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에 기부금 강요한 대형병원 제재
입력 2010.03.18 (21:57)
수정 2010.03.19 (08: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형병원들이 제약회사로부터 막대한 기부금을 걷어 건물을 신축했습니다.
'강요'는 아니라는데.. 과연 돈 낸 쪽도 그렇게 생각했을까요.
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8년 완공된 가톨릭의료원 학생회관입니다.
400억 원에 가까운 공사비가 들어갔지만 절반 가까운 170억 원은 제약회사들이 냈습니다.
병원측이 기부금 명목으로 강요했기 때문입니다. 특촬>가톨릭 의료원의 내부 문건입니다.
건물을 지을 때 제약회사로부터 기부금을 어떤 방식으로 받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와 있습니다.
기부금을 받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까지 적어놨습니다.
<인터뷰>노태호(가톨릭대 성의교정 대외협력실장) : "저희는 강요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그러한 감정, 느낌을 가질 수도 있었겠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연세의료원도 병원을 지을 때 제약 회사들로부터 61억 원을 기부금 명목으로 받았습니다.
이들 병원에 돈을 낸 제약회사는 모두 13개 업체.
한 곳이 30억 원 가까이 낸 곳도 있습니다.
<녹취>제약업체 : "우리도 국민을 위해서 하니까 니들도 우리한테 이렇게 좋은 취지에 일을 하고 있으니까 기부금을 좀 내줘라."
공정위는 이들 두 병원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5억 5천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이밖에 서울대병원과 아주대의료원도 각각 4억 원 안팎의 기부금을 받아 병원 부지 매입과 건물 공사에 사용했다가 적발됐습니다.
KBS 뉴스 정정훈입니다.
대형병원들이 제약회사로부터 막대한 기부금을 걷어 건물을 신축했습니다.
'강요'는 아니라는데.. 과연 돈 낸 쪽도 그렇게 생각했을까요.
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8년 완공된 가톨릭의료원 학생회관입니다.
400억 원에 가까운 공사비가 들어갔지만 절반 가까운 170억 원은 제약회사들이 냈습니다.
병원측이 기부금 명목으로 강요했기 때문입니다. 특촬>가톨릭 의료원의 내부 문건입니다.
건물을 지을 때 제약회사로부터 기부금을 어떤 방식으로 받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와 있습니다.
기부금을 받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까지 적어놨습니다.
<인터뷰>노태호(가톨릭대 성의교정 대외협력실장) : "저희는 강요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그러한 감정, 느낌을 가질 수도 있었겠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연세의료원도 병원을 지을 때 제약 회사들로부터 61억 원을 기부금 명목으로 받았습니다.
이들 병원에 돈을 낸 제약회사는 모두 13개 업체.
한 곳이 30억 원 가까이 낸 곳도 있습니다.
<녹취>제약업체 : "우리도 국민을 위해서 하니까 니들도 우리한테 이렇게 좋은 취지에 일을 하고 있으니까 기부금을 좀 내줘라."
공정위는 이들 두 병원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5억 5천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이밖에 서울대병원과 아주대의료원도 각각 4억 원 안팎의 기부금을 받아 병원 부지 매입과 건물 공사에 사용했다가 적발됐습니다.
KBS 뉴스 정정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약사에 기부금 강요한 대형병원 제재
-
- 입력 2010-03-18 21:57:04
- 수정2010-03-19 08:58:06

<앵커 멘트>
대형병원들이 제약회사로부터 막대한 기부금을 걷어 건물을 신축했습니다.
'강요'는 아니라는데.. 과연 돈 낸 쪽도 그렇게 생각했을까요.
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8년 완공된 가톨릭의료원 학생회관입니다.
400억 원에 가까운 공사비가 들어갔지만 절반 가까운 170억 원은 제약회사들이 냈습니다.
병원측이 기부금 명목으로 강요했기 때문입니다. 특촬>가톨릭 의료원의 내부 문건입니다.
건물을 지을 때 제약회사로부터 기부금을 어떤 방식으로 받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와 있습니다.
기부금을 받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까지 적어놨습니다.
<인터뷰>노태호(가톨릭대 성의교정 대외협력실장) : "저희는 강요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그러한 감정, 느낌을 가질 수도 있었겠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연세의료원도 병원을 지을 때 제약 회사들로부터 61억 원을 기부금 명목으로 받았습니다.
이들 병원에 돈을 낸 제약회사는 모두 13개 업체.
한 곳이 30억 원 가까이 낸 곳도 있습니다.
<녹취>제약업체 : "우리도 국민을 위해서 하니까 니들도 우리한테 이렇게 좋은 취지에 일을 하고 있으니까 기부금을 좀 내줘라."
공정위는 이들 두 병원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5억 5천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이밖에 서울대병원과 아주대의료원도 각각 4억 원 안팎의 기부금을 받아 병원 부지 매입과 건물 공사에 사용했다가 적발됐습니다.
KBS 뉴스 정정훈입니다.
대형병원들이 제약회사로부터 막대한 기부금을 걷어 건물을 신축했습니다.
'강요'는 아니라는데.. 과연 돈 낸 쪽도 그렇게 생각했을까요.
정정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08년 완공된 가톨릭의료원 학생회관입니다.
400억 원에 가까운 공사비가 들어갔지만 절반 가까운 170억 원은 제약회사들이 냈습니다.
병원측이 기부금 명목으로 강요했기 때문입니다. 특촬>가톨릭 의료원의 내부 문건입니다.
건물을 지을 때 제약회사로부터 기부금을 어떤 방식으로 받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와 있습니다.
기부금을 받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까지 적어놨습니다.
<인터뷰>노태호(가톨릭대 성의교정 대외협력실장) : "저희는 강요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그러한 감정, 느낌을 가질 수도 있었겠다.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연세의료원도 병원을 지을 때 제약 회사들로부터 61억 원을 기부금 명목으로 받았습니다.
이들 병원에 돈을 낸 제약회사는 모두 13개 업체.
한 곳이 30억 원 가까이 낸 곳도 있습니다.
<녹취>제약업체 : "우리도 국민을 위해서 하니까 니들도 우리한테 이렇게 좋은 취지에 일을 하고 있으니까 기부금을 좀 내줘라."
공정위는 이들 두 병원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5억 5천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이밖에 서울대병원과 아주대의료원도 각각 4억 원 안팎의 기부금을 받아 병원 부지 매입과 건물 공사에 사용했다가 적발됐습니다.
KBS 뉴스 정정훈입니다.
-
-
정정훈 기자 jjh0209@kbs.co.kr
정정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