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디도스 1년…여전히 무방비

입력 2010.07.06 (22:03) 수정 2010.07.08 (10: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와 미국의 정부기관 등 주요 인터넷 사이트 스물 여섯곳이 ’디도스 공격’을 받았던 사실, 기억하십니까.



벌써 1년이 지났는데요. 지금 우리 정부의 사이버 보안은 어떤지 오늘 이슈앤 뉴스에서 집중 점검해 봅니다.



먼저 곽희섭 기자가 국가기관 전산망을 ’가상’ 공격해 봤습니다.



<리포트>



네, KBS 취재진은 국회 디지털 포럼과 입법조사처, 한국 인터넷 진흥원 등과 18개 국가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 안전을 점검해봤습니다.



디도스 공격, 즉 공격자가 여러 대의 컴퓨터를 통해 동시에 많은 업무량을 가해 서비스를 하지 못하게 하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해 봤더니, 모두 12개 기관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미리 공격 의사를 기관에 전달하고 공격량도 대응 가능한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는데도, 장애가 생긴 겁니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와 행정안전부 등 사이버 보안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의 사이트마저 디도스 공격에 취약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마음만 먹으면 어느 기관도 해킹할 수 있다고 합니다.



<녹취> 디도스 공격 참가 전문가:"트리팩 용량 대역폭을 훨씬 넘어가는 공격같은 경우에는 방법이 없어. 그건 어디도 못막고 장비가 있어도 못막습니다"



<질문> 방금 보신 것처럼 1년 전과 상황이 전혀 나아진 게 없습니다. 곽희섭 기자! 생각보다 심각하군요. 그런데 기관 사이트만 표적은 아닐 것 같은데요?



<답변>



네, 특히 최근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즉,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를 통해 악성코드가 확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김영민 기자 그 실태를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최근 법무부와 서울시, 네이버 등이 디도스 공격을 당했고, 과거 특정 기관을 노렸던 디도스 공격은 이제 게임사이트와 쇼핑몰, 금융기관 등 대상을 가리지 않습니다.



지난 1년 사이 악성코드만 280여개가 새로 나타났고, 최근 들어선 하루에만 30여 건의 디도스 공격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진호(KT 보완관계자):"현재는 작년에 비해 10배 정도, 많게는 10기가에서 100기가까지 공격량이 증가했습니다."



디도스 공격의 심각성은 이른바 좀비PC가 늘어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당국은 하루에만 8만대 정도의 좀비 PC가 작동하고 있고, 전국적으로 최대 4백만대가 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싸이월드,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악성코드가 대량 유포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개인 컴퓨터의 기능이 향상되면서 좀비PC에 의한 디도스 공격은 위협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정석화(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수사팀장):"범죄에 이용되는 좀비 PC 라고 하는 그 규모가 수만대에서 수십만대정도 감염이 되어서 공격에 이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컴퓨터 기능을 그대로 갖춘 스마트폰까지 보급되면서 디도스 공격에 의한 통신 대란이 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질문> ’사이버 공격’에 호되게 당했으면서도 아직도 헛점이 많다니 답답하군요. ’소’를 잃고도 ’외양간’을 안 고친 이유, 도대체 뭡니까?



<답변>



네, 취재진이 확인해보니 정부가 관련 예산을 대폭 늘려 확보해 놓고도 제대로 집행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최문종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간 부문 정보 보안 강화를 위한 올해 방송통신위 예산은 380여억 원.



지난해 130억 원에서 3배 정도 늘었습니다.



하지만, 디도스 대란 1년을 맞은 지금까지 이 돈은 제 역할을 못하고 있습니다.



KBS가 입수한 방통위 내부 자료입니다.



대부분 사업이 지난달에야 시작돼 디도스 공격 대응체계는 11월, 사이버 대피소와 좀비PC 치료체계는 10월에야 운영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녹취>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장비 선정이나 사업자 선정을 저희가 조달청을 통해서 해야 하는데 조달청 발주가 그렇게 단기간 내에 되지 않습니다"



공공 부문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145억 원이던 정보 보안 예산을 210억 원으로 70%나 늘렸지만 주무 부처인 행안부조차도 이번 가상 공격에 속수무책이었습니다.



<녹취> 행정안전부 과장:"지속적으로 그런 문제를 진단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는데, 아직도 일부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디도스 대란 1년, 정부의 대응 속도는 아직도 더디기만 합니다.



<질문> 당장 오늘이라도 디도스 공격은 일어날 수 있는 것 아닙니까. 정부만 믿고 손놓고 있을수만도 없고. 일반인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답변>



제일 중요한 것은 PC 사용자들의 예방 의식입니다.



디도스 공격이란 것이 여러 대의 컴퓨터를 동원해야 하기 때문에 공격할 피씨들이 백신 프로그램 설치나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깨끗해지면 원천적으로 공격이 어렵게 됩니다.



아예 법으로 악성 프로그램 확산을 방지하자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인터뷰> 안철수 연구소:"방문하신 사이트에서 특정프로그램 설치를 권하더라도 혹시 정상인지 아닌지를 모르실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으시는 것을 권해드리고 싶다"



<인터뷰> 서상기(국회 디지털포럼 회장):"악성프로그램을 방지할 수 있는 그런 법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수준의 해킹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거기에따르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돼야되고"



지난해 디도스 대란이 북한 공격이라는 주장이 제기될 만큼 사이버 보안은 이미 국가 안보에 치명적 요소가 됐습니다.



정부와 민간 할 것 없이 사이버 안전의 심각성을 인식해야 할 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디도스 1년…여전히 무방비
    • 입력 2010-07-06 22:03:21
    • 수정2010-07-08 10:37:18
    뉴스 9
<앵커 멘트>

우리나라와 미국의 정부기관 등 주요 인터넷 사이트 스물 여섯곳이 ’디도스 공격’을 받았던 사실, 기억하십니까.

벌써 1년이 지났는데요. 지금 우리 정부의 사이버 보안은 어떤지 오늘 이슈앤 뉴스에서 집중 점검해 봅니다.

먼저 곽희섭 기자가 국가기관 전산망을 ’가상’ 공격해 봤습니다.

<리포트>

네, KBS 취재진은 국회 디지털 포럼과 입법조사처, 한국 인터넷 진흥원 등과 18개 국가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 안전을 점검해봤습니다.

디도스 공격, 즉 공격자가 여러 대의 컴퓨터를 통해 동시에 많은 업무량을 가해 서비스를 하지 못하게 하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을 해 봤더니, 모두 12개 기관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미리 공격 의사를 기관에 전달하고 공격량도 대응 가능한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는데도, 장애가 생긴 겁니다.

특히 방송통신위원회와 행정안전부 등 사이버 보안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의 사이트마저 디도스 공격에 취약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마음만 먹으면 어느 기관도 해킹할 수 있다고 합니다.

<녹취> 디도스 공격 참가 전문가:"트리팩 용량 대역폭을 훨씬 넘어가는 공격같은 경우에는 방법이 없어. 그건 어디도 못막고 장비가 있어도 못막습니다"

<질문> 방금 보신 것처럼 1년 전과 상황이 전혀 나아진 게 없습니다. 곽희섭 기자! 생각보다 심각하군요. 그런데 기관 사이트만 표적은 아닐 것 같은데요?

<답변>

네, 특히 최근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즉,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를 통해 악성코드가 확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김영민 기자 그 실태를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최근 법무부와 서울시, 네이버 등이 디도스 공격을 당했고, 과거 특정 기관을 노렸던 디도스 공격은 이제 게임사이트와 쇼핑몰, 금융기관 등 대상을 가리지 않습니다.

지난 1년 사이 악성코드만 280여개가 새로 나타났고, 최근 들어선 하루에만 30여 건의 디도스 공격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진호(KT 보완관계자):"현재는 작년에 비해 10배 정도, 많게는 10기가에서 100기가까지 공격량이 증가했습니다."

디도스 공격의 심각성은 이른바 좀비PC가 늘어나고 있다는 데 있습니다.

당국은 하루에만 8만대 정도의 좀비 PC가 작동하고 있고, 전국적으로 최대 4백만대가 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싸이월드,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악성코드가 대량 유포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개인 컴퓨터의 기능이 향상되면서 좀비PC에 의한 디도스 공격은 위협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정석화(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수사팀장):"범죄에 이용되는 좀비 PC 라고 하는 그 규모가 수만대에서 수십만대정도 감염이 되어서 공격에 이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컴퓨터 기능을 그대로 갖춘 스마트폰까지 보급되면서 디도스 공격에 의한 통신 대란이 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질문> ’사이버 공격’에 호되게 당했으면서도 아직도 헛점이 많다니 답답하군요. ’소’를 잃고도 ’외양간’을 안 고친 이유, 도대체 뭡니까?

<답변>

네, 취재진이 확인해보니 정부가 관련 예산을 대폭 늘려 확보해 놓고도 제대로 집행되지 않고 있었습니다.

최문종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간 부문 정보 보안 강화를 위한 올해 방송통신위 예산은 380여억 원.

지난해 130억 원에서 3배 정도 늘었습니다.

하지만, 디도스 대란 1년을 맞은 지금까지 이 돈은 제 역할을 못하고 있습니다.

KBS가 입수한 방통위 내부 자료입니다.

대부분 사업이 지난달에야 시작돼 디도스 공격 대응체계는 11월, 사이버 대피소와 좀비PC 치료체계는 10월에야 운영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녹취>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장비 선정이나 사업자 선정을 저희가 조달청을 통해서 해야 하는데 조달청 발주가 그렇게 단기간 내에 되지 않습니다"

공공 부문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145억 원이던 정보 보안 예산을 210억 원으로 70%나 늘렸지만 주무 부처인 행안부조차도 이번 가상 공격에 속수무책이었습니다.

<녹취> 행정안전부 과장:"지속적으로 그런 문제를 진단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는데, 아직도 일부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디도스 대란 1년, 정부의 대응 속도는 아직도 더디기만 합니다.

<질문> 당장 오늘이라도 디도스 공격은 일어날 수 있는 것 아닙니까. 정부만 믿고 손놓고 있을수만도 없고. 일반인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답변>

제일 중요한 것은 PC 사용자들의 예방 의식입니다.

디도스 공격이란 것이 여러 대의 컴퓨터를 동원해야 하기 때문에 공격할 피씨들이 백신 프로그램 설치나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깨끗해지면 원천적으로 공격이 어렵게 됩니다.

아예 법으로 악성 프로그램 확산을 방지하자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인터뷰> 안철수 연구소:"방문하신 사이트에서 특정프로그램 설치를 권하더라도 혹시 정상인지 아닌지를 모르실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으시는 것을 권해드리고 싶다"

<인터뷰> 서상기(국회 디지털포럼 회장):"악성프로그램을 방지할 수 있는 그런 법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수준의 해킹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거기에따르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돼야되고"

지난해 디도스 대란이 북한 공격이라는 주장이 제기될 만큼 사이버 보안은 이미 국가 안보에 치명적 요소가 됐습니다.

정부와 민간 할 것 없이 사이버 안전의 심각성을 인식해야 할 때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