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2012 대입부터 수시 지원 횟수 제한·추가 모집”
입력 2010.06.03 (13:05) 뉴스 12
<앵커 멘트>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대학에 들어가는 2012학년도 대입 수시 전형이 크게 바뀔 전망입니다.
수시 지원 횟수가 제한되고 수시에서도 미등록 충원기간을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그동안 대입 수시모집은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어 동시에 수십 곳씩 원서를 넣은 학생도 있었습니다.
4년제 대학들의 모임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이 지원 횟수를 한 학생당 최대 5회로 제한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정시와 마찬가지로 수시도 며칠 동안 미등록자 충원 기간을 둘 예정입니다.
올해 연세대가 신입생의 80%를 수시모집으로 뽑는 등 전국 대학의 수시 모집인원이 전체의 60%를 넘어섰는데도, 합격자 발표에서 등록까지 기간은 단 사흘로 빠듯해 미등록자가 속출했다는 겁니다.
충분한 준비와 검토 기간이 필요한 입학사정관 전형의 경우 원서접수 기간이 1개월 앞당겨집니다.
대교협은 오늘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12학년도 대입전형 기본사항' 시안을 논의합니다.
그러나 중하위권 대학들은 수시모집에서도 추가모집이 제도화되면 중상위권 대학들이 우수 학생을 선점하는 현상이 더욱 고착화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또 지원 횟수를 제한하면 수시에서도 눈치작전이 심해질 것이라는 부작용이 지적되는 등 이달 말 대교협의 최종안이 확정되기까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대학에 들어가는 2012학년도 대입 수시 전형이 크게 바뀔 전망입니다.
수시 지원 횟수가 제한되고 수시에서도 미등록 충원기간을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그동안 대입 수시모집은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어 동시에 수십 곳씩 원서를 넣은 학생도 있었습니다.
4년제 대학들의 모임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이 지원 횟수를 한 학생당 최대 5회로 제한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정시와 마찬가지로 수시도 며칠 동안 미등록자 충원 기간을 둘 예정입니다.
올해 연세대가 신입생의 80%를 수시모집으로 뽑는 등 전국 대학의 수시 모집인원이 전체의 60%를 넘어섰는데도, 합격자 발표에서 등록까지 기간은 단 사흘로 빠듯해 미등록자가 속출했다는 겁니다.
충분한 준비와 검토 기간이 필요한 입학사정관 전형의 경우 원서접수 기간이 1개월 앞당겨집니다.
대교협은 오늘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12학년도 대입전형 기본사항' 시안을 논의합니다.
그러나 중하위권 대학들은 수시모집에서도 추가모집이 제도화되면 중상위권 대학들이 우수 학생을 선점하는 현상이 더욱 고착화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또 지원 횟수를 제한하면 수시에서도 눈치작전이 심해질 것이라는 부작용이 지적되는 등 이달 말 대교협의 최종안이 확정되기까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 “2012 대입부터 수시 지원 횟수 제한·추가 모집”
-
- 입력 2010-06-03 13:05:09

<앵커 멘트>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대학에 들어가는 2012학년도 대입 수시 전형이 크게 바뀔 전망입니다.
수시 지원 횟수가 제한되고 수시에서도 미등록 충원기간을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그동안 대입 수시모집은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어 동시에 수십 곳씩 원서를 넣은 학생도 있었습니다.
4년제 대학들의 모임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이 지원 횟수를 한 학생당 최대 5회로 제한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정시와 마찬가지로 수시도 며칠 동안 미등록자 충원 기간을 둘 예정입니다.
올해 연세대가 신입생의 80%를 수시모집으로 뽑는 등 전국 대학의 수시 모집인원이 전체의 60%를 넘어섰는데도, 합격자 발표에서 등록까지 기간은 단 사흘로 빠듯해 미등록자가 속출했다는 겁니다.
충분한 준비와 검토 기간이 필요한 입학사정관 전형의 경우 원서접수 기간이 1개월 앞당겨집니다.
대교협은 오늘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12학년도 대입전형 기본사항' 시안을 논의합니다.
그러나 중하위권 대학들은 수시모집에서도 추가모집이 제도화되면 중상위권 대학들이 우수 학생을 선점하는 현상이 더욱 고착화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또 지원 횟수를 제한하면 수시에서도 눈치작전이 심해질 것이라는 부작용이 지적되는 등 이달 말 대교협의 최종안이 확정되기까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현재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대학에 들어가는 2012학년도 대입 수시 전형이 크게 바뀔 전망입니다.
수시 지원 횟수가 제한되고 수시에서도 미등록 충원기간을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그동안 대입 수시모집은 지원 횟수에 제한이 없어 동시에 수십 곳씩 원서를 넣은 학생도 있었습니다.
4년제 대학들의 모임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이 지원 횟수를 한 학생당 최대 5회로 제한한다는 방침입니다.
또 정시와 마찬가지로 수시도 며칠 동안 미등록자 충원 기간을 둘 예정입니다.
올해 연세대가 신입생의 80%를 수시모집으로 뽑는 등 전국 대학의 수시 모집인원이 전체의 60%를 넘어섰는데도, 합격자 발표에서 등록까지 기간은 단 사흘로 빠듯해 미등록자가 속출했다는 겁니다.
충분한 준비와 검토 기간이 필요한 입학사정관 전형의 경우 원서접수 기간이 1개월 앞당겨집니다.
대교협은 오늘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12학년도 대입전형 기본사항' 시안을 논의합니다.
그러나 중하위권 대학들은 수시모집에서도 추가모집이 제도화되면 중상위권 대학들이 우수 학생을 선점하는 현상이 더욱 고착화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또 지원 횟수를 제한하면 수시에서도 눈치작전이 심해질 것이라는 부작용이 지적되는 등 이달 말 대교협의 최종안이 확정되기까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 뉴스 최영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최영은 기자 imlife@kbs.co.kr
최영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