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지난해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이들, 바로 영세한 자영업자들입니다.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는데, 폐업하고 나면 마땅한 다른 일자리도 없습니다.
김태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영달 씨는 최근 11년 동안이나 운영해 온 식당 문을 닫았습니다.
경기 침체로 매출이 뚝 떨어져,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게를 인수할 사람도 없어 월세만 꼬박꼬박 내고 있습니다.
<인터뷰>조영달(폐업 자영업자) : "임대료 지금 감당할 수 없어요. 옛날 벌었던 것....수입갖고 저축가지고 계속 임대료 나가는 중이죠."
문닫은 업체의 집기를 사고파는 중고시장엔 새것이나 다름없는 물건들이 수북이 쌓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영업자는 지난해 현재 571만 천 명, 1년 전보다 25만 9천 명이나 줄었습니다.
11년 만의 최대 감소폭입니다.
그만큼 영세 자영업자들이 이번 경기 침체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는 뜻입니다.
물론 지금도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의 비율이 24%로 너무 많아, 좀 더 줄여야 한다는 지적 또한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자영업의 급격한 몰락은 사회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교육 컨설팅 지원을 강화하고 협업화를 추진하는 등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영업자 대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지난해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이들, 바로 영세한 자영업자들입니다.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는데, 폐업하고 나면 마땅한 다른 일자리도 없습니다.
김태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영달 씨는 최근 11년 동안이나 운영해 온 식당 문을 닫았습니다.
경기 침체로 매출이 뚝 떨어져,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게를 인수할 사람도 없어 월세만 꼬박꼬박 내고 있습니다.
<인터뷰>조영달(폐업 자영업자) : "임대료 지금 감당할 수 없어요. 옛날 벌었던 것....수입갖고 저축가지고 계속 임대료 나가는 중이죠."
문닫은 업체의 집기를 사고파는 중고시장엔 새것이나 다름없는 물건들이 수북이 쌓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영업자는 지난해 현재 571만 천 명, 1년 전보다 25만 9천 명이나 줄었습니다.
11년 만의 최대 감소폭입니다.
그만큼 영세 자영업자들이 이번 경기 침체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는 뜻입니다.
물론 지금도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의 비율이 24%로 너무 많아, 좀 더 줄여야 한다는 지적 또한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자영업의 급격한 몰락은 사회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교육 컨설팅 지원을 강화하고 협업화를 추진하는 등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영업자 대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기의 자영업자…어디로?
-
- 입력 2010-01-19 08:02:46

<앵커 멘트>
지난해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은 이들, 바로 영세한 자영업자들입니다.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었는데, 폐업하고 나면 마땅한 다른 일자리도 없습니다.
김태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영달 씨는 최근 11년 동안이나 운영해 온 식당 문을 닫았습니다.
경기 침체로 매출이 뚝 떨어져,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상황이 됐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게를 인수할 사람도 없어 월세만 꼬박꼬박 내고 있습니다.
<인터뷰>조영달(폐업 자영업자) : "임대료 지금 감당할 수 없어요. 옛날 벌었던 것....수입갖고 저축가지고 계속 임대료 나가는 중이죠."
문닫은 업체의 집기를 사고파는 중고시장엔 새것이나 다름없는 물건들이 수북이 쌓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영업자는 지난해 현재 571만 천 명, 1년 전보다 25만 9천 명이나 줄었습니다.
11년 만의 최대 감소폭입니다.
그만큼 영세 자영업자들이 이번 경기 침체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는 뜻입니다.
물론 지금도 취업자 가운데 자영업자의 비율이 24%로 너무 많아, 좀 더 줄여야 한다는 지적 또한 없지 않습니다.
그러나 자영업의 급격한 몰락은 사회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교육 컨설팅 지원을 강화하고 협업화를 추진하는 등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영업자 대책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김태욱입니다.
-
-
김태욱 기자 twkim@kbs.co.kr
김태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