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싸움에 시민 등 터진다

입력 2011.01.20 (22:18) 수정 2011.01.20 (22: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양화대교 공사는 현재 60% 공정률에, 투입된 예산만 2백60억 원이 넘습니다.

백8십억 원을 더 투입하면 올 안에 끝날 공사가 전면 중단돼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이어서 김영인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화대교의 한강 하류 쪽 모습입니다.

다리 상판과 교각 2개가 철거된 채 주요 공사가 중단돼 있습니다.

7개월째 같은 모습입니다.

서울시의회 민주당 측이 양화대교 공사에 반대하며 나머지 상류 쪽 공사 예산 백 82억 원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입니다.

서울시가 오늘 의회를 향해 포문을 열었습니다.

이례적으로 선상 기자설명회까지 열었습니다.

<인터뷰> 이광세(서울시 토목부장) : "빨리 완공을 해서 이런 구조적인 문제를 빨리 해결해야겠습니다."

시의회 측의 입장은 정반대입니다.

큰 배가 지날 수 있을만큼 넓어진 다리 밑, 이 때문에 시의회 민주당 측은 양화대교 공사가 운하 사업의 하나라고 의심합니다.

또, 양화대교의 구조가 변경돼 크루즈선의 통행이 가능해지더라도 서울시의 주장처럼 중국 관광객 유치 효과는 거의 없다는 겁니다.

<인터뷰> 장환진(서울시의회 의원) : "하류측 다리는 예비비를 써서라도 조속히 공사를 마무리하고 대신 상류쪽 다리는 털끝 하나라도 건드리면 안된다는 게 시의회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이밖에도 양화대교 공사처럼 예산이 전액 삭감된 한강예술섬 조성 공사와 서울 브랜드 해외 마케팅 문제 등 갈등의 불씨는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서울시와 시의회 쪽 모두 시민을 위해 공방을 벌인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럴수록 역설적으로 시민들의 피해는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래 싸움에 시민 등 터진다
    • 입력 2011-01-20 22:18:26
    • 수정2011-01-20 22:39:59
    뉴스 9
<앵커 멘트> 양화대교 공사는 현재 60% 공정률에, 투입된 예산만 2백60억 원이 넘습니다. 백8십억 원을 더 투입하면 올 안에 끝날 공사가 전면 중단돼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이어서 김영인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화대교의 한강 하류 쪽 모습입니다. 다리 상판과 교각 2개가 철거된 채 주요 공사가 중단돼 있습니다. 7개월째 같은 모습입니다. 서울시의회 민주당 측이 양화대교 공사에 반대하며 나머지 상류 쪽 공사 예산 백 82억 원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입니다. 서울시가 오늘 의회를 향해 포문을 열었습니다. 이례적으로 선상 기자설명회까지 열었습니다. <인터뷰> 이광세(서울시 토목부장) : "빨리 완공을 해서 이런 구조적인 문제를 빨리 해결해야겠습니다." 시의회 측의 입장은 정반대입니다. 큰 배가 지날 수 있을만큼 넓어진 다리 밑, 이 때문에 시의회 민주당 측은 양화대교 공사가 운하 사업의 하나라고 의심합니다. 또, 양화대교의 구조가 변경돼 크루즈선의 통행이 가능해지더라도 서울시의 주장처럼 중국 관광객 유치 효과는 거의 없다는 겁니다. <인터뷰> 장환진(서울시의회 의원) : "하류측 다리는 예비비를 써서라도 조속히 공사를 마무리하고 대신 상류쪽 다리는 털끝 하나라도 건드리면 안된다는 게 시의회의 일관된 입장입니다." 이밖에도 양화대교 공사처럼 예산이 전액 삭감된 한강예술섬 조성 공사와 서울 브랜드 해외 마케팅 문제 등 갈등의 불씨는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 서울시와 시의회 쪽 모두 시민을 위해 공방을 벌인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그럴수록 역설적으로 시민들의 피해는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