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젤기관차, 이제 ‘역사 속으로’

입력 2011.02.07 (07:24) 수정 2011.02.07 (08: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설에도 기차 타고 편안하게 고향 다녀오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한국 철도의 중흥을 이끌었던 디젤기관차가 전기 기관차에 밀려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습니다.

송민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 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디젤 기관차,

<녹취>대한뉴스 음성: "4292년도 ICA 자금 중에서 이번에 디젤기관차 26대를 미국으로부터 구입했는데..."

디젤기관차의 힘과 속도는 당시로선 혁신적인 것이었습니다.

<인터뷰>정해영(전직 기관사): "부산에서 서울까지 하루가 걸렸던 것을 디젤은 6시간 정도로 획기적으로 줄여..."

이후 디젤기관차는 360대까지 늘어나며 철도 중흥기를 이끌어 왔습니다.

하지만 전국 철도망의 60%가 전기기관차를 투입할 수 있는 전철로 바뀌면서 전기차 운행률이 이미 70%를 넘어섰습니다.

디젤기관차가 전기차보다 연료 효율이 30%나 낮은데다 매연과 소음 등의 환경문제도 걸림돌이 됐기 때문입니다.

코레일은 이에 따라 디젤기관차 도입을 중단하고 비상용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자연 도태시킬 계획입니다.

<인터뷰>김오영(코레일 부장): "전철화 설비를 할 수 없는 구간에서 최소한 운영하고 2014년 이후에는 10% 내외로 제한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명절이면 수많은 귀성객들을 묵묵히 실어나르던 디젤기관차, 하지만 내구연한 25년이 지나면 수리를 거쳐 동남아 등으로 수출되게 됩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디젤기관차, 이제 ‘역사 속으로’
    • 입력 2011-02-07 07:24:46
    • 수정2011-02-07 08:12:14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이번 설에도 기차 타고 편안하게 고향 다녀오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한국 철도의 중흥을 이끌었던 디젤기관차가 전기 기관차에 밀려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습니다. 송민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 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디젤 기관차, <녹취>대한뉴스 음성: "4292년도 ICA 자금 중에서 이번에 디젤기관차 26대를 미국으로부터 구입했는데..." 디젤기관차의 힘과 속도는 당시로선 혁신적인 것이었습니다. <인터뷰>정해영(전직 기관사): "부산에서 서울까지 하루가 걸렸던 것을 디젤은 6시간 정도로 획기적으로 줄여..." 이후 디젤기관차는 360대까지 늘어나며 철도 중흥기를 이끌어 왔습니다. 하지만 전국 철도망의 60%가 전기기관차를 투입할 수 있는 전철로 바뀌면서 전기차 운행률이 이미 70%를 넘어섰습니다. 디젤기관차가 전기차보다 연료 효율이 30%나 낮은데다 매연과 소음 등의 환경문제도 걸림돌이 됐기 때문입니다. 코레일은 이에 따라 디젤기관차 도입을 중단하고 비상용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자연 도태시킬 계획입니다. <인터뷰>김오영(코레일 부장): "전철화 설비를 할 수 없는 구간에서 최소한 운영하고 2014년 이후에는 10% 내외로 제한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명절이면 수많은 귀성객들을 묵묵히 실어나르던 디젤기관차, 하지만 내구연한 25년이 지나면 수리를 거쳐 동남아 등으로 수출되게 됩니다. KBS 뉴스 송민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