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단독] 식량난 속 북한 주민 목숨 건 밀무역
입력 2011.04.15 (22:06) 뉴스 9
<앵커 멘트>
갈수록 어려워지는 북한의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최근 화면을 단독 입수했습니다.
북한 압록강변에서 북한 주민들이 중국과 밀무역하는 장면도 잡혔습니다.
소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양강도와 맞닿은 중국 국경지대.
남녀 2명이 나룻배로 물건을 든 상자를 옮겨 싣습니다.
잠시 뒤 강을 건너는 나룻배.
강가에 나온 북한 주민이 가져온 마대 자루 2개를 배에 싣고 다시 강을 건너 옵니다.
강가에 있는 북한 군인들이 이 장면을 보고 있지만 모른체 합니다.
북한 군인의 묵인 속에 중국산 물건과 북한산 버섯을 물물교환하는 밀무역이 이뤄진 것입니다.
<녹취> 북한 무역상 : "난 지금 밀수하러 같이 나왔다. 버섯 사려고 나왔다."
사 온 버섯이 마음에 들지 않자 휴대 전화로 북한에 전화를 걸어 따지기도 합니다.
<녹취> 북한 무역상 : "버섯이 나쁘다구. 웃기지 말구. 노릇노릇하잖아."
함경북도 청진의 장마당.
곡식에, 연탄, 그리고 우리의 6-70년대를 연상시키는 구두닦이들도 보입니다.
수레 옆에 앉아 요기를 때우는 여성.
이른바 '꽃제비'로 보이는 남자 어린이가 서성거리고 있습니다.
비슷한 처지의 어린이들이 누군가로부터 먹을 거리를 얻자 허겁지겁 입에 털어 넣습니다.
<녹취> "(집이 없어?) 네. (아버지 엄마는?) 아버지 없습니다."
화폐 개혁이 실패한 이후 출렁이는 물가 탓에 선뜻 물건을 사지 못하는 북한 주민들.
<녹취> "(얼마요? 그건) 천 백원. (비싸지) 비싸도 내려간 축입니다. 어제까지는 천 700원 했는데..."
배급제가 붕괴된 뒤 밀무역과 장마당마저 막을 경우 주민 경제가 마비될 거라는 게 북한을 왕래하는 무역상들의 증언입니다.
KBS 뉴스 소현정입니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북한의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최근 화면을 단독 입수했습니다.
북한 압록강변에서 북한 주민들이 중국과 밀무역하는 장면도 잡혔습니다.
소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양강도와 맞닿은 중국 국경지대.
남녀 2명이 나룻배로 물건을 든 상자를 옮겨 싣습니다.
잠시 뒤 강을 건너는 나룻배.
강가에 나온 북한 주민이 가져온 마대 자루 2개를 배에 싣고 다시 강을 건너 옵니다.
강가에 있는 북한 군인들이 이 장면을 보고 있지만 모른체 합니다.
북한 군인의 묵인 속에 중국산 물건과 북한산 버섯을 물물교환하는 밀무역이 이뤄진 것입니다.
<녹취> 북한 무역상 : "난 지금 밀수하러 같이 나왔다. 버섯 사려고 나왔다."
사 온 버섯이 마음에 들지 않자 휴대 전화로 북한에 전화를 걸어 따지기도 합니다.
<녹취> 북한 무역상 : "버섯이 나쁘다구. 웃기지 말구. 노릇노릇하잖아."
함경북도 청진의 장마당.
곡식에, 연탄, 그리고 우리의 6-70년대를 연상시키는 구두닦이들도 보입니다.
수레 옆에 앉아 요기를 때우는 여성.
이른바 '꽃제비'로 보이는 남자 어린이가 서성거리고 있습니다.
비슷한 처지의 어린이들이 누군가로부터 먹을 거리를 얻자 허겁지겁 입에 털어 넣습니다.
<녹취> "(집이 없어?) 네. (아버지 엄마는?) 아버지 없습니다."
화폐 개혁이 실패한 이후 출렁이는 물가 탓에 선뜻 물건을 사지 못하는 북한 주민들.
<녹취> "(얼마요? 그건) 천 백원. (비싸지) 비싸도 내려간 축입니다. 어제까지는 천 700원 했는데..."
배급제가 붕괴된 뒤 밀무역과 장마당마저 막을 경우 주민 경제가 마비될 거라는 게 북한을 왕래하는 무역상들의 증언입니다.
KBS 뉴스 소현정입니다.
- [단독] 식량난 속 북한 주민 목숨 건 밀무역
-
- 입력 2011-04-15 22:06:50

<앵커 멘트>
갈수록 어려워지는 북한의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최근 화면을 단독 입수했습니다.
북한 압록강변에서 북한 주민들이 중국과 밀무역하는 장면도 잡혔습니다.
소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양강도와 맞닿은 중국 국경지대.
남녀 2명이 나룻배로 물건을 든 상자를 옮겨 싣습니다.
잠시 뒤 강을 건너는 나룻배.
강가에 나온 북한 주민이 가져온 마대 자루 2개를 배에 싣고 다시 강을 건너 옵니다.
강가에 있는 북한 군인들이 이 장면을 보고 있지만 모른체 합니다.
북한 군인의 묵인 속에 중국산 물건과 북한산 버섯을 물물교환하는 밀무역이 이뤄진 것입니다.
<녹취> 북한 무역상 : "난 지금 밀수하러 같이 나왔다. 버섯 사려고 나왔다."
사 온 버섯이 마음에 들지 않자 휴대 전화로 북한에 전화를 걸어 따지기도 합니다.
<녹취> 북한 무역상 : "버섯이 나쁘다구. 웃기지 말구. 노릇노릇하잖아."
함경북도 청진의 장마당.
곡식에, 연탄, 그리고 우리의 6-70년대를 연상시키는 구두닦이들도 보입니다.
수레 옆에 앉아 요기를 때우는 여성.
이른바 '꽃제비'로 보이는 남자 어린이가 서성거리고 있습니다.
비슷한 처지의 어린이들이 누군가로부터 먹을 거리를 얻자 허겁지겁 입에 털어 넣습니다.
<녹취> "(집이 없어?) 네. (아버지 엄마는?) 아버지 없습니다."
화폐 개혁이 실패한 이후 출렁이는 물가 탓에 선뜻 물건을 사지 못하는 북한 주민들.
<녹취> "(얼마요? 그건) 천 백원. (비싸지) 비싸도 내려간 축입니다. 어제까지는 천 700원 했는데..."
배급제가 붕괴된 뒤 밀무역과 장마당마저 막을 경우 주민 경제가 마비될 거라는 게 북한을 왕래하는 무역상들의 증언입니다.
KBS 뉴스 소현정입니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북한의 실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최근 화면을 단독 입수했습니다.
북한 압록강변에서 북한 주민들이 중국과 밀무역하는 장면도 잡혔습니다.
소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양강도와 맞닿은 중국 국경지대.
남녀 2명이 나룻배로 물건을 든 상자를 옮겨 싣습니다.
잠시 뒤 강을 건너는 나룻배.
강가에 나온 북한 주민이 가져온 마대 자루 2개를 배에 싣고 다시 강을 건너 옵니다.
강가에 있는 북한 군인들이 이 장면을 보고 있지만 모른체 합니다.
북한 군인의 묵인 속에 중국산 물건과 북한산 버섯을 물물교환하는 밀무역이 이뤄진 것입니다.
<녹취> 북한 무역상 : "난 지금 밀수하러 같이 나왔다. 버섯 사려고 나왔다."
사 온 버섯이 마음에 들지 않자 휴대 전화로 북한에 전화를 걸어 따지기도 합니다.
<녹취> 북한 무역상 : "버섯이 나쁘다구. 웃기지 말구. 노릇노릇하잖아."
함경북도 청진의 장마당.
곡식에, 연탄, 그리고 우리의 6-70년대를 연상시키는 구두닦이들도 보입니다.
수레 옆에 앉아 요기를 때우는 여성.
이른바 '꽃제비'로 보이는 남자 어린이가 서성거리고 있습니다.
비슷한 처지의 어린이들이 누군가로부터 먹을 거리를 얻자 허겁지겁 입에 털어 넣습니다.
<녹취> "(집이 없어?) 네. (아버지 엄마는?) 아버지 없습니다."
화폐 개혁이 실패한 이후 출렁이는 물가 탓에 선뜻 물건을 사지 못하는 북한 주민들.
<녹취> "(얼마요? 그건) 천 백원. (비싸지) 비싸도 내려간 축입니다. 어제까지는 천 700원 했는데..."
배급제가 붕괴된 뒤 밀무역과 장마당마저 막을 경우 주민 경제가 마비될 거라는 게 북한을 왕래하는 무역상들의 증언입니다.
KBS 뉴스 소현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소현정 기자 shj204@kbs.co.kr
소현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