 위한 것이냐도 쟁점입니다.
⊙심성구(불소화 20주년 조직위원장): 아직 논쟁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것을 일종의 강제 의료행위라고 할 수 있는 불소화를 추진하는 것은 인권의 차원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봅니다.
⊙임삼진(녹색연합 사무처장): 노동자, 농민, 도시서민 또 장애인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적습니다.
따라서 수돗물만 편하게 마시면 충치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4년을 끌어온 불소화 논쟁이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토론을 통한 사회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KBS뉴스 황상길입니다.
수돗물 불소화를 둘러싼 논란이 그것입니다.
취재에 황상길 기자입니다.
⊙기자: 수돗물에 불소를 넣은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은 곳보다 충치발생이 30%가 적고 부작용도 없었다는 게 서울대 연구팀의 조사 결과입니다.
정부가 수돗물 불소화를 강력히 주장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여순상(보건복지부 구강보건과장): 치과진료비가 2조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정 재정과 국가재정에 엄청난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기자: 정부는 이에 따라 전국 600여 정수장 중 불소를 투입하는 곳을 지금의 38군데에서 48군데로 늘릴 계획입니다.
하지만 대상 자치단체 가운데 일부는 불소 투입을 망설이고 있습니다.
불소의 유해성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서울시가 불소는 해롭다며 극구 반대하고 있습니다.
⊙박수환(서울상수도사업본부 생산관리부장): 수질에서 유해무기물질로 분리돼 있는 물질들은 완전히 제거하는 게 최종 목표입니다.
⊙기자: 수돗물 불소화가 강제 의료행위냐 아니면 공공복리를 위한 것이냐도 쟁점입니다.
⊙심성구(불소화 20주년 조직위원장): 아직 논쟁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것을 일종의 강제 의료행위라고 할 수 있는 불소화를 추진하는 것은 인권의 차원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봅니다.
⊙임삼진(녹색연합 사무처장): 노동자, 농민, 도시서민 또 장애인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적습니다.
따라서 수돗물만 편하게 마시면 충치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4년을 끌어온 불소화 논쟁이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토론을 통한 사회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KBS뉴스 황상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돗물 불소화 20년
-
- 입력 2001-06-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내일은 치아 건강에 관심을 갖자는 취지로 지정된 치아의 날입니다마는 4년째 논란만 거듭되고 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수돗물 불소화를 둘러싼 논란이 그것입니다.
취재에 황상길 기자입니다.
⊙기자: 수돗물에 불소를 넣은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은 곳보다 충치발생이 30%가 적고 부작용도 없었다는 게 서울대 연구팀의 조사 결과입니다.
정부가 수돗물 불소화를 강력히 주장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여순상(보건복지부 구강보건과장): 치과진료비가 2조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정 재정과 국가재정에 엄청난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기자: 정부는 이에 따라 전국 600여 정수장 중 불소를 투입하는 곳을 지금의 38군데에서 48군데로 늘릴 계획입니다.
하지만 대상 자치단체 가운데 일부는 불소 투입을 망설이고 있습니다.
불소의 유해성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아직도 계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서울시가 불소는 해롭다며 극구 반대하고 있습니다.
⊙박수환(서울상수도사업본부 생산관리부장): 수질에서 유해무기물질로 분리돼 있는 물질들은 완전히 제거하는 게 최종 목표입니다.
⊙기자: 수돗물 불소화가 강제 의료행위냐 아니면 공공복리를 위한 것이냐도 쟁점입니다.
⊙심성구(불소화 20주년 조직위원장): 아직 논쟁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것을 일종의 강제 의료행위라고 할 수 있는 불소화를 추진하는 것은 인권의 차원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봅니다.
⊙임삼진(녹색연합 사무처장): 노동자, 농민, 도시서민 또 장애인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적습니다.
따라서 수돗물만 편하게 마시면 충치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자: 4년을 끌어온 불소화 논쟁이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토론을 통한 사회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KBS뉴스 황상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