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기름, 바이오 연료로 ‘재탄생’
입력 2010.06.17 (07:51)
수정 2010.06.17 (08: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유채나 콩에서 기름을 추출해 만드는 바이오 디젤은 친환경 연료지만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는데요.
버려지는 돼지기름으로 바이오 디젤을 만드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경유 제품에 일정 비율을 섞어야하는 친환경 연료 바이오 디젤.
매연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원료 식물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생산 원가도 비싸 경유 가격을 낮추지는 못합니다.
국내에서도 유채나 콩 등 비싼 값에 수입해오는 바이오 디젤의 원료를 값싸게 대체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돼지기름이 그 주인공입니다.
돼지에서 떼어 낸 지방을 고온에서 녹인 다음 정제 과정을 통해 순도 높은 기름만을 추출한 겁니다.
일반 경유와 섞어 트랙터와 온풍기에 주유했더니 연료 혼합제로 손색이 없습니다.
<인터뷰>이영화 (농촌진흥청 바이오디젤팀):"기름을 추출할 때 지방산 함량이 74-85%로 수율이 매우 높습니다. 식물성의 2,3배 정도 높습니다."
국내에서 버려지는 돼지와 소 기름은 한해 50만 톤, 이 가운데 20만 톤만 원료로 사용해도 연간 천2백억 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일정 온도에서 연료가 탁해지는 단점을 보완하는 한편 기름 추출 뒤 남는 찌꺼기를 사료로 만드는 방법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유채나 콩에서 기름을 추출해 만드는 바이오 디젤은 친환경 연료지만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는데요.
버려지는 돼지기름으로 바이오 디젤을 만드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경유 제품에 일정 비율을 섞어야하는 친환경 연료 바이오 디젤.
매연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원료 식물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생산 원가도 비싸 경유 가격을 낮추지는 못합니다.
국내에서도 유채나 콩 등 비싼 값에 수입해오는 바이오 디젤의 원료를 값싸게 대체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돼지기름이 그 주인공입니다.
돼지에서 떼어 낸 지방을 고온에서 녹인 다음 정제 과정을 통해 순도 높은 기름만을 추출한 겁니다.
일반 경유와 섞어 트랙터와 온풍기에 주유했더니 연료 혼합제로 손색이 없습니다.
<인터뷰>이영화 (농촌진흥청 바이오디젤팀):"기름을 추출할 때 지방산 함량이 74-85%로 수율이 매우 높습니다. 식물성의 2,3배 정도 높습니다."
국내에서 버려지는 돼지와 소 기름은 한해 50만 톤, 이 가운데 20만 톤만 원료로 사용해도 연간 천2백억 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일정 온도에서 연료가 탁해지는 단점을 보완하는 한편 기름 추출 뒤 남는 찌꺼기를 사료로 만드는 방법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돼지기름, 바이오 연료로 ‘재탄생’
-
- 입력 2010-06-17 07:51:37
- 수정2010-06-17 08:39:08

<앵커 멘트>
유채나 콩에서 기름을 추출해 만드는 바이오 디젤은 친환경 연료지만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는데요.
버려지는 돼지기름으로 바이오 디젤을 만드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경유 제품에 일정 비율을 섞어야하는 친환경 연료 바이오 디젤.
매연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원료 식물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생산 원가도 비싸 경유 가격을 낮추지는 못합니다.
국내에서도 유채나 콩 등 비싼 값에 수입해오는 바이오 디젤의 원료를 값싸게 대체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돼지기름이 그 주인공입니다.
돼지에서 떼어 낸 지방을 고온에서 녹인 다음 정제 과정을 통해 순도 높은 기름만을 추출한 겁니다.
일반 경유와 섞어 트랙터와 온풍기에 주유했더니 연료 혼합제로 손색이 없습니다.
<인터뷰>이영화 (농촌진흥청 바이오디젤팀):"기름을 추출할 때 지방산 함량이 74-85%로 수율이 매우 높습니다. 식물성의 2,3배 정도 높습니다."
국내에서 버려지는 돼지와 소 기름은 한해 50만 톤, 이 가운데 20만 톤만 원료로 사용해도 연간 천2백억 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일정 온도에서 연료가 탁해지는 단점을 보완하는 한편 기름 추출 뒤 남는 찌꺼기를 사료로 만드는 방법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유채나 콩에서 기름을 추출해 만드는 바이오 디젤은 친환경 연료지만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는데요.
버려지는 돼지기름으로 바이오 디젤을 만드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내 경유 제품에 일정 비율을 섞어야하는 친환경 연료 바이오 디젤.
매연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원료 식물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생산 원가도 비싸 경유 가격을 낮추지는 못합니다.
국내에서도 유채나 콩 등 비싼 값에 수입해오는 바이오 디젤의 원료를 값싸게 대체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돼지기름이 그 주인공입니다.
돼지에서 떼어 낸 지방을 고온에서 녹인 다음 정제 과정을 통해 순도 높은 기름만을 추출한 겁니다.
일반 경유와 섞어 트랙터와 온풍기에 주유했더니 연료 혼합제로 손색이 없습니다.
<인터뷰>이영화 (농촌진흥청 바이오디젤팀):"기름을 추출할 때 지방산 함량이 74-85%로 수율이 매우 높습니다. 식물성의 2,3배 정도 높습니다."
국내에서 버려지는 돼지와 소 기름은 한해 50만 톤, 이 가운데 20만 톤만 원료로 사용해도 연간 천2백억 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일정 온도에서 연료가 탁해지는 단점을 보완하는 한편 기름 추출 뒤 남는 찌꺼기를 사료로 만드는 방법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
-
공아영 기자 gong@kbs.co.kr
공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