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장기이식 관련법 개정안 의결

입력 2010.05.26 (22:10) 수정 2010.05.27 (23: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장기이식만 기다리는 환자들. 지금도 만 7천여명에 이릅니다.



오늘, 장기이식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단 반가운 소식이 들려 왔는데요.



먼저 어떻게 달라지는지 김나나 기자가 살펴 봤습니다.



<리포트>



간경화 말기로 간 기능을 완전히 잃은 이 환자에게 이제 남은 희망은 기증자가 나타나는 것뿐입니다.



이식을 신청해 놓은 지 2년이 됐지만 기증은 성사되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안모 씨(장기기증 신청자):"희망은 버리지 않고 있지만 가족들도 있고 매우 절박합니다."



이렇게 장기 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는 만 7천여 명, 하지만, 지난해 장기를 이식해 준 뇌사자는 261명 뿐이었습니다.



장기를 기증할 수 있는 잠재적 뇌사자는 한해 9천명 선으로 추정됩니다.



사정이 이렇자,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장기이식 관련법’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병원은 뇌사로 추정되는 환자를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또 가족 한 명만 동의해도 기증할 수 있게 하고 뇌사판정위원 수도 대폭 줄였습니다.



장기기증을 많이 늘려보겠다는 취지입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질문> 오늘 개정된 법은 1년 후부터 시행이 됩니다. 직접 취재한 기자와 함께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나나 기자! 장기이식을 원하는 사람은 아주 많았죠. 그런데 그동안은 어떤 게 걸림돌이었습니까?



<답변>



네, 앞서 보신 것처럼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은 정말 많습니다만 복잡한 절차가 큰 문제입니다.



또 가족들이 이식을 동의하기를 꺼리는 문화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식이 왜 어려운지, 오수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한해만도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겠다고 희망한 사람은 모두 20만명.



故 김수환 추기경이 각막을 기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전년에 비해 두 배 이상 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몇십 년 후에나 기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은 뇌사자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뇌사자 장기 이식은 가족들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오랜 유교사상 때문에 장기를 떼 주기가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전미경 (장기기증 코디네이터):"사람들 입방아에 오르지 않을까 고민하시고 장기기증을 했는데 돈이 없었냐 경제적으로 부족했냐 말 들어 상처를 받았다고..."



절차도 문제입니다.



병원에서 뇌사사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는데다 긴급히 이식 수술을 하려해도 뇌사 판정위원회를 소집하는데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김선희 (한국장기기증원 사무총장):"기증가가 있더라도 현황 파악하고, 정보 제공하고 교육하고 이런 시스템 자체가 전무했다."



이러다보니 뇌사자 장기 기증율은 100만명에 3명으로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습니다.



외국에서는 운전면허를 취득할 때 장기기증 의사를 밝히게 되고 병원에서의 이식 절차도 아주 간편합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질문> 결국 인식과 제도가 함께 변해야한다는 말인데 일단 이식만 하면 성공확률은 어떻게 돼죠?



<답변>



이식 성공률은 꽤 높습니다.



뇌사자 판정이 제 때 이뤄지기만 하면 1명의 뇌사자가 9명에게 새 생명을 줄 수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설명 보시겠습니다.



<리포트>



10대부터 앓아온 당뇨로 인해 췌장이 망가져 열흘 전에 췌장 이식을 받은 30대 남성입니다.



투석을 받으며 겨우 생명을 이어가다 4년을 기다린 끝에 뇌사자로부터 췌장을 기증받았습니다.



새 생명을 얻은 것입니다.



<인터뷰> 박웅호(췌장 이식 수혜자) : "말로 할 수 없을 정도로 고맙고 가족들이라도 만나면 감사합니다. 새삶을 주셔서 감사. 5월 15일부로 새로운 삶이 탄생했다고 생각."



뇌사자 판정이 신속히 이뤄지면 9개의 장기를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습니다.



각막과 폐, 콩팥은 각각 2개씩이죠. 그리고 심장과 간, 췌장까지, 모두 9명에게 새 빛이나 새 생명을 주는 것입니다.



이 밖에도 뇌사자로부터 소장과 혈관, 피부이식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생체를 그대로 이식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공률은 매우 높습니다.



심장과 간, 콩팥의 경우 이식 성공률은 90%가 넘습니다.



췌장과 각막은 80%대이고 폐 이식 성공률은 67% 정도입니다.



개정된 장기이식법이 시행되면 이식에 필요한 장기 부족현상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질문> 첫술에 배부르긴 힘들겠습니다만, 이번 법개정에 대한 평가는 일단 긍정적인 것 같아요?



<답변>



그렇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장기 기증이 지금보다 한 열 배 정도 늘어나고 절차도 대폭 간소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하종원(한국장기기증원 대표)



<인터뷰> 김순일(세브란스 장기이식센터장)



장기 이식을 좀더 활성화하는 제도적 틀을 만드는 작업은 이제 시작됐습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은 많은 사람들이 열린 마음으로 기증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겠다는 결심일 것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장기이식 관련법 개정안 의결
    • 입력 2010-05-26 22:10:30
    • 수정2010-05-27 23:00:25
    뉴스 9
<앵커 멘트>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장기이식만 기다리는 환자들. 지금도 만 7천여명에 이릅니다.

오늘, 장기이식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단 반가운 소식이 들려 왔는데요.

먼저 어떻게 달라지는지 김나나 기자가 살펴 봤습니다.

<리포트>

간경화 말기로 간 기능을 완전히 잃은 이 환자에게 이제 남은 희망은 기증자가 나타나는 것뿐입니다.

이식을 신청해 놓은 지 2년이 됐지만 기증은 성사되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안모 씨(장기기증 신청자):"희망은 버리지 않고 있지만 가족들도 있고 매우 절박합니다."

이렇게 장기 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환자는 만 7천여 명, 하지만, 지난해 장기를 이식해 준 뇌사자는 261명 뿐이었습니다.

장기를 기증할 수 있는 잠재적 뇌사자는 한해 9천명 선으로 추정됩니다.

사정이 이렇자,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장기이식 관련법’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병원은 뇌사로 추정되는 환자를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또 가족 한 명만 동의해도 기증할 수 있게 하고 뇌사판정위원 수도 대폭 줄였습니다.

장기기증을 많이 늘려보겠다는 취지입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질문> 오늘 개정된 법은 1년 후부터 시행이 됩니다. 직접 취재한 기자와 함께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나나 기자! 장기이식을 원하는 사람은 아주 많았죠. 그런데 그동안은 어떤 게 걸림돌이었습니까?

<답변>

네, 앞서 보신 것처럼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은 정말 많습니다만 복잡한 절차가 큰 문제입니다.

또 가족들이 이식을 동의하기를 꺼리는 문화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식이 왜 어려운지, 오수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한해만도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겠다고 희망한 사람은 모두 20만명.

故 김수환 추기경이 각막을 기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전년에 비해 두 배 이상 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 몇십 년 후에나 기증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은 뇌사자에 의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뇌사자 장기 이식은 가족들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오랜 유교사상 때문에 장기를 떼 주기가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전미경 (장기기증 코디네이터):"사람들 입방아에 오르지 않을까 고민하시고 장기기증을 했는데 돈이 없었냐 경제적으로 부족했냐 말 들어 상처를 받았다고..."

절차도 문제입니다.

병원에서 뇌사사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는데다 긴급히 이식 수술을 하려해도 뇌사 판정위원회를 소집하는데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터뷰> 김선희 (한국장기기증원 사무총장):"기증가가 있더라도 현황 파악하고, 정보 제공하고 교육하고 이런 시스템 자체가 전무했다."

이러다보니 뇌사자 장기 기증율은 100만명에 3명으로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습니다.

외국에서는 운전면허를 취득할 때 장기기증 의사를 밝히게 되고 병원에서의 이식 절차도 아주 간편합니다.

KBS 뉴스 오수호입니다.

<질문> 결국 인식과 제도가 함께 변해야한다는 말인데 일단 이식만 하면 성공확률은 어떻게 돼죠?

<답변>

이식 성공률은 꽤 높습니다.

뇌사자 판정이 제 때 이뤄지기만 하면 1명의 뇌사자가 9명에게 새 생명을 줄 수 있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설명 보시겠습니다.

<리포트>

10대부터 앓아온 당뇨로 인해 췌장이 망가져 열흘 전에 췌장 이식을 받은 30대 남성입니다.

투석을 받으며 겨우 생명을 이어가다 4년을 기다린 끝에 뇌사자로부터 췌장을 기증받았습니다.

새 생명을 얻은 것입니다.

<인터뷰> 박웅호(췌장 이식 수혜자) : "말로 할 수 없을 정도로 고맙고 가족들이라도 만나면 감사합니다. 새삶을 주셔서 감사. 5월 15일부로 새로운 삶이 탄생했다고 생각."

뇌사자 판정이 신속히 이뤄지면 9개의 장기를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습니다.

각막과 폐, 콩팥은 각각 2개씩이죠. 그리고 심장과 간, 췌장까지, 모두 9명에게 새 빛이나 새 생명을 주는 것입니다.

이 밖에도 뇌사자로부터 소장과 혈관, 피부이식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생체를 그대로 이식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공률은 매우 높습니다.

심장과 간, 콩팥의 경우 이식 성공률은 90%가 넘습니다.

췌장과 각막은 80%대이고 폐 이식 성공률은 67% 정도입니다.

개정된 장기이식법이 시행되면 이식에 필요한 장기 부족현상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질문> 첫술에 배부르긴 힘들겠습니다만, 이번 법개정에 대한 평가는 일단 긍정적인 것 같아요?

<답변>

그렇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로 장기 기증이 지금보다 한 열 배 정도 늘어나고 절차도 대폭 간소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터뷰> 하종원(한국장기기증원 대표)

<인터뷰> 김순일(세브란스 장기이식센터장)

장기 이식을 좀더 활성화하는 제도적 틀을 만드는 작업은 이제 시작됐습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은 많은 사람들이 열린 마음으로 기증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겠다는 결심일 것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