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라덴 사망…서울 환시엔 악재?

입력 2011.05.02 (14:17) 수정 2011.05.02 (14: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알 카에다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 사망을 공식 발표한 이후 국내 금융시장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2일 빈 라덴 사망이 전해진 오전 11시45분을 전후로 10포인트 이상 상승하면서 2,220포인트 위를 넘나들고 있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1,066원선까지 떨어진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낙폭을 축소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오후 1시 10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4.40원 내린 1,067.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빈 라덴 사망 이후 테러 위협 감소를 이유로 국제유가가 떨어진다면, 투자자들 사이에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구체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만일 국제금융시장에서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된다면 코스피지수는 상승 압력을, 원·달러 환율은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빈 라덴 사망이 국제 달러 강세를 촉발한다면 원·달러 환율은 상승 압력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외국계은행 딜러는 "최근 아시아 외환시장에서 원화를 포함한 각국 통화는 달러에 대해 절상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빈 라덴 사망소식은 달러 대비 아시아 통화의 절상 압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빈 라덴 사망이 글로벌 달러 강세에 영향을 준다면 (원·달러)환율은 오히려 오름세를 보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시중은행 딜러는 "현재 원·달러 환율은 빈 라덴 사망에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지만, 코스피지수가 외국인 매수를 동반하며 오름세를 확대할 경우 환율 하락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9.11 테러의 배후인 빈 라덴이 사망했다고 1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빈 라덴 사망…서울 환시엔 악재?
    • 입력 2011-05-02 14:17:59
    • 수정2011-05-02 14:26:31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알 카에다 지도자인 오사마 빈 라덴 사망을 공식 발표한 이후 국내 금융시장의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2일 빈 라덴 사망이 전해진 오전 11시45분을 전후로 10포인트 이상 상승하면서 2,220포인트 위를 넘나들고 있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1,066원선까지 떨어진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낙폭을 축소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오후 1시 10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4.40원 내린 1,067.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빈 라덴 사망 이후 테러 위협 감소를 이유로 국제유가가 떨어진다면, 투자자들 사이에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구체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만일 국제금융시장에서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강화된다면 코스피지수는 상승 압력을, 원·달러 환율은 하락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빈 라덴 사망이 국제 달러 강세를 촉발한다면 원·달러 환율은 상승 압력을 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외국계은행 딜러는 "최근 아시아 외환시장에서 원화를 포함한 각국 통화는 달러에 대해 절상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빈 라덴 사망소식은 달러 대비 아시아 통화의 절상 압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빈 라덴 사망이 글로벌 달러 강세에 영향을 준다면 (원·달러)환율은 오히려 오름세를 보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시중은행 딜러는 "현재 원·달러 환율은 빈 라덴 사망에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지만, 코스피지수가 외국인 매수를 동반하며 오름세를 확대할 경우 환율 하락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9.11 테러의 배후인 빈 라덴이 사망했다고 1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