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섭씨 80도의 물에서, 그것도 산소없이 생존하는 미생물을 국내 연구팀이 발견해냈습니다.
'미래 에너지원'에 '혁명'을 일으킬지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은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남태평양 수심 1650미터의 심해 열수구.
이 곳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처음 찾아낸 초고온성 미생물의 모습입니다.
특이하게도 산소가 없는 곳에서, 섭씨 80도의 뜨거운 물에서 생존합니다.
더구나 한 시간에 배양액 1리터 당 3리터의 수소를 생산해 네이처지 등 국제 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정현(한국해양연구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장):"수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 그런 능력을 갖고 있는데 이 미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가 굉장히 특이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의 DNA를 분석한 결과 수소의 생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를 8개나 찾아냈습니다.
효소는 영양분이 몸 속에 들어오면 이를 분해시켜 수소를 만들어 냅니다.
이 미생물은 지난 2002년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해양 연구를 통해 찾아냈고 배양과 분석, 활용 등 전과정을 국내 과학자의 힘으로 완성해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인터뷰>이상묵(서울대 교수):"일본 측에서 너희들이 이런 걸 채취할 능력이 없는데 어떻게 이런 연구를 해서 맨 처음에는 논문을 안 믿었다고 하더라구요. "
앞으로 배양 기술을 발전시키면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를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수소 전지나 수소 자동차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섭씨 80도의 물에서, 그것도 산소없이 생존하는 미생물을 국내 연구팀이 발견해냈습니다.
'미래 에너지원'에 '혁명'을 일으킬지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은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남태평양 수심 1650미터의 심해 열수구.
이 곳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처음 찾아낸 초고온성 미생물의 모습입니다.
특이하게도 산소가 없는 곳에서, 섭씨 80도의 뜨거운 물에서 생존합니다.
더구나 한 시간에 배양액 1리터 당 3리터의 수소를 생산해 네이처지 등 국제 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정현(한국해양연구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장):"수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 그런 능력을 갖고 있는데 이 미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가 굉장히 특이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의 DNA를 분석한 결과 수소의 생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를 8개나 찾아냈습니다.
효소는 영양분이 몸 속에 들어오면 이를 분해시켜 수소를 만들어 냅니다.
이 미생물은 지난 2002년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해양 연구를 통해 찾아냈고 배양과 분석, 활용 등 전과정을 국내 과학자의 힘으로 완성해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인터뷰>이상묵(서울대 교수):"일본 측에서 너희들이 이런 걸 채취할 능력이 없는데 어떻게 이런 연구를 해서 맨 처음에는 논문을 안 믿었다고 하더라구요. "
앞으로 배양 기술을 발전시키면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를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수소 전지나 수소 자동차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수소 만드는 미생물’ 국내 연구팀 첫 발견
-
- 입력 2010-09-16 22:13:33

<앵커 멘트>
섭씨 80도의 물에서, 그것도 산소없이 생존하는 미생물을 국내 연구팀이 발견해냈습니다.
'미래 에너지원'에 '혁명'을 일으킬지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은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남태평양 수심 1650미터의 심해 열수구.
이 곳에서 국내 연구진이 세계 처음 찾아낸 초고온성 미생물의 모습입니다.
특이하게도 산소가 없는 곳에서, 섭씨 80도의 뜨거운 물에서 생존합니다.
더구나 한 시간에 배양액 1리터 당 3리터의 수소를 생산해 네이처지 등 국제 과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이정현(한국해양연구원 해양바이오연구센터장):"수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 그런 능력을 갖고 있는데 이 미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가 굉장히 특이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의 DNA를 분석한 결과 수소의 생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를 8개나 찾아냈습니다.
효소는 영양분이 몸 속에 들어오면 이를 분해시켜 수소를 만들어 냅니다.
이 미생물은 지난 2002년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해양 연구를 통해 찾아냈고 배양과 분석, 활용 등 전과정을 국내 과학자의 힘으로 완성해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인터뷰>이상묵(서울대 교수):"일본 측에서 너희들이 이런 걸 채취할 능력이 없는데 어떻게 이런 연구를 해서 맨 처음에는 논문을 안 믿었다고 하더라구요. "
앞으로 배양 기술을 발전시키면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를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수소 전지나 수소 자동차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
-
이은정 기자 ejlee@kbs.co.kr
이은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