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고객 신상 팝니다” 환자 질병정보도 유통
입력 2011.01.06 (22:12) 수정 2011.01.07 (07:22) 뉴스 9
<앵커 멘트>
그렇다면 실제로 개인정보 침해실태는 어느 정도나 심각할까요?
경찰청 조사결과 지난 2005년 3천 7백 여 건이던 개인정보 침해건수가 2009년에는 4천 5백 여 건으로 4년만에 2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경종을 울리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이제는 환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돈을 받고 파는 회사까지 등장했습니다.
이어서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병원의 환자 진료 내역입니다.
환자의 증상과 과거, 현재의 병력, 각종 검사 결과와 투약일수, 투약량 등 환자에 대한 모든 기록이 나와있습니다.
의료진들만 볼 수 있고 의료 목적 외에는 활용될 수 없는 정보입니다.
그런데 이런 환자의 질병 정보가 병원 소프트웨어 관리업체들에 의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만 천여 병의원에 진료비 청구 소프트웨어를 납품하는 국내 최대 업체.
이 업체는 회원사인 병원으로부터 환자들의 정보를 원격으로 수집해 필요기관에 유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환자들의 진료 정보에까지 접근해 자료를 빼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녹취>윤창겸(대한의사협회 부회장) : "환자의 허락이 원칙적으로 중요하구요, 우리(의사)의 허락은 없이 정보가 다른데로 넘어간다는 것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심지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조차 알 수 없는 비급여 약품 항목인 식욕억제제 처방 사용 실태를 업체측이 의사들에게 배포까지 했습니다.
<녹취>류영철(업체 관계자) : "(환자들의)개인 정보는 전혀 배제된 연령대, 성별, 처방일수 등 이정도 자료만 갖고 있어서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더욱이 환자들의 질병 정보는 제약회사들에게 판매되고 있습니다.
<녹취>제약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왜냐하면 실적 평가를 해야하잖아요. 얼마나 팔았는지 모르니까."
때문에 일부 의사들로부터 의료법과 정보통신망법 위반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검찰 수사가 진행중인 가운데 국회에 계류중인 관련법의 정비도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개인정보 침해실태는 어느 정도나 심각할까요?
경찰청 조사결과 지난 2005년 3천 7백 여 건이던 개인정보 침해건수가 2009년에는 4천 5백 여 건으로 4년만에 2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경종을 울리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이제는 환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돈을 받고 파는 회사까지 등장했습니다.
이어서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병원의 환자 진료 내역입니다.
환자의 증상과 과거, 현재의 병력, 각종 검사 결과와 투약일수, 투약량 등 환자에 대한 모든 기록이 나와있습니다.
의료진들만 볼 수 있고 의료 목적 외에는 활용될 수 없는 정보입니다.
그런데 이런 환자의 질병 정보가 병원 소프트웨어 관리업체들에 의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만 천여 병의원에 진료비 청구 소프트웨어를 납품하는 국내 최대 업체.
이 업체는 회원사인 병원으로부터 환자들의 정보를 원격으로 수집해 필요기관에 유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환자들의 진료 정보에까지 접근해 자료를 빼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녹취>윤창겸(대한의사협회 부회장) : "환자의 허락이 원칙적으로 중요하구요, 우리(의사)의 허락은 없이 정보가 다른데로 넘어간다는 것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심지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조차 알 수 없는 비급여 약품 항목인 식욕억제제 처방 사용 실태를 업체측이 의사들에게 배포까지 했습니다.
<녹취>류영철(업체 관계자) : "(환자들의)개인 정보는 전혀 배제된 연령대, 성별, 처방일수 등 이정도 자료만 갖고 있어서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더욱이 환자들의 질병 정보는 제약회사들에게 판매되고 있습니다.
<녹취>제약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왜냐하면 실적 평가를 해야하잖아요. 얼마나 팔았는지 모르니까."
때문에 일부 의사들로부터 의료법과 정보통신망법 위반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검찰 수사가 진행중인 가운데 국회에 계류중인 관련법의 정비도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 “고객 신상 팝니다” 환자 질병정보도 유통
-
- 입력 2011-01-06 22:12:31
- 수정2011-01-07 07:22:34

<앵커 멘트>
그렇다면 실제로 개인정보 침해실태는 어느 정도나 심각할까요?
경찰청 조사결과 지난 2005년 3천 7백 여 건이던 개인정보 침해건수가 2009년에는 4천 5백 여 건으로 4년만에 2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경종을 울리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이제는 환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돈을 받고 파는 회사까지 등장했습니다.
이어서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병원의 환자 진료 내역입니다.
환자의 증상과 과거, 현재의 병력, 각종 검사 결과와 투약일수, 투약량 등 환자에 대한 모든 기록이 나와있습니다.
의료진들만 볼 수 있고 의료 목적 외에는 활용될 수 없는 정보입니다.
그런데 이런 환자의 질병 정보가 병원 소프트웨어 관리업체들에 의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만 천여 병의원에 진료비 청구 소프트웨어를 납품하는 국내 최대 업체.
이 업체는 회원사인 병원으로부터 환자들의 정보를 원격으로 수집해 필요기관에 유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환자들의 진료 정보에까지 접근해 자료를 빼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녹취>윤창겸(대한의사협회 부회장) : "환자의 허락이 원칙적으로 중요하구요, 우리(의사)의 허락은 없이 정보가 다른데로 넘어간다는 것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심지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조차 알 수 없는 비급여 약품 항목인 식욕억제제 처방 사용 실태를 업체측이 의사들에게 배포까지 했습니다.
<녹취>류영철(업체 관계자) : "(환자들의)개인 정보는 전혀 배제된 연령대, 성별, 처방일수 등 이정도 자료만 갖고 있어서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더욱이 환자들의 질병 정보는 제약회사들에게 판매되고 있습니다.
<녹취>제약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왜냐하면 실적 평가를 해야하잖아요. 얼마나 팔았는지 모르니까."
때문에 일부 의사들로부터 의료법과 정보통신망법 위반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검찰 수사가 진행중인 가운데 국회에 계류중인 관련법의 정비도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개인정보 침해실태는 어느 정도나 심각할까요?
경찰청 조사결과 지난 2005년 3천 7백 여 건이던 개인정보 침해건수가 2009년에는 4천 5백 여 건으로 4년만에 2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경종을 울리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이제는 환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돈을 받고 파는 회사까지 등장했습니다.
이어서 김병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병원의 환자 진료 내역입니다.
환자의 증상과 과거, 현재의 병력, 각종 검사 결과와 투약일수, 투약량 등 환자에 대한 모든 기록이 나와있습니다.
의료진들만 볼 수 있고 의료 목적 외에는 활용될 수 없는 정보입니다.
그런데 이런 환자의 질병 정보가 병원 소프트웨어 관리업체들에 의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만 천여 병의원에 진료비 청구 소프트웨어를 납품하는 국내 최대 업체.
이 업체는 회원사인 병원으로부터 환자들의 정보를 원격으로 수집해 필요기관에 유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환자들의 진료 정보에까지 접근해 자료를 빼내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녹취>윤창겸(대한의사협회 부회장) : "환자의 허락이 원칙적으로 중요하구요, 우리(의사)의 허락은 없이 정보가 다른데로 넘어간다는 것은 있을 수가 없습니다."
심지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조차 알 수 없는 비급여 약품 항목인 식욕억제제 처방 사용 실태를 업체측이 의사들에게 배포까지 했습니다.
<녹취>류영철(업체 관계자) : "(환자들의)개인 정보는 전혀 배제된 연령대, 성별, 처방일수 등 이정도 자료만 갖고 있어서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더욱이 환자들의 질병 정보는 제약회사들에게 판매되고 있습니다.
<녹취>제약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왜냐하면 실적 평가를 해야하잖아요. 얼마나 팔았는지 모르니까."
때문에 일부 의사들로부터 의료법과 정보통신망법 위반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검찰 수사가 진행중인 가운데 국회에 계류중인 관련법의 정비도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병용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병용 기자 kby@kbs.co.kr
김병용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