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정부는 뒤늦게 관련자에 대한 재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사건을 인지하고도 적당히 덮고 넘어가려고 했던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의혹은 오히려 증폭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서지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상하이 총영사관 영사들의 부적절한 처신이 드러난 것은 지난해 11월,
총 영사관은 건강 등 개인문제를 이유로 문제가 된 영사 두 명의 귀임을 서둘러 외교부에 요청했습니다.
당시 외교부는 남녀 관계로만 치부하고 정보 유출 가능성은 조사하지 않은 채 타부처 파견이라는 이유로 원부서로 복귀시키는데 그쳤습니다.
법무부로 복귀한 영사에 대한 처리도 석연치 않습니다.
법무부는 비자 발급 처리 규정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사표를 받은 뒤 사건을 서둘러 마무리했습니다.
지경부 출신 영사는 부적절한 서약서까지 작성했었지만 이런 내용도 규명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문제는 다량의 정보가 유출됐다는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점입니다.
석 달 만에 추가 제보를 통해 정치권 고위 인사 연락처 등 개인 자료가 무더기로 유출됐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정부는 그제서야 관련자를 문책하고, 재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총영사가 관련됐던 대선 관련 조직의 전화번호까지 유출된만큼 김정기 총영사에 대한 조사도 불가피해 보입니다.
외교부 등 관련 부처가 사건을 축소 은폐하려 했다는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책임자에 대한 철저한 문책과 함께 영사 업무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정부는 뒤늦게 관련자에 대한 재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사건을 인지하고도 적당히 덮고 넘어가려고 했던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의혹은 오히려 증폭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서지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상하이 총영사관 영사들의 부적절한 처신이 드러난 것은 지난해 11월,
총 영사관은 건강 등 개인문제를 이유로 문제가 된 영사 두 명의 귀임을 서둘러 외교부에 요청했습니다.
당시 외교부는 남녀 관계로만 치부하고 정보 유출 가능성은 조사하지 않은 채 타부처 파견이라는 이유로 원부서로 복귀시키는데 그쳤습니다.
법무부로 복귀한 영사에 대한 처리도 석연치 않습니다.
법무부는 비자 발급 처리 규정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사표를 받은 뒤 사건을 서둘러 마무리했습니다.
지경부 출신 영사는 부적절한 서약서까지 작성했었지만 이런 내용도 규명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문제는 다량의 정보가 유출됐다는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점입니다.
석 달 만에 추가 제보를 통해 정치권 고위 인사 연락처 등 개인 자료가 무더기로 유출됐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정부는 그제서야 관련자를 문책하고, 재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총영사가 관련됐던 대선 관련 조직의 전화번호까지 유출된만큼 김정기 총영사에 대한 조사도 불가피해 보입니다.
외교부 등 관련 부처가 사건을 축소 은폐하려 했다는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책임자에 대한 철저한 문책과 함께 영사 업무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3달 동안 ‘쉬쉬’…곤혹 속 재조사 착수
-
- 입력 2011-03-08 22:04:43

<앵커 멘트>
정부는 뒤늦게 관련자에 대한 재조사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사건을 인지하고도 적당히 덮고 넘어가려고 했던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의혹은 오히려 증폭되고 있습니다.
이어서 서지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상하이 총영사관 영사들의 부적절한 처신이 드러난 것은 지난해 11월,
총 영사관은 건강 등 개인문제를 이유로 문제가 된 영사 두 명의 귀임을 서둘러 외교부에 요청했습니다.
당시 외교부는 남녀 관계로만 치부하고 정보 유출 가능성은 조사하지 않은 채 타부처 파견이라는 이유로 원부서로 복귀시키는데 그쳤습니다.
법무부로 복귀한 영사에 대한 처리도 석연치 않습니다.
법무부는 비자 발급 처리 규정을 위반한 사실을 확인하고도 사표를 받은 뒤 사건을 서둘러 마무리했습니다.
지경부 출신 영사는 부적절한 서약서까지 작성했었지만 이런 내용도 규명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문제는 다량의 정보가 유출됐다는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점입니다.
석 달 만에 추가 제보를 통해 정치권 고위 인사 연락처 등 개인 자료가 무더기로 유출됐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정부는 그제서야 관련자를 문책하고, 재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총영사가 관련됐던 대선 관련 조직의 전화번호까지 유출된만큼 김정기 총영사에 대한 조사도 불가피해 보입니다.
외교부 등 관련 부처가 사건을 축소 은폐하려 했다는 비판이 커지는 가운데 책임자에 대한 철저한 문책과 함께 영사 업무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지영입니다.
-
-
서지영 기자 sjy@kbs.co.kr
서지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