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평창 완벽 유치 준비 ‘3번 실패 없다’
입력 2011.01.06 (22:12) 수정 2011.01.06 (22:14) 뉴스 9
<앵커 멘트>
강원도 평창이 동계 올림픽 유치 활동에 공식 돌입했습니다.
두 번의 고배 끝의 세번째 도전인만큼 각오가 남다릅니다.
엄기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원도 평창은 2010년과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연거푸 실패의 쓴잔을 마셔야 했습니다.
아픔을 딛고, 꿈을 이루기 위한 세 번째 도전의 닻을 올렸습니다.
그 첫번째 관문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IOC에 제출할 후보도시 파일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녹취>조양호(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 : "좌절하지 않았고 더욱 진전된 모습을 만들기 위해 부단이 노력해왔기에 이젠 그 노력이 열매 거둘 때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후보도시 파일에는 스키점프대 등 중요 경기시설이 완성됐고, 30분 거리 내에 밀도있게 조성됐다는 평창의 강점이 담겼습니다.
올림픽 특구지정 계획 등 정부의 지원도 강화됐다는 점도 집중 부각했습니다.
IOC는 이 개최도시 파일을 토대로 다음달 16일부터 나흘동안 평창을 직접 찾아 현지실사를 벌이게 됩니다.
평창의 경쟁도시론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가 뛰고 있습니다.
안시의 경우 유치위원장 사퇴 등 내부 갈등을 겪고 있어 사실상 평창과 뮌헨의 2파전 양상입니다.
강원도 평창의 꿈!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오는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강원도 평창이 동계 올림픽 유치 활동에 공식 돌입했습니다.
두 번의 고배 끝의 세번째 도전인만큼 각오가 남다릅니다.
엄기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원도 평창은 2010년과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연거푸 실패의 쓴잔을 마셔야 했습니다.
아픔을 딛고, 꿈을 이루기 위한 세 번째 도전의 닻을 올렸습니다.
그 첫번째 관문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IOC에 제출할 후보도시 파일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녹취>조양호(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 : "좌절하지 않았고 더욱 진전된 모습을 만들기 위해 부단이 노력해왔기에 이젠 그 노력이 열매 거둘 때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후보도시 파일에는 스키점프대 등 중요 경기시설이 완성됐고, 30분 거리 내에 밀도있게 조성됐다는 평창의 강점이 담겼습니다.
올림픽 특구지정 계획 등 정부의 지원도 강화됐다는 점도 집중 부각했습니다.
IOC는 이 개최도시 파일을 토대로 다음달 16일부터 나흘동안 평창을 직접 찾아 현지실사를 벌이게 됩니다.
평창의 경쟁도시론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가 뛰고 있습니다.
안시의 경우 유치위원장 사퇴 등 내부 갈등을 겪고 있어 사실상 평창과 뮌헨의 2파전 양상입니다.
강원도 평창의 꿈!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오는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 평창 완벽 유치 준비 ‘3번 실패 없다’
-
- 입력 2011-01-06 22:12:27
- 수정2011-01-06 22:14:23

<앵커 멘트>
강원도 평창이 동계 올림픽 유치 활동에 공식 돌입했습니다.
두 번의 고배 끝의 세번째 도전인만큼 각오가 남다릅니다.
엄기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원도 평창은 2010년과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연거푸 실패의 쓴잔을 마셔야 했습니다.
아픔을 딛고, 꿈을 이루기 위한 세 번째 도전의 닻을 올렸습니다.
그 첫번째 관문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IOC에 제출할 후보도시 파일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녹취>조양호(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 : "좌절하지 않았고 더욱 진전된 모습을 만들기 위해 부단이 노력해왔기에 이젠 그 노력이 열매 거둘 때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후보도시 파일에는 스키점프대 등 중요 경기시설이 완성됐고, 30분 거리 내에 밀도있게 조성됐다는 평창의 강점이 담겼습니다.
올림픽 특구지정 계획 등 정부의 지원도 강화됐다는 점도 집중 부각했습니다.
IOC는 이 개최도시 파일을 토대로 다음달 16일부터 나흘동안 평창을 직접 찾아 현지실사를 벌이게 됩니다.
평창의 경쟁도시론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가 뛰고 있습니다.
안시의 경우 유치위원장 사퇴 등 내부 갈등을 겪고 있어 사실상 평창과 뮌헨의 2파전 양상입니다.
강원도 평창의 꿈!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오는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강원도 평창이 동계 올림픽 유치 활동에 공식 돌입했습니다.
두 번의 고배 끝의 세번째 도전인만큼 각오가 남다릅니다.
엄기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원도 평창은 2010년과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연거푸 실패의 쓴잔을 마셔야 했습니다.
아픔을 딛고, 꿈을 이루기 위한 세 번째 도전의 닻을 올렸습니다.
그 첫번째 관문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는 IOC에 제출할 후보도시 파일에 공식 서명했습니다.
<녹취>조양호(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장) : "좌절하지 않았고 더욱 진전된 모습을 만들기 위해 부단이 노력해왔기에 이젠 그 노력이 열매 거둘 때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후보도시 파일에는 스키점프대 등 중요 경기시설이 완성됐고, 30분 거리 내에 밀도있게 조성됐다는 평창의 강점이 담겼습니다.
올림픽 특구지정 계획 등 정부의 지원도 강화됐다는 점도 집중 부각했습니다.
IOC는 이 개최도시 파일을 토대로 다음달 16일부터 나흘동안 평창을 직접 찾아 현지실사를 벌이게 됩니다.
평창의 경쟁도시론 독일 뮌헨과 프랑스 안시가 뛰고 있습니다.
안시의 경우 유치위원장 사퇴 등 내부 갈등을 겪고 있어 사실상 평창과 뮌헨의 2파전 양상입니다.
강원도 평창의 꿈!
2018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오는 7월 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리는 IOC총회에서 최종 결정됩니다.
KBS 뉴스 엄기숙 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엄기숙 기자 hotpencil@kbs.co.kr
엄기숙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