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자율고, 추가 모집에서도 ‘미달 사태’

입력 2010.12.18 (08:14) 수정 2010.12.18 (08: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달 초 신입생 모집에서 대규모 정원미달 사태를 빚은 자율형 사립고 가운데 상당수가 추가모집에서도 미달을 면치 못했습니다.

등록금은 비싸지만 차별성은 눈에 띄지 않는다는 학부모들의 평가가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신입생 추가 모집에 들어간 서울의 한 자율형 사립고.

마감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도 원서 접수장은 썰렁합니다.

<녹취> 학부모 : "생각보다 좀 그러네요. 오기 전에 인터넷으로 확인했는데 의외로 지원을 안 했더라구요."

어제 (17일) 마감한 서울지역 13개 자율고 신입생 추가모집에서 용문고가 200명이 이상 정원에 못미치는 등 전체 미달 인원이 9개교에서 858명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학교 수가 지난해 13개교에서 올해 두배로 늘어난 데다 일반고보다 등록금은 3배나 되지만 일부 학교들은 그만한 차별성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평가입니다.

<인터뷰> 이희향(학부모) : "돈 들어가는 것에 대비해서 얻는 효과가 적다. 자율고는 이제 시행을 하다보니까 아무래도 미비한 점이 있나봐요."

일반고보다 내신 성적 관리가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도 작용했습니다.

<인터뷰> 신혁수(중3학생) : "일반고보다 경쟁이 치열하니까 내신따려고 서로 전쟁을 하겠죠."

이에 따라 오는 2012년까지 자율고를 100여 곳으로 확대하려던 정부의 정책은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인터뷰> 임성호(고교 입시전문가) : "커리큘럼이나 학생 선발과정 등에서 자율성을 줘서 먼저 경쟁력을 키워야 합니다."

자율고와 함께 추가모집을 했던 서울지역 외고 4개교는 일반 모집에서 6.3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이며 정원을 모두 넘겼습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자율고, 추가 모집에서도 ‘미달 사태’
    • 입력 2010-12-18 08:14:19
    • 수정2010-12-18 08:59:52
    뉴스광장
<앵커 멘트> 이달 초 신입생 모집에서 대규모 정원미달 사태를 빚은 자율형 사립고 가운데 상당수가 추가모집에서도 미달을 면치 못했습니다. 등록금은 비싸지만 차별성은 눈에 띄지 않는다는 학부모들의 평가가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신입생 추가 모집에 들어간 서울의 한 자율형 사립고. 마감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도 원서 접수장은 썰렁합니다. <녹취> 학부모 : "생각보다 좀 그러네요. 오기 전에 인터넷으로 확인했는데 의외로 지원을 안 했더라구요." 어제 (17일) 마감한 서울지역 13개 자율고 신입생 추가모집에서 용문고가 200명이 이상 정원에 못미치는 등 전체 미달 인원이 9개교에서 858명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학교 수가 지난해 13개교에서 올해 두배로 늘어난 데다 일반고보다 등록금은 3배나 되지만 일부 학교들은 그만한 차별성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평가입니다. <인터뷰> 이희향(학부모) : "돈 들어가는 것에 대비해서 얻는 효과가 적다. 자율고는 이제 시행을 하다보니까 아무래도 미비한 점이 있나봐요." 일반고보다 내신 성적 관리가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도 작용했습니다. <인터뷰> 신혁수(중3학생) : "일반고보다 경쟁이 치열하니까 내신따려고 서로 전쟁을 하겠죠." 이에 따라 오는 2012년까지 자율고를 100여 곳으로 확대하려던 정부의 정책은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인터뷰> 임성호(고교 입시전문가) : "커리큘럼이나 학생 선발과정 등에서 자율성을 줘서 먼저 경쟁력을 키워야 합니다." 자율고와 함께 추가모집을 했던 서울지역 외고 4개교는 일반 모집에서 6.3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이며 정원을 모두 넘겼습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