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매-전세가’ 격차, 41개월 만에 최소
입력 2010.05.28 (12:59)
수정 2010.05.28 (1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부동산 시장 침체로 아파트 값은 내려가는 반면 전세값은 꾸준히 상승하면서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41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좁혀졌습니다.
이주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 지난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에 대한 전세가격 비율이 54.8%로 나타났습니다.
아파트 값이 1억원일 때 전세값은 5천 480만원이란 뜻입니다.
지난 2006년 11월의 55.5% 이후 3년 5개월 만의 최고치입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1.5%로 2008년 2월의 41.7%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경기는 44.1%, 수도권은 43.2%였습니다.
지난해 1월보다 3~4% 포인트 높아져 매매값과 전셋값의 차이가 그만큼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산, 대구, 광주 등 6개 광역시 평균은 지난달 63.8%, 도 지역은 66.2%로 전국적으로 비슷한 상승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 침체로 아파트 값은 내려가는 반면 전세값은 꾸준히 상승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매매와 전세가격의 격차가 아직까지 큰 편이기 때문에 전세값의 지속적인 상승세가 매매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질 지 여부는 좀 더 시장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실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지난 2001년 68.9%까지 치솟으면서 아파트값 폭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주형입니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아파트 값은 내려가는 반면 전세값은 꾸준히 상승하면서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41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좁혀졌습니다.
이주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 지난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에 대한 전세가격 비율이 54.8%로 나타났습니다.
아파트 값이 1억원일 때 전세값은 5천 480만원이란 뜻입니다.
지난 2006년 11월의 55.5% 이후 3년 5개월 만의 최고치입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1.5%로 2008년 2월의 41.7%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경기는 44.1%, 수도권은 43.2%였습니다.
지난해 1월보다 3~4% 포인트 높아져 매매값과 전셋값의 차이가 그만큼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산, 대구, 광주 등 6개 광역시 평균은 지난달 63.8%, 도 지역은 66.2%로 전국적으로 비슷한 상승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 침체로 아파트 값은 내려가는 반면 전세값은 꾸준히 상승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매매와 전세가격의 격차가 아직까지 큰 편이기 때문에 전세값의 지속적인 상승세가 매매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질 지 여부는 좀 더 시장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실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지난 2001년 68.9%까지 치솟으면서 아파트값 폭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주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파트 ‘매매-전세가’ 격차, 41개월 만에 최소
-
- 입력 2010-05-28 12:59:10
- 수정2010-05-28 17:49:37

<앵커 멘트>
부동산 시장 침체로 아파트 값은 내려가는 반면 전세값은 꾸준히 상승하면서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41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좁혀졌습니다.
이주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 지난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에 대한 전세가격 비율이 54.8%로 나타났습니다.
아파트 값이 1억원일 때 전세값은 5천 480만원이란 뜻입니다.
지난 2006년 11월의 55.5% 이후 3년 5개월 만의 최고치입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1.5%로 2008년 2월의 41.7%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경기는 44.1%, 수도권은 43.2%였습니다.
지난해 1월보다 3~4% 포인트 높아져 매매값과 전셋값의 차이가 그만큼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산, 대구, 광주 등 6개 광역시 평균은 지난달 63.8%, 도 지역은 66.2%로 전국적으로 비슷한 상승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 침체로 아파트 값은 내려가는 반면 전세값은 꾸준히 상승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매매와 전세가격의 격차가 아직까지 큰 편이기 때문에 전세값의 지속적인 상승세가 매매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질 지 여부는 좀 더 시장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실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지난 2001년 68.9%까지 치솟으면서 아파트값 폭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주형입니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아파트 값은 내려가는 반면 전세값은 꾸준히 상승하면서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41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좁혀졌습니다.
이주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 지난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에 대한 전세가격 비율이 54.8%로 나타났습니다.
아파트 값이 1억원일 때 전세값은 5천 480만원이란 뜻입니다.
지난 2006년 11월의 55.5% 이후 3년 5개월 만의 최고치입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41.5%로 2008년 2월의 41.7%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경기는 44.1%, 수도권은 43.2%였습니다.
지난해 1월보다 3~4% 포인트 높아져 매매값과 전셋값의 차이가 그만큼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부산, 대구, 광주 등 6개 광역시 평균은 지난달 63.8%, 도 지역은 66.2%로 전국적으로 비슷한 상승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부동산 시장 침체로 아파트 값은 내려가는 반면 전세값은 꾸준히 상승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매매와 전세가격의 격차가 아직까지 큰 편이기 때문에 전세값의 지속적인 상승세가 매매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질 지 여부는 좀 더 시장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실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지난 2001년 68.9%까지 치솟으면서 아파트값 폭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주형입니다.
-
-
이주형 기자 juhyung@kbs.co.kr
이주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