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사람] 우리 전통 한식의 ‘맛과 멋’

입력 2010.02.13 (21:51) 수정 2010.02.13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설날엔 맛있는 음식이 넘쳐나는데, 떡국을 빼놓을 수 없겠죠.

설날아침 떡국을 먹는 의미 등을 우리 맛 지킴이들에게 들어봅니다.

문화와 사람, 한상덕 기자입니다.

<리포트>

갖가지 색깔과 다양한 식재료, 갖은 양념, 형형 색색의 고명을 얹은 한식은 곧 조화 그 자체입니다.

설음식의 가장 으뜸격인 흰 떡국.

멥쌀로 만든 흰떡을 길게 늘여 재산이 늘어 나라는 기원과 엽전 모양으로 둥글게 썰어 재화가 풍족하길 비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쇠고기 육수에 어슷하게 썬 가래 떡을 넣고 끓여 편육과 황백 지단으로 고명을 올려 내놓습니다.

설상차림에는 여기에다 약밥 식혜 떡 찜, 갈비찜 호박전이 들어갑니다.

<인터뷰> 윤숙자(한국전통음식연구소장) : "설날에 흰떡국을 먹는 이유는요. 여러가지 좋은 이유가 있어요. 새해를 맞아 복도 빌고..."

설 명절 손님들을 위한 다과상엔 오색 다식과 다복을 기원하는 복 주머니 떡을 비롯한 각양 각색의 떡들 그리고 식혜가 정성스레 차려집니다.

제대로 된 한식 알리기에 열정을 쏟고 있는 윤숙자씨는 화려한 이력을 자랑하는 우리 맛 지킴이 입니다.

그가 가르치는 요리 교실의 오늘의 음식 주제는 밤과 대추 생강을 이용한 율란 조란 강란 만들기입니다.

<인터뷰> 김옥순(경기도 고양시 화정동)

우리 민족의 전통 음식 떡국에 대한 기록은 동국세시기 정월 편에 등장합니다.

1849년 조선시대 학자 홍 석모는 떡을 돈같이 썰어 국을 끓여 먹는다고 세시풍속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설날에는 또 고사리 나물 무나물 생선전 호박전 등을 부쳐먹습니다.

모두가 재료와 요리 방법, 만드는 이의 정성이 함께 어우러져야 제맛을 내는 것입니다.

여기에다 오방 색의 고운 장식을 얹어 만든이의 숨결을 불어 넣습니다.

<인터뷰> 유옥희(전통 한식 연구가) : "한식은 신선한 재료는 물론 만든이의 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음식은 그 나라의 얼과 정신이 깃든 문화이기도 합니다.

만드는 이와 먹는 이의 마음이 들어있는 무형의 아름다움!

전통 한식이 한국 문화의 대표 코드인 이유입니다.

KBS 뉴스 한상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화와 사람] 우리 전통 한식의 ‘맛과 멋’
    • 입력 2010-02-13 21:51:38
    • 수정2010-02-13 22:06:55
    뉴스 9
<앵커 멘트> 설날엔 맛있는 음식이 넘쳐나는데, 떡국을 빼놓을 수 없겠죠. 설날아침 떡국을 먹는 의미 등을 우리 맛 지킴이들에게 들어봅니다. 문화와 사람, 한상덕 기자입니다. <리포트> 갖가지 색깔과 다양한 식재료, 갖은 양념, 형형 색색의 고명을 얹은 한식은 곧 조화 그 자체입니다. 설음식의 가장 으뜸격인 흰 떡국. 멥쌀로 만든 흰떡을 길게 늘여 재산이 늘어 나라는 기원과 엽전 모양으로 둥글게 썰어 재화가 풍족하길 비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쇠고기 육수에 어슷하게 썬 가래 떡을 넣고 끓여 편육과 황백 지단으로 고명을 올려 내놓습니다. 설상차림에는 여기에다 약밥 식혜 떡 찜, 갈비찜 호박전이 들어갑니다. <인터뷰> 윤숙자(한국전통음식연구소장) : "설날에 흰떡국을 먹는 이유는요. 여러가지 좋은 이유가 있어요. 새해를 맞아 복도 빌고..." 설 명절 손님들을 위한 다과상엔 오색 다식과 다복을 기원하는 복 주머니 떡을 비롯한 각양 각색의 떡들 그리고 식혜가 정성스레 차려집니다. 제대로 된 한식 알리기에 열정을 쏟고 있는 윤숙자씨는 화려한 이력을 자랑하는 우리 맛 지킴이 입니다. 그가 가르치는 요리 교실의 오늘의 음식 주제는 밤과 대추 생강을 이용한 율란 조란 강란 만들기입니다. <인터뷰> 김옥순(경기도 고양시 화정동) 우리 민족의 전통 음식 떡국에 대한 기록은 동국세시기 정월 편에 등장합니다. 1849년 조선시대 학자 홍 석모는 떡을 돈같이 썰어 국을 끓여 먹는다고 세시풍속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설날에는 또 고사리 나물 무나물 생선전 호박전 등을 부쳐먹습니다. 모두가 재료와 요리 방법, 만드는 이의 정성이 함께 어우러져야 제맛을 내는 것입니다. 여기에다 오방 색의 고운 장식을 얹어 만든이의 숨결을 불어 넣습니다. <인터뷰> 유옥희(전통 한식 연구가) : "한식은 신선한 재료는 물론 만든이의 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음식은 그 나라의 얼과 정신이 깃든 문화이기도 합니다. 만드는 이와 먹는 이의 마음이 들어있는 무형의 아름다움! 전통 한식이 한국 문화의 대표 코드인 이유입니다. KBS 뉴스 한상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