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경제] 고유가에 경차·소형차 판매 비율 최고

입력 2011.09.06 (07:01) 수정 2011.09.06 (07: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경차와 소형차 판매가 크게 늘었습니다.

기름값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조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자동차 영업소입니다.

지난해에는 경차가 한 달에 평균 60대 정도 팔렸지만 올해는 80대 가까이 팔리고 있습니다.

경차 판매가 늘어난 가장 큰 배경은 비싼 기름값 때문입니다.

<인터뷰>안광일(경차 구매고객) : "기름값도 비싸고 그래서 세금도 줄이고 기름값도 좀 줄이고 싶어서... 교통비 지출이 너무 많습니다."

천CC 이하 경차의 경우 지난해보다 올해 판매량이 19% 늘었고 천6백CC 이하 소형차는 40% 이상 급증했습니다.

지난달 팔린 차량 가운데 경차와 소형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53.5%로 올해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고유가에다 글로벌 경제 불안까지 겹쳐지면서 경차와 소형차를 찾는 고객은 앞으로 꾸준히 늘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터뷰>김중대(기아차 국내마케팅 부장) : "기본적으로 고연비 차량,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라든지 EV(전기차)라든지 아니면 경차라든지 이런 쪽의 수요가 더 커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통적으로 대형차가 다수를 차지해 온 수입차 시장에서도 올해 들어 2천CC 미만 차량의 판매가 40%를 넘어서는 등 중형과 소형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현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생경제] 고유가에 경차·소형차 판매 비율 최고
    • 입력 2011-09-06 07:01:10
    • 수정2011-09-06 07:04:28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최근 경차와 소형차 판매가 크게 늘었습니다. 기름값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조현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자동차 영업소입니다. 지난해에는 경차가 한 달에 평균 60대 정도 팔렸지만 올해는 80대 가까이 팔리고 있습니다. 경차 판매가 늘어난 가장 큰 배경은 비싼 기름값 때문입니다. <인터뷰>안광일(경차 구매고객) : "기름값도 비싸고 그래서 세금도 줄이고 기름값도 좀 줄이고 싶어서... 교통비 지출이 너무 많습니다." 천CC 이하 경차의 경우 지난해보다 올해 판매량이 19% 늘었고 천6백CC 이하 소형차는 40% 이상 급증했습니다. 지난달 팔린 차량 가운데 경차와 소형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53.5%로 올해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고유가에다 글로벌 경제 불안까지 겹쳐지면서 경차와 소형차를 찾는 고객은 앞으로 꾸준히 늘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터뷰>김중대(기아차 국내마케팅 부장) : "기본적으로 고연비 차량,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라든지 EV(전기차)라든지 아니면 경차라든지 이런 쪽의 수요가 더 커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통적으로 대형차가 다수를 차지해 온 수입차 시장에서도 올해 들어 2천CC 미만 차량의 판매가 40%를 넘어서는 등 중형과 소형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현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