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폭설후 첫 출근…최악의 교통난
입력 2010.02.13 (07:39) 뉴스광장
<앵커 커피>
폭설로 나흘간 문을 닫았던 미 연방정부와 각 기관들이 정상업무에 복귀했습니다.
그러나 제설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데다 전철 탈선사고까지 겹치면서 교통난 등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이춘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폭설로 문을 닫았던 미 연방정부 공무원 23만명이 닷새만에 업무에 복귀했습니다.
각 기업체와 상가들도 정상 영업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제설작업이 끝나지 않은 도로위로 한꺼번에 차량이 쏟아지면서 출근시간이 서너배가 더 걸리는 등 극심한 교통정체가 오후까지 이어졌습니다.
연방정부가 업무시작을 2시간이나 늦췄지만 지각 사태가 속출했습니다.
<녹취> 빈센트 브라운(주민) : "버스도 안 다녀서 지하철역까지 2.5km 지금 걸었는데 지금 늦었어요."
여기에 지난해 6월 충돌사고로 9명이 숨졌던 워싱턴 지하철 노선에서 오늘 또다시 전동차 6량이 탈선했습니다.
이 사고로 3명이 다치는데 그쳤지만 출근길 승객 340명이 한시간 반동안 지하에 갇히고 주변도로가 차단되는 등 내 교통이 혼란에 빠졌습니다.
<녹취> 한나 메이어(승객) : "사람들이 당황해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도 못하고 완전히 혼란 그 자체였어요."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미시시피 등 남부 6개주에 35cm에 이르는 폭설이 내려 관공서와 학교가 문을 닫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유례없는 눈과의 전쟁을 치르면서 미국 정치권에서는 지구 온난화 이론이 타당한 것인지 논쟁까지 일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춘호입니다.
폭설로 나흘간 문을 닫았던 미 연방정부와 각 기관들이 정상업무에 복귀했습니다.
그러나 제설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데다 전철 탈선사고까지 겹치면서 교통난 등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이춘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폭설로 문을 닫았던 미 연방정부 공무원 23만명이 닷새만에 업무에 복귀했습니다.
각 기업체와 상가들도 정상 영업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제설작업이 끝나지 않은 도로위로 한꺼번에 차량이 쏟아지면서 출근시간이 서너배가 더 걸리는 등 극심한 교통정체가 오후까지 이어졌습니다.
연방정부가 업무시작을 2시간이나 늦췄지만 지각 사태가 속출했습니다.
<녹취> 빈센트 브라운(주민) : "버스도 안 다녀서 지하철역까지 2.5km 지금 걸었는데 지금 늦었어요."
여기에 지난해 6월 충돌사고로 9명이 숨졌던 워싱턴 지하철 노선에서 오늘 또다시 전동차 6량이 탈선했습니다.
이 사고로 3명이 다치는데 그쳤지만 출근길 승객 340명이 한시간 반동안 지하에 갇히고 주변도로가 차단되는 등 내 교통이 혼란에 빠졌습니다.
<녹취> 한나 메이어(승객) : "사람들이 당황해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도 못하고 완전히 혼란 그 자체였어요."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미시시피 등 남부 6개주에 35cm에 이르는 폭설이 내려 관공서와 학교가 문을 닫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유례없는 눈과의 전쟁을 치르면서 미국 정치권에서는 지구 온난화 이론이 타당한 것인지 논쟁까지 일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춘호입니다.
- 폭설후 첫 출근…최악의 교통난
-
- 입력 2010-02-13 07:39:34

<앵커 커피>
폭설로 나흘간 문을 닫았던 미 연방정부와 각 기관들이 정상업무에 복귀했습니다.
그러나 제설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데다 전철 탈선사고까지 겹치면서 교통난 등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이춘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폭설로 문을 닫았던 미 연방정부 공무원 23만명이 닷새만에 업무에 복귀했습니다.
각 기업체와 상가들도 정상 영업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제설작업이 끝나지 않은 도로위로 한꺼번에 차량이 쏟아지면서 출근시간이 서너배가 더 걸리는 등 극심한 교통정체가 오후까지 이어졌습니다.
연방정부가 업무시작을 2시간이나 늦췄지만 지각 사태가 속출했습니다.
<녹취> 빈센트 브라운(주민) : "버스도 안 다녀서 지하철역까지 2.5km 지금 걸었는데 지금 늦었어요."
여기에 지난해 6월 충돌사고로 9명이 숨졌던 워싱턴 지하철 노선에서 오늘 또다시 전동차 6량이 탈선했습니다.
이 사고로 3명이 다치는데 그쳤지만 출근길 승객 340명이 한시간 반동안 지하에 갇히고 주변도로가 차단되는 등 내 교통이 혼란에 빠졌습니다.
<녹취> 한나 메이어(승객) : "사람들이 당황해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도 못하고 완전히 혼란 그 자체였어요."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미시시피 등 남부 6개주에 35cm에 이르는 폭설이 내려 관공서와 학교가 문을 닫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유례없는 눈과의 전쟁을 치르면서 미국 정치권에서는 지구 온난화 이론이 타당한 것인지 논쟁까지 일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춘호입니다.
폭설로 나흘간 문을 닫았던 미 연방정부와 각 기관들이 정상업무에 복귀했습니다.
그러나 제설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데다 전철 탈선사고까지 겹치면서 교통난 등 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이춘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폭설로 문을 닫았던 미 연방정부 공무원 23만명이 닷새만에 업무에 복귀했습니다.
각 기업체와 상가들도 정상 영업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제설작업이 끝나지 않은 도로위로 한꺼번에 차량이 쏟아지면서 출근시간이 서너배가 더 걸리는 등 극심한 교통정체가 오후까지 이어졌습니다.
연방정부가 업무시작을 2시간이나 늦췄지만 지각 사태가 속출했습니다.
<녹취> 빈센트 브라운(주민) : "버스도 안 다녀서 지하철역까지 2.5km 지금 걸었는데 지금 늦었어요."
여기에 지난해 6월 충돌사고로 9명이 숨졌던 워싱턴 지하철 노선에서 오늘 또다시 전동차 6량이 탈선했습니다.
이 사고로 3명이 다치는데 그쳤지만 출근길 승객 340명이 한시간 반동안 지하에 갇히고 주변도로가 차단되는 등 내 교통이 혼란에 빠졌습니다.
<녹취> 한나 메이어(승객) : "사람들이 당황해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도 못하고 완전히 혼란 그 자체였어요."
이런 가운데 이번에는 미시시피 등 남부 6개주에 35cm에 이르는 폭설이 내려 관공서와 학교가 문을 닫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유례없는 눈과의 전쟁을 치르면서 미국 정치권에서는 지구 온난화 이론이 타당한 것인지 논쟁까지 일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춘호입니다.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춘호 기자 psh@kbs.co.kr
이춘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