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언제 다시 재개되나
입력 2001.06.13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은 김대중 대통령이 분단 사상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해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난 지 꼭 1년 되는 날입니다.
그로 인해 이산가족 상봉의 물꼬는 트였지만 상봉의 정례화라는 숙제는 아직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현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85년 이후 처음으로 열렸던 이산가족 상봉의 문은 그러나 지난 2월 3차 상봉을 마지막으로 다시 닫혀버렸습니다.
⊙이형화(96살/이산가족): 지금이라도 (남북간에) 얘기가 있으면 혹여 갈 수 있겠구나 기대하겠지만 3차 상봉 지나고 소식이 감감하잖아요.
⊙기자: 이산가족들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현재의 상봉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정구관(73살/이산가족): 이런 식으로 해서는 10년 걸려도 아까 말씀드렸지만 10년 걸려도 다 못 해요.
그러니까 집단적인 면회시설을 해서 집단적으로 면회를 하든지...
⊙기자: 상봉재개와 면회소설치는 결국 2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려야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당국자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한적십자측은 인도적 차원의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보고 대북 설득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병웅(대한적십자사 총재 특보): 거의 매일 북한 적십자 요원들하고 접촉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도 이산가족 문제가 빨리 풀도록 그렇게 저희들이 지금 계속 촉구를 하고 있는 그런 사항입니다.
⊙기자: 세월은 너무 빠르고 만나야 할 이산가족은 너무 많습니다.
상설화, 정례화된 상봉을 위한 이산가족 면회소가 하루빨리 설치돼야 한다는 것이 이산가족들의 한결 같은 바람입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그로 인해 이산가족 상봉의 물꼬는 트였지만 상봉의 정례화라는 숙제는 아직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현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85년 이후 처음으로 열렸던 이산가족 상봉의 문은 그러나 지난 2월 3차 상봉을 마지막으로 다시 닫혀버렸습니다.
⊙이형화(96살/이산가족): 지금이라도 (남북간에) 얘기가 있으면 혹여 갈 수 있겠구나 기대하겠지만 3차 상봉 지나고 소식이 감감하잖아요.
⊙기자: 이산가족들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현재의 상봉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정구관(73살/이산가족): 이런 식으로 해서는 10년 걸려도 아까 말씀드렸지만 10년 걸려도 다 못 해요.
그러니까 집단적인 면회시설을 해서 집단적으로 면회를 하든지...
⊙기자: 상봉재개와 면회소설치는 결국 2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려야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당국자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한적십자측은 인도적 차원의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보고 대북 설득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병웅(대한적십자사 총재 특보): 거의 매일 북한 적십자 요원들하고 접촉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도 이산가족 문제가 빨리 풀도록 그렇게 저희들이 지금 계속 촉구를 하고 있는 그런 사항입니다.
⊙기자: 세월은 너무 빠르고 만나야 할 이산가족은 너무 많습니다.
상설화, 정례화된 상봉을 위한 이산가족 면회소가 하루빨리 설치돼야 한다는 것이 이산가족들의 한결 같은 바람입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산가족 상봉 언제 다시 재개되나
-
- 입력 2001-06-13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오늘은 김대중 대통령이 분단 사상 처음으로 북한을 방문해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난 지 꼭 1년 되는 날입니다.
그로 인해 이산가족 상봉의 물꼬는 트였지만 상봉의 정례화라는 숙제는 아직 풀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현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85년 이후 처음으로 열렸던 이산가족 상봉의 문은 그러나 지난 2월 3차 상봉을 마지막으로 다시 닫혀버렸습니다.
⊙이형화(96살/이산가족): 지금이라도 (남북간에) 얘기가 있으면 혹여 갈 수 있겠구나 기대하겠지만 3차 상봉 지나고 소식이 감감하잖아요.
⊙기자: 이산가족들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현재의 상봉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정구관(73살/이산가족): 이런 식으로 해서는 10년 걸려도 아까 말씀드렸지만 10년 걸려도 다 못 해요.
그러니까 집단적인 면회시설을 해서 집단적으로 면회를 하든지...
⊙기자: 상봉재개와 면회소설치는 결국 2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려야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당국자들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한적십자측은 인도적 차원의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고 보고 대북 설득작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병웅(대한적십자사 총재 특보): 거의 매일 북한 적십자 요원들하고 접촉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도 이산가족 문제가 빨리 풀도록 그렇게 저희들이 지금 계속 촉구를 하고 있는 그런 사항입니다.
⊙기자: 세월은 너무 빠르고 만나야 할 이산가족은 너무 많습니다.
상설화, 정례화된 상봉을 위한 이산가족 면회소가 하루빨리 설치돼야 한다는 것이 이산가족들의 한결 같은 바람입니다.
KBS뉴스 조현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