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에 물벼락…뒤늦은 귀경에 복구 ‘한숨’

입력 2010.09.23 (22: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추석 쇠러 고향에 갔다가 비워둔 집이 침수돼 아수라장이 됐다면 귀경한 뒤 얼마나 망연자실 하겠습니까?

손 한 번 못 쓰고 폭우에 당한터여서 건질 것도 없습니다.

첫 소식, 윤지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간당 최고 100 밀리미터에 육박하는 기록적 폭우.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 철문은 지하에 차오른 빗물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부서져 버렸습니다.

이 집 주인인 방점자씨 가족은 고향인 광주에서 침수 소식을 듣고 황급히 돌아왔지만, 집은 이미 난장판이 된 뒤였습니다.

<인터뷰> 방점자(서울 방배동):"와서 보니까 심란해 가지고 들어오질 못하겠더라고요."

함께 침수된 맞은편 집은 아직도 주인이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박순희 씨 가족도 전북 김제에 있는 시댁에 갔다가 침수 소식을 들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서울 화곡동):"아쉬워서 '어머니 저희집 침수됐대요. 빨리 가야겠어요.'하고 어머니 얼굴뵈고 바로 왔어요."

뒤늦게 돌아와 복구에 나섰지만, 이미 상당수의 살림은 못쓰게 돼버렸습니다.

<현장음> "세상에. 책이 다 이렇게 젖어버렸으니 어떻게 하면 좋아요"

침수된 상가들 가운데는 가게 주인이 돌아와도 복구가 시작되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

손댈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경일(피해 상가 상인):"고향에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분들도 많았고, 문 열었다가 피해가 너무 심하니까 연휴 끝나고 다시 한다고 출근 안한 분들도 있어요."

침수 지역 주민들에겐 추석의 넉넉함 대신 힘겨운 피해 복구작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빈집에 물벼락…뒤늦은 귀경에 복구 ‘한숨’
    • 입력 2010-09-23 22:15:58
    뉴스 9
<앵커 멘트> 추석 쇠러 고향에 갔다가 비워둔 집이 침수돼 아수라장이 됐다면 귀경한 뒤 얼마나 망연자실 하겠습니까? 손 한 번 못 쓰고 폭우에 당한터여서 건질 것도 없습니다. 첫 소식, 윤지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간당 최고 100 밀리미터에 육박하는 기록적 폭우.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 철문은 지하에 차오른 빗물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부서져 버렸습니다. 이 집 주인인 방점자씨 가족은 고향인 광주에서 침수 소식을 듣고 황급히 돌아왔지만, 집은 이미 난장판이 된 뒤였습니다. <인터뷰> 방점자(서울 방배동):"와서 보니까 심란해 가지고 들어오질 못하겠더라고요." 함께 침수된 맞은편 집은 아직도 주인이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박순희 씨 가족도 전북 김제에 있는 시댁에 갔다가 침수 소식을 들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서울 화곡동):"아쉬워서 '어머니 저희집 침수됐대요. 빨리 가야겠어요.'하고 어머니 얼굴뵈고 바로 왔어요." 뒤늦게 돌아와 복구에 나섰지만, 이미 상당수의 살림은 못쓰게 돼버렸습니다. <현장음> "세상에. 책이 다 이렇게 젖어버렸으니 어떻게 하면 좋아요" 침수된 상가들 가운데는 가게 주인이 돌아와도 복구가 시작되지 못한 곳이 많습니다. 손댈 엄두가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경일(피해 상가 상인):"고향에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온 분들도 많았고, 문 열었다가 피해가 너무 심하니까 연휴 끝나고 다시 한다고 출근 안한 분들도 있어요." 침수 지역 주민들에겐 추석의 넉넉함 대신 힘겨운 피해 복구작업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지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