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추석 쇠러 고향에 갔다가 비워둔 집이 침수돼 아수라장이 됐다면 귀경한 뒤 얼마나 망연자실 하겠습니까?
손 한 번 못 쓰고 폭우에 당한터여서 건질 것도 없습니다.
첫 소식, 윤지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간당 최고 100 밀리미터에 육박하는 기록적 폭우.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 철문은 지하에 차오른 빗물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부서져 버렸습니다.
이 집 주인인 방점자씨 가족은 고향인 광주에서 침수 소식을 듣고 황급히 돌아왔지만, 집은 이미 난장판이 된 뒤였습니다.
<인터뷰> 방점자(서울 방배동):"와서 보니까 심란해 가지고 들어오질 못하겠더라고요."
함께 침수된 맞은편 집은 아직도 주인이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박순희 씨 가족도 전북 김제에 있는 시댁에 갔다가 침수 소식을 들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서울 화곡동):"아쉬워서 '어머니 저희집 침수됐대요. 빨리 가야겠어요.'하고 어머니 얼굴뵈고 바로 왔어요."
뒤늦게 돌아와 복구에 나섰지만, 이미 상당수의 살림은 못쓰게 돼버렸습니다.
<현장음> "세상에. 책이 다 이렇게 젖어버렸으니 어떻게 하면 좋아요"
침수된 상가들 가운데는 가게 주인이 돌아와도 복구가 시작되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
손댈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경일(피해 상가 상인):"고향에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분들도 많았고, 문 열었다가 피해가 너무 심하니까 연휴 끝나고 다시 한다고 출근 안한 분들도 있어요."
침수 지역 주민들에겐 추석의 넉넉함 대신 힘겨운 피해 복구작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추석 쇠러 고향에 갔다가 비워둔 집이 침수돼 아수라장이 됐다면 귀경한 뒤 얼마나 망연자실 하겠습니까?
손 한 번 못 쓰고 폭우에 당한터여서 건질 것도 없습니다.
첫 소식, 윤지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간당 최고 100 밀리미터에 육박하는 기록적 폭우.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 철문은 지하에 차오른 빗물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부서져 버렸습니다.
이 집 주인인 방점자씨 가족은 고향인 광주에서 침수 소식을 듣고 황급히 돌아왔지만, 집은 이미 난장판이 된 뒤였습니다.
<인터뷰> 방점자(서울 방배동):"와서 보니까 심란해 가지고 들어오질 못하겠더라고요."
함께 침수된 맞은편 집은 아직도 주인이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박순희 씨 가족도 전북 김제에 있는 시댁에 갔다가 침수 소식을 들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서울 화곡동):"아쉬워서 '어머니 저희집 침수됐대요. 빨리 가야겠어요.'하고 어머니 얼굴뵈고 바로 왔어요."
뒤늦게 돌아와 복구에 나섰지만, 이미 상당수의 살림은 못쓰게 돼버렸습니다.
<현장음> "세상에. 책이 다 이렇게 젖어버렸으니 어떻게 하면 좋아요"
침수된 상가들 가운데는 가게 주인이 돌아와도 복구가 시작되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
손댈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경일(피해 상가 상인):"고향에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분들도 많았고, 문 열었다가 피해가 너무 심하니까 연휴 끝나고 다시 한다고 출근 안한 분들도 있어요."
침수 지역 주민들에겐 추석의 넉넉함 대신 힘겨운 피해 복구작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빈집에 물벼락…뒤늦은 귀경에 복구 ‘한숨’
-
- 입력 2010-09-23 22:15:58

<앵커 멘트>
추석 쇠러 고향에 갔다가 비워둔 집이 침수돼 아수라장이 됐다면 귀경한 뒤 얼마나 망연자실 하겠습니까?
손 한 번 못 쓰고 폭우에 당한터여서 건질 것도 없습니다.
첫 소식, 윤지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간당 최고 100 밀리미터에 육박하는 기록적 폭우.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 철문은 지하에 차오른 빗물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부서져 버렸습니다.
이 집 주인인 방점자씨 가족은 고향인 광주에서 침수 소식을 듣고 황급히 돌아왔지만, 집은 이미 난장판이 된 뒤였습니다.
<인터뷰> 방점자(서울 방배동):"와서 보니까 심란해 가지고 들어오질 못하겠더라고요."
함께 침수된 맞은편 집은 아직도 주인이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박순희 씨 가족도 전북 김제에 있는 시댁에 갔다가 침수 소식을 들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서울 화곡동):"아쉬워서 '어머니 저희집 침수됐대요. 빨리 가야겠어요.'하고 어머니 얼굴뵈고 바로 왔어요."
뒤늦게 돌아와 복구에 나섰지만, 이미 상당수의 살림은 못쓰게 돼버렸습니다.
<현장음> "세상에. 책이 다 이렇게 젖어버렸으니 어떻게 하면 좋아요"
침수된 상가들 가운데는 가게 주인이 돌아와도 복구가 시작되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
손댈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경일(피해 상가 상인):"고향에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분들도 많았고, 문 열었다가 피해가 너무 심하니까 연휴 끝나고 다시 한다고 출근 안한 분들도 있어요."
침수 지역 주민들에겐 추석의 넉넉함 대신 힘겨운 피해 복구작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
-
윤지연 기자 aeon@kbs.co.kr
윤지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호우·태풍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