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올해 들어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직장인들이 크게 늘었습니다.
그러나 비정규직 근로자들에게 육아휴직 제도는 여전히 멀게만 느껴집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개구쟁이 두 아들과 맞벌이를 하는 아내를 둔 최민석 씨는 지금 육아휴직 중입니다.
그나마 휴직이 쉬운 학교에서 일하지만, 주위 시선 때문에 오랜 고민 끝에 휴직을 결정했습니다.
<인터뷰>최민석(육아휴직 중인 교사) : "낮에 같이 많이 놀면서 해줄 수 있는 인생에서 한 번밖에 없는 기회가 아닐까 싶어서…."
올해 1/4분기 육아휴직 급여 신청자가 만 4천여 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45% 늘었습니다.
남성 육아 휴직도 146명에서 273명으로 두 배가량 늘었습니다.
올해부터 육아 휴직 수당이 최고 두 배까지 인상되면서 휴직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육아휴직 수당은 매달 50만 원이었지만 올해에는 통상 임금의 40%로, 최저 5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로 올랐습니다.
육아휴직을 거부하는 고용주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는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배진경(여성노동자회 사무처장) : "비정규직 여성들 경우에는 (고용주가) 아주 깔끔하게, 계약이 만료됐으니까 너랑 더 이상 연장계약하지 않겠다고 이야기를 하죠."
노동계는 임신한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금지하는 방안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올해 들어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직장인들이 크게 늘었습니다.
그러나 비정규직 근로자들에게 육아휴직 제도는 여전히 멀게만 느껴집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개구쟁이 두 아들과 맞벌이를 하는 아내를 둔 최민석 씨는 지금 육아휴직 중입니다.
그나마 휴직이 쉬운 학교에서 일하지만, 주위 시선 때문에 오랜 고민 끝에 휴직을 결정했습니다.
<인터뷰>최민석(육아휴직 중인 교사) : "낮에 같이 많이 놀면서 해줄 수 있는 인생에서 한 번밖에 없는 기회가 아닐까 싶어서…."
올해 1/4분기 육아휴직 급여 신청자가 만 4천여 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45% 늘었습니다.
남성 육아 휴직도 146명에서 273명으로 두 배가량 늘었습니다.
올해부터 육아 휴직 수당이 최고 두 배까지 인상되면서 휴직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육아휴직 수당은 매달 50만 원이었지만 올해에는 통상 임금의 40%로, 최저 5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로 올랐습니다.
육아휴직을 거부하는 고용주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는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배진경(여성노동자회 사무처장) : "비정규직 여성들 경우에는 (고용주가) 아주 깔끔하게, 계약이 만료됐으니까 너랑 더 이상 연장계약하지 않겠다고 이야기를 하죠."
노동계는 임신한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금지하는 방안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육아휴직 45% 급증…비정규직 차별 여전
-
- 입력 2011-04-21 07:55:17

<앵커 멘트>
올해 들어 육아휴직을 신청하는 직장인들이 크게 늘었습니다.
그러나 비정규직 근로자들에게 육아휴직 제도는 여전히 멀게만 느껴집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개구쟁이 두 아들과 맞벌이를 하는 아내를 둔 최민석 씨는 지금 육아휴직 중입니다.
그나마 휴직이 쉬운 학교에서 일하지만, 주위 시선 때문에 오랜 고민 끝에 휴직을 결정했습니다.
<인터뷰>최민석(육아휴직 중인 교사) : "낮에 같이 많이 놀면서 해줄 수 있는 인생에서 한 번밖에 없는 기회가 아닐까 싶어서…."
올해 1/4분기 육아휴직 급여 신청자가 만 4천여 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45% 늘었습니다.
남성 육아 휴직도 146명에서 273명으로 두 배가량 늘었습니다.
올해부터 육아 휴직 수당이 최고 두 배까지 인상되면서 휴직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육아휴직 수당은 매달 50만 원이었지만 올해에는 통상 임금의 40%로, 최저 5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로 올랐습니다.
육아휴직을 거부하는 고용주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정규직 노동자는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배진경(여성노동자회 사무처장) : "비정규직 여성들 경우에는 (고용주가) 아주 깔끔하게, 계약이 만료됐으니까 너랑 더 이상 연장계약하지 않겠다고 이야기를 하죠."
노동계는 임신한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해고를 금지하는 방안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대기입니다.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