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외규장각’ 1차 귀환…갈길 먼 완전 환수

입력 2011.04.14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앞서 전해드린 대로 오늘 귀환한 외규장각 도서는 우리 선조들의 위대한 기록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조선 왕실의 관혼상제를 담아낸 의궤는 당대 최고 장인들의 솜씨가 담겨 있어 기록 문화의 ’백미’로 평가받고 있는데요.



외규장각 의궤 귀환을 계기로 해외 유출 문화재의 환수 문제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김 석 기자! 국내에도 조선왕실 의궤는 꽤 많이 남아 있는데, 이번에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가 더 특별한 이유는, 뭡니까?



<답변>



조선시대에는 의궤를 보통 예닐곱 권씩 만들어서 전국 각지에 나눠서 보관했는데, 이번에 돌아오는 강화도 외규장각 의궤는 왕이 직접 열람한 ’어람용 의궤’라는데 의미가 큽니다.



국내에 남아 있는 같은 내용의 다른 책과 한 번 비교해볼까요?



언뜻 봐선 똑같은 것 같지만, 보시는 것처럼 왼쪽에 있는 외규장각 본이 그림도 훨씬 정교할 뿐 아니라, 색도 더 선명하고 화려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최고의 정성을 들여 만들었기 때문에 문화재적 가치도 그만큼 더 큰 거죠.



또 하나, 중요한 것, 이번에 돌아오는 외규장각 의궤, 모두 다 해서 297권인데 이 가운데 30권은 국내에도 없는 유일본이란 점입니다. 오늘 1차분 가운데는 8권의 유일본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번 반환에 누구보다 감회가 깊은 사람은 프랑스에서 외규장각 도서를 처음 확인한 박병선 박사입니다.



이제 국민들이 힘을 모아 대여 방식이 아닌 반환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파리에서 이충형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박병선 박사가 외규장각 도서의 존재를 처음 확인한 건 지난 1975년.



파리 국립도서관 창고의 파지 더미 속에서 먼지에 덮여 있던 도서를 발견한 겁니다.



<인터뷰> 박병선(재불 역사학자) : "저 자신으로서는 한국땅 다시 가는게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마음이 훈훈하고 기쁘죠."



발견 후 10년이 넘게 매일 도서관에서 외규장각 정리에 매달렸지만, 한국내 반환 운동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사서 일자리도 잃었습니다.



도서를 발견한지 36년만의 귀환, 하지만 5년마다 갱신되는 대여 방식이라서 아쉬움은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프랑스 행정법원도 외규장각을 약탈했다는 부분을 인정했으므로 대여라는 형식은 부당하다는 겁니다.



때문에 이제 국민들이 힘을 모아 완전한 반환으로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인터뷰> 박병선(박사) : "소유권이라도 한국으로 돌려달라. 합심해서 노력해서 국민들이 호소해야죠."



이와 함께 소유권 반환을 위해 장기적인 추가 협상도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질문> 김석기자! 사실 외규장각 의궤 뿐 아니라 해외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 참 많은데요.



<답변>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문화재, 우리 정부가 공식 파악한 것만 13만 점이 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전 세계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의 실태와 앞으로의 과제를 남승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조선시대 군 최고지휘관이 썼던 ’용봉문 투구’! 왜군과의 전투에서 쓰였던 활!



그리고 고려시대 왕족의 것으로 추정되는 갑옷.



국내에는 없는 희귀 유물들로 일제 강점기 때 불법 유출돼 일본 야스쿠니 신사에 볼모처럼 전시돼 있습니다.



조선시대 문정왕후의 금도장 또한 해방기 무렵 종묘에서 무단 유출돼 미국의 한 미술관에 전시돼 있습니다.



또 일본 정부가 돌려주기로 한 조선왕실의궤는 지난해 11월 정부간 반환 협정까지 체결됐지만 일본 국회의 비준 동의가 계속 미뤄져 이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과 미국 독일 중국 등 해외로 유출 문화재는 공식 집계된 것만 14만 점이 넘지만, 지금껏 되찾은 건 8천 여 점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혜문(스님/문화재 환수 전문가) : "민간이 반환운동의 일정한 궤도까지 진행한 뒤에 정부가 나서서 타결하는 방식이 효과적인 대응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가 다음달 문화재청에 해외 문화재 전담팀을 신설하기로 했지만 인원이 6명에 불과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전담조직 강화와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외규장각’ 1차 귀환…갈길 먼 완전 환수
    • 입력 2011-04-14 22:05:24
    뉴스 9
<앵커 멘트>

앞서 전해드린 대로 오늘 귀환한 외규장각 도서는 우리 선조들의 위대한 기록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조선 왕실의 관혼상제를 담아낸 의궤는 당대 최고 장인들의 솜씨가 담겨 있어 기록 문화의 ’백미’로 평가받고 있는데요.

외규장각 의궤 귀환을 계기로 해외 유출 문화재의 환수 문제도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김 석 기자! 국내에도 조선왕실 의궤는 꽤 많이 남아 있는데, 이번에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가 더 특별한 이유는, 뭡니까?

<답변>

조선시대에는 의궤를 보통 예닐곱 권씩 만들어서 전국 각지에 나눠서 보관했는데, 이번에 돌아오는 강화도 외규장각 의궤는 왕이 직접 열람한 ’어람용 의궤’라는데 의미가 큽니다.

국내에 남아 있는 같은 내용의 다른 책과 한 번 비교해볼까요?

언뜻 봐선 똑같은 것 같지만, 보시는 것처럼 왼쪽에 있는 외규장각 본이 그림도 훨씬 정교할 뿐 아니라, 색도 더 선명하고 화려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최고의 정성을 들여 만들었기 때문에 문화재적 가치도 그만큼 더 큰 거죠.

또 하나, 중요한 것, 이번에 돌아오는 외규장각 의궤, 모두 다 해서 297권인데 이 가운데 30권은 국내에도 없는 유일본이란 점입니다. 오늘 1차분 가운데는 8권의 유일본이 포함돼 있습니다.

이번 반환에 누구보다 감회가 깊은 사람은 프랑스에서 외규장각 도서를 처음 확인한 박병선 박사입니다.

이제 국민들이 힘을 모아 대여 방식이 아닌 반환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파리에서 이충형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박병선 박사가 외규장각 도서의 존재를 처음 확인한 건 지난 1975년.

파리 국립도서관 창고의 파지 더미 속에서 먼지에 덮여 있던 도서를 발견한 겁니다.

<인터뷰> 박병선(재불 역사학자) : "저 자신으로서는 한국땅 다시 가는게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마음이 훈훈하고 기쁘죠."

발견 후 10년이 넘게 매일 도서관에서 외규장각 정리에 매달렸지만, 한국내 반환 운동을 일으켰다는 이유로 사서 일자리도 잃었습니다.

도서를 발견한지 36년만의 귀환, 하지만 5년마다 갱신되는 대여 방식이라서 아쉬움은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프랑스 행정법원도 외규장각을 약탈했다는 부분을 인정했으므로 대여라는 형식은 부당하다는 겁니다.

때문에 이제 국민들이 힘을 모아 완전한 반환으로 바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인터뷰> 박병선(박사) : "소유권이라도 한국으로 돌려달라. 합심해서 노력해서 국민들이 호소해야죠."

이와 함께 소유권 반환을 위해 장기적인 추가 협상도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질문> 김석기자! 사실 외규장각 의궤 뿐 아니라 해외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 참 많은데요.

<답변>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문화재, 우리 정부가 공식 파악한 것만 13만 점이 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전 세계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의 실태와 앞으로의 과제를 남승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조선시대 군 최고지휘관이 썼던 ’용봉문 투구’! 왜군과의 전투에서 쓰였던 활!

그리고 고려시대 왕족의 것으로 추정되는 갑옷.

국내에는 없는 희귀 유물들로 일제 강점기 때 불법 유출돼 일본 야스쿠니 신사에 볼모처럼 전시돼 있습니다.

조선시대 문정왕후의 금도장 또한 해방기 무렵 종묘에서 무단 유출돼 미국의 한 미술관에 전시돼 있습니다.

또 일본 정부가 돌려주기로 한 조선왕실의궤는 지난해 11월 정부간 반환 협정까지 체결됐지만 일본 국회의 비준 동의가 계속 미뤄져 이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과 미국 독일 중국 등 해외로 유출 문화재는 공식 집계된 것만 14만 점이 넘지만, 지금껏 되찾은 건 8천 여 점에 불과합니다.

<인터뷰> 혜문(스님/문화재 환수 전문가) : "민간이 반환운동의 일정한 궤도까지 진행한 뒤에 정부가 나서서 타결하는 방식이 효과적인 대응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부가 다음달 문화재청에 해외 문화재 전담팀을 신설하기로 했지만 인원이 6명에 불과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전담조직 강화와 장기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