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날씨가 더워지다 보니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냉장 냉면제품이 인기인데요.
대기업 냉면 겨자소스에서 어린이의 치아가 나와 식약청이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김나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냉면 겨자 소스에서 나왔다는 어린이의 치아입니다.
지난 7일, 30대 주부 문모 씨가 대형마트에서 구입한 유명 식품회사 제품입니다.
문 씨는 냉면 소스를 여는 순간, 그 안에서 옥수수 알 모양의 이물질이 나왔다고 말합니다.
<녹취> 냉면 소스안 치아 신고자(음성변조) : "튜브 짜듯이 짰어요. 뭐가 탁 나오는데 겨자색깔하고 섞였으니 옥수수콘이
탁 나오더라고요. 나무젓가락으로 보니까 사람 이빨 같더라고요."
전문가들은 문제의 이물질이 아홉 살에서 열두 살 사이 어린이의 젓니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위 턱 오른쪽 송곳니일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인터뷰>김영재(서울대 치과대학 교수) : "어떤 충격에 의해서 부서진 파설선이 관찰됩니다. 적어도 일주일에서 한 달은 경과된 치아로 보입니다."
해당 업체는 제조과정에서 들어갔을 가능성은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제조 설비 거름망 눈금이 1밀리미터로 촘촘한 데다, 겨자가 산성을 띠고 있어 치아가 들어갔다면 이미 부식됐을 것이란 설명입니다.
식약청은 문제의 치아가 언제 어떻게 들어갔는지 여부를 가리기 위해, 다각적인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날씨가 더워지다 보니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냉장 냉면제품이 인기인데요.
대기업 냉면 겨자소스에서 어린이의 치아가 나와 식약청이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김나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냉면 겨자 소스에서 나왔다는 어린이의 치아입니다.
지난 7일, 30대 주부 문모 씨가 대형마트에서 구입한 유명 식품회사 제품입니다.
문 씨는 냉면 소스를 여는 순간, 그 안에서 옥수수 알 모양의 이물질이 나왔다고 말합니다.
<녹취> 냉면 소스안 치아 신고자(음성변조) : "튜브 짜듯이 짰어요. 뭐가 탁 나오는데 겨자색깔하고 섞였으니 옥수수콘이
탁 나오더라고요. 나무젓가락으로 보니까 사람 이빨 같더라고요."
전문가들은 문제의 이물질이 아홉 살에서 열두 살 사이 어린이의 젓니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위 턱 오른쪽 송곳니일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인터뷰>김영재(서울대 치과대학 교수) : "어떤 충격에 의해서 부서진 파설선이 관찰됩니다. 적어도 일주일에서 한 달은 경과된 치아로 보입니다."
해당 업체는 제조과정에서 들어갔을 가능성은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제조 설비 거름망 눈금이 1밀리미터로 촘촘한 데다, 겨자가 산성을 띠고 있어 치아가 들어갔다면 이미 부식됐을 것이란 설명입니다.
식약청은 문제의 치아가 언제 어떻게 들어갔는지 여부를 가리기 위해, 다각적인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냉면 겨자소스에서 ‘어린이 치아’ 나와
-
- 입력 2011-06-15 07:54:29

<앵커 멘트>
날씨가 더워지다 보니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냉장 냉면제품이 인기인데요.
대기업 냉면 겨자소스에서 어린이의 치아가 나와 식약청이 진상 조사에 나섰습니다.
김나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냉면 겨자 소스에서 나왔다는 어린이의 치아입니다.
지난 7일, 30대 주부 문모 씨가 대형마트에서 구입한 유명 식품회사 제품입니다.
문 씨는 냉면 소스를 여는 순간, 그 안에서 옥수수 알 모양의 이물질이 나왔다고 말합니다.
<녹취> 냉면 소스안 치아 신고자(음성변조) : "튜브 짜듯이 짰어요. 뭐가 탁 나오는데 겨자색깔하고 섞였으니 옥수수콘이
탁 나오더라고요. 나무젓가락으로 보니까 사람 이빨 같더라고요."
전문가들은 문제의 이물질이 아홉 살에서 열두 살 사이 어린이의 젓니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위 턱 오른쪽 송곳니일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인터뷰>김영재(서울대 치과대학 교수) : "어떤 충격에 의해서 부서진 파설선이 관찰됩니다. 적어도 일주일에서 한 달은 경과된 치아로 보입니다."
해당 업체는 제조과정에서 들어갔을 가능성은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제조 설비 거름망 눈금이 1밀리미터로 촘촘한 데다, 겨자가 산성을 띠고 있어 치아가 들어갔다면 이미 부식됐을 것이란 설명입니다.
식약청은 문제의 치아가 언제 어떻게 들어갔는지 여부를 가리기 위해, 다각적인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
-
김나나 기자 nana@kbs.co.kr
김나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