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뻥 뚫린’ 대잠 방어망
입력 2010.04.27 (20:33)
수정 2010.04.27 (20: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천안함을 침몰시킨 폭발물이 어뢰일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북한의 상어급 잠수함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당연히 철통같은 대잠 방어 능력이 있어야 하지만 우리 해군의 대잠 능력은 매우 취약한 상태입니다.
보도에 이영현기자입니다.
<리포트>
천안함 등 초계함 바닥에는 음파 탐지 장비 즉 소나가 설치돼 있습니다.
잠수함이나 어뢰 등 수중 무기를 탐지하는 유일한 장비입니다.
하지만 이 장비가 2km 전후의 수중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확률은 70% 수준 그나마 기상 상황이 나빠지면 이 확률은 더 떨어집니다.
<인터뷰> 김태영(국방부 장관/지난 2일) : "그날처럼 풍랑이 세서 다양한 잡음이 많은 상태에서는 경우에 따라 그것을 놓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고정식 음파탐지기는 20년 안팎된 오래된 장비입니다.
게다가 서해상에 배치된 초계함은 수상 전투용으로 만들어져 소나 외에 어뢰 경보 장치나 디코이 즉 어뢰 회피 장비 등도 전무합니다.
천안함 침몰 당일 북한의 잠수정 추정 물체의 행적도 제대로 파악되지 못했습니다.
2천년대 초부터 북한은 잠수함이나 어뢰 등 수중 무기 체계를 강화해 왔지만 우리 군은 이에 대한 대잠 방어는 소홀히 해왔습니다.
서해 지역은 수심이 얕아 잠수함 등 수중작전이 쉽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인터뷰>차두현(국방연구원 연구위원) : "정보들을 통합하고 융합하고 해석하는 이 공조 체제도 더 앞으로 업그레이드 시켜나가야 될거로 생각이 된다."
대양 해군으로 위상을 강화하면서 상대적으로 국지 도발이나 연안 방어 전력 보강에 신경쓰지 못한 것도 대잠 방어망이 취약한 또 다른 이유로 꼽힙니다.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천안함을 침몰시킨 폭발물이 어뢰일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북한의 상어급 잠수함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당연히 철통같은 대잠 방어 능력이 있어야 하지만 우리 해군의 대잠 능력은 매우 취약한 상태입니다.
보도에 이영현기자입니다.
<리포트>
천안함 등 초계함 바닥에는 음파 탐지 장비 즉 소나가 설치돼 있습니다.
잠수함이나 어뢰 등 수중 무기를 탐지하는 유일한 장비입니다.
하지만 이 장비가 2km 전후의 수중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확률은 70% 수준 그나마 기상 상황이 나빠지면 이 확률은 더 떨어집니다.
<인터뷰> 김태영(국방부 장관/지난 2일) : "그날처럼 풍랑이 세서 다양한 잡음이 많은 상태에서는 경우에 따라 그것을 놓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고정식 음파탐지기는 20년 안팎된 오래된 장비입니다.
게다가 서해상에 배치된 초계함은 수상 전투용으로 만들어져 소나 외에 어뢰 경보 장치나 디코이 즉 어뢰 회피 장비 등도 전무합니다.
천안함 침몰 당일 북한의 잠수정 추정 물체의 행적도 제대로 파악되지 못했습니다.
2천년대 초부터 북한은 잠수함이나 어뢰 등 수중 무기 체계를 강화해 왔지만 우리 군은 이에 대한 대잠 방어는 소홀히 해왔습니다.
서해 지역은 수심이 얕아 잠수함 등 수중작전이 쉽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인터뷰>차두현(국방연구원 연구위원) : "정보들을 통합하고 융합하고 해석하는 이 공조 체제도 더 앞으로 업그레이드 시켜나가야 될거로 생각이 된다."
대양 해군으로 위상을 강화하면서 상대적으로 국지 도발이나 연안 방어 전력 보강에 신경쓰지 못한 것도 대잠 방어망이 취약한 또 다른 이유로 꼽힙니다.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군, ‘뻥 뚫린’ 대잠 방어망
-
- 입력 2010-04-27 20:33:21
- 수정2010-04-27 20:59:21
<앵커 멘트>
천안함을 침몰시킨 폭발물이 어뢰일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북한의 상어급 잠수함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당연히 철통같은 대잠 방어 능력이 있어야 하지만 우리 해군의 대잠 능력은 매우 취약한 상태입니다.
보도에 이영현기자입니다.
<리포트>
천안함 등 초계함 바닥에는 음파 탐지 장비 즉 소나가 설치돼 있습니다.
잠수함이나 어뢰 등 수중 무기를 탐지하는 유일한 장비입니다.
하지만 이 장비가 2km 전후의 수중 물체를 탐지할 수 있는 확률은 70% 수준 그나마 기상 상황이 나빠지면 이 확률은 더 떨어집니다.
<인터뷰> 김태영(국방부 장관/지난 2일) : "그날처럼 풍랑이 세서 다양한 잡음이 많은 상태에서는 경우에 따라 그것을 놓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고정식 음파탐지기는 20년 안팎된 오래된 장비입니다.
게다가 서해상에 배치된 초계함은 수상 전투용으로 만들어져 소나 외에 어뢰 경보 장치나 디코이 즉 어뢰 회피 장비 등도 전무합니다.
천안함 침몰 당일 북한의 잠수정 추정 물체의 행적도 제대로 파악되지 못했습니다.
2천년대 초부터 북한은 잠수함이나 어뢰 등 수중 무기 체계를 강화해 왔지만 우리 군은 이에 대한 대잠 방어는 소홀히 해왔습니다.
서해 지역은 수심이 얕아 잠수함 등 수중작전이 쉽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인터뷰>차두현(국방연구원 연구위원) : "정보들을 통합하고 융합하고 해석하는 이 공조 체제도 더 앞으로 업그레이드 시켜나가야 될거로 생각이 된다."
대양 해군으로 위상을 강화하면서 상대적으로 국지 도발이나 연안 방어 전력 보강에 신경쓰지 못한 것도 대잠 방어망이 취약한 또 다른 이유로 꼽힙니다.
KBS 뉴스 이영현입니다.
-
-
이영현 기자 leeyoung@kbs.co.kr
이영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