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프로야구 ‘무승부 논란’, 계속 된다!
입력 2010.01.12 (21:59) 수정 2010.01.12 (22:27) 뉴스 9
<앵커 멘트>
600만 관중 돌파를 바라보고 있는 프로야구는 지난해 무승부를 패배로 규정하는 승률제로 논란을 낳았는데요.
올시즌 역시 현행 제도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강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6월 광주에서 열린 SK와 기아의 경기.
연장 12회 말, 3루수 최정이 마운드에 섰고, 대신 투수 윤길현이 1루수를 맡습니다.
이런 해프닝은 무승부가 패배로 계산되는 규정때문입니다.
이 규정에 반대해온 SK 김성근 감독이 어차피 이길수 없는 경기에서 항의의 표시를 한겁니다.
일부의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KBO는 이사회를 열어 논란이 된 무승부 규정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터뷰>이상일(KBO 사무총장) : "무승부가 되면 양쪽 다 패배가 되기 때문에 어떻게든 승부를 보려는 양상으로 경기가 진행될 것이다."
무승부 규정은 무제한 연장전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해줬지만, 무승부와 패배를 똑같이 계산할 수 있느냐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선 여전히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인터뷰>박용택(LG) : "무승부가 패로 간주되는 스포츠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
<인터뷰>김경문(두산 감독) : "작년에 한 시즌 치르면서 아쉬운 부분도 있었지만 결정에 따르는게 맞다."
지난해에도 논란이 있었던 제도를 그대로 시행하기로 한 KBO의 결정이, 사상 처음 600만 관중 돌파을 노리는 프로야구 흥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팬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재훈입니다.
600만 관중 돌파를 바라보고 있는 프로야구는 지난해 무승부를 패배로 규정하는 승률제로 논란을 낳았는데요.
올시즌 역시 현행 제도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강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6월 광주에서 열린 SK와 기아의 경기.
연장 12회 말, 3루수 최정이 마운드에 섰고, 대신 투수 윤길현이 1루수를 맡습니다.
이런 해프닝은 무승부가 패배로 계산되는 규정때문입니다.
이 규정에 반대해온 SK 김성근 감독이 어차피 이길수 없는 경기에서 항의의 표시를 한겁니다.
일부의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KBO는 이사회를 열어 논란이 된 무승부 규정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터뷰>이상일(KBO 사무총장) : "무승부가 되면 양쪽 다 패배가 되기 때문에 어떻게든 승부를 보려는 양상으로 경기가 진행될 것이다."
무승부 규정은 무제한 연장전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해줬지만, 무승부와 패배를 똑같이 계산할 수 있느냐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선 여전히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인터뷰>박용택(LG) : "무승부가 패로 간주되는 스포츠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
<인터뷰>김경문(두산 감독) : "작년에 한 시즌 치르면서 아쉬운 부분도 있었지만 결정에 따르는게 맞다."
지난해에도 논란이 있었던 제도를 그대로 시행하기로 한 KBO의 결정이, 사상 처음 600만 관중 돌파을 노리는 프로야구 흥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팬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재훈입니다.
- 프로야구 ‘무승부 논란’, 계속 된다!
-
- 입력 2010-01-12 21:59:57
- 수정2010-01-12 22:27:19

<앵커 멘트>
600만 관중 돌파를 바라보고 있는 프로야구는 지난해 무승부를 패배로 규정하는 승률제로 논란을 낳았는데요.
올시즌 역시 현행 제도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강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6월 광주에서 열린 SK와 기아의 경기.
연장 12회 말, 3루수 최정이 마운드에 섰고, 대신 투수 윤길현이 1루수를 맡습니다.
이런 해프닝은 무승부가 패배로 계산되는 규정때문입니다.
이 규정에 반대해온 SK 김성근 감독이 어차피 이길수 없는 경기에서 항의의 표시를 한겁니다.
일부의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KBO는 이사회를 열어 논란이 된 무승부 규정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터뷰>이상일(KBO 사무총장) : "무승부가 되면 양쪽 다 패배가 되기 때문에 어떻게든 승부를 보려는 양상으로 경기가 진행될 것이다."
무승부 규정은 무제한 연장전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해줬지만, 무승부와 패배를 똑같이 계산할 수 있느냐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선 여전히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인터뷰>박용택(LG) : "무승부가 패로 간주되는 스포츠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
<인터뷰>김경문(두산 감독) : "작년에 한 시즌 치르면서 아쉬운 부분도 있었지만 결정에 따르는게 맞다."
지난해에도 논란이 있었던 제도를 그대로 시행하기로 한 KBO의 결정이, 사상 처음 600만 관중 돌파을 노리는 프로야구 흥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팬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재훈입니다.
600만 관중 돌파를 바라보고 있는 프로야구는 지난해 무승부를 패배로 규정하는 승률제로 논란을 낳았는데요.
올시즌 역시 현행 제도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강재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6월 광주에서 열린 SK와 기아의 경기.
연장 12회 말, 3루수 최정이 마운드에 섰고, 대신 투수 윤길현이 1루수를 맡습니다.
이런 해프닝은 무승부가 패배로 계산되는 규정때문입니다.
이 규정에 반대해온 SK 김성근 감독이 어차피 이길수 없는 경기에서 항의의 표시를 한겁니다.
일부의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KBO는 이사회를 열어 논란이 된 무승부 규정을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터뷰>이상일(KBO 사무총장) : "무승부가 되면 양쪽 다 패배가 되기 때문에 어떻게든 승부를 보려는 양상으로 경기가 진행될 것이다."
무승부 규정은 무제한 연장전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해줬지만, 무승부와 패배를 똑같이 계산할 수 있느냐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선 여전히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인터뷰>박용택(LG) : "무승부가 패로 간주되는 스포츠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
<인터뷰>김경문(두산 감독) : "작년에 한 시즌 치르면서 아쉬운 부분도 있었지만 결정에 따르는게 맞다."
지난해에도 논란이 있었던 제도를 그대로 시행하기로 한 KBO의 결정이, 사상 처음 600만 관중 돌파을 노리는 프로야구 흥행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팬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재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강재훈 기자 bahn@kbs.co.kr
강재훈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