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음식물 폐수 공사 중단’ 정부·지자체 소송전
입력 2011.12.05 (07:29) 뉴스광장 1부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국제협약에 따라 내후년부턴 음식물 폐수를 바다에 버릴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정부는 초대형 육상 처리장을 짓고 있는데, 이 공사가 중단 위기에 빠졌습니다.
자칫하면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20톤짜리 저장고를 가득 채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정 끝에 남는 최종 부산물은 음식물 폐수, 약칭 '음폐수'입니다.
전체 쓰레기 중량의 80%나 차지합니다.
<인터뷰> 최윤근(동대문환경개발공사) : “식생활이 국이나 찌개 같은 물을 많이 함유한 음식물이 많기 때문에..”
이 음폐수의 절반 정도는 바다에 버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3년 1월부턴 해양투기가 금지됩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산하 수도권매립지공사에 초대형 음폐수 가스화 시설을 착공했습니다.
그런데 두 달 전 공사가 전면 중단됐습니다.
관할인 인천 서구의 건축 허가를 안 받고 배짱 공사를 하다 경찰에 고발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형수(인천 서구 건축팀장) : “공유수면 매립에 관한 법률을 이행하지 않아서 지금까지 허가가 지연되고 있는 사항입니다”
현재 공정률은 30%에 불과합니다.
또 올해 안에 공사를 재개하지 않으면, 내년 말인 완공 시한을 맞출 수 없는 상황.
정부는 인천 서구가 협약을 어기고 건축을 불허하고 있다며 최근 행정소송을 내는 맞불을 놨습니다.
<인터뷰> 최병철(수도권매립공사 에너지본부장) : “앞으로 2년~3년 후에 준공하게 되기 때문에 음폐수 해양투기 금지에 대처할 수 없습니다”
소송전이 장기화될 조짐인 가운데, 음식물 폐수를 바다에도 땅에도 처리 못 하는 최악의 사태까지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국제협약에 따라 내후년부턴 음식물 폐수를 바다에 버릴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정부는 초대형 육상 처리장을 짓고 있는데, 이 공사가 중단 위기에 빠졌습니다.
자칫하면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20톤짜리 저장고를 가득 채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정 끝에 남는 최종 부산물은 음식물 폐수, 약칭 '음폐수'입니다.
전체 쓰레기 중량의 80%나 차지합니다.
<인터뷰> 최윤근(동대문환경개발공사) : “식생활이 국이나 찌개 같은 물을 많이 함유한 음식물이 많기 때문에..”
이 음폐수의 절반 정도는 바다에 버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3년 1월부턴 해양투기가 금지됩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산하 수도권매립지공사에 초대형 음폐수 가스화 시설을 착공했습니다.
그런데 두 달 전 공사가 전면 중단됐습니다.
관할인 인천 서구의 건축 허가를 안 받고 배짱 공사를 하다 경찰에 고발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형수(인천 서구 건축팀장) : “공유수면 매립에 관한 법률을 이행하지 않아서 지금까지 허가가 지연되고 있는 사항입니다”
현재 공정률은 30%에 불과합니다.
또 올해 안에 공사를 재개하지 않으면, 내년 말인 완공 시한을 맞출 수 없는 상황.
정부는 인천 서구가 협약을 어기고 건축을 불허하고 있다며 최근 행정소송을 내는 맞불을 놨습니다.
<인터뷰> 최병철(수도권매립공사 에너지본부장) : “앞으로 2년~3년 후에 준공하게 되기 때문에 음폐수 해양투기 금지에 대처할 수 없습니다”
소송전이 장기화될 조짐인 가운데, 음식물 폐수를 바다에도 땅에도 처리 못 하는 최악의 사태까지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음식물 폐수 공사 중단’ 정부·지자체 소송전
-
- 입력 2011-12-05 07:29:06

<앵커 멘트>
국제협약에 따라 내후년부턴 음식물 폐수를 바다에 버릴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정부는 초대형 육상 처리장을 짓고 있는데, 이 공사가 중단 위기에 빠졌습니다.
자칫하면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20톤짜리 저장고를 가득 채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정 끝에 남는 최종 부산물은 음식물 폐수, 약칭 '음폐수'입니다.
전체 쓰레기 중량의 80%나 차지합니다.
<인터뷰> 최윤근(동대문환경개발공사) : “식생활이 국이나 찌개 같은 물을 많이 함유한 음식물이 많기 때문에..”
이 음폐수의 절반 정도는 바다에 버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3년 1월부턴 해양투기가 금지됩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산하 수도권매립지공사에 초대형 음폐수 가스화 시설을 착공했습니다.
그런데 두 달 전 공사가 전면 중단됐습니다.
관할인 인천 서구의 건축 허가를 안 받고 배짱 공사를 하다 경찰에 고발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형수(인천 서구 건축팀장) : “공유수면 매립에 관한 법률을 이행하지 않아서 지금까지 허가가 지연되고 있는 사항입니다”
현재 공정률은 30%에 불과합니다.
또 올해 안에 공사를 재개하지 않으면, 내년 말인 완공 시한을 맞출 수 없는 상황.
정부는 인천 서구가 협약을 어기고 건축을 불허하고 있다며 최근 행정소송을 내는 맞불을 놨습니다.
<인터뷰> 최병철(수도권매립공사 에너지본부장) : “앞으로 2년~3년 후에 준공하게 되기 때문에 음폐수 해양투기 금지에 대처할 수 없습니다”
소송전이 장기화될 조짐인 가운데, 음식물 폐수를 바다에도 땅에도 처리 못 하는 최악의 사태까지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국제협약에 따라 내후년부턴 음식물 폐수를 바다에 버릴 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정부는 초대형 육상 처리장을 짓고 있는데, 이 공사가 중단 위기에 빠졌습니다.
자칫하면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는 상황,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백20톤짜리 저장고를 가득 채운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정 끝에 남는 최종 부산물은 음식물 폐수, 약칭 '음폐수'입니다.
전체 쓰레기 중량의 80%나 차지합니다.
<인터뷰> 최윤근(동대문환경개발공사) : “식생활이 국이나 찌개 같은 물을 많이 함유한 음식물이 많기 때문에..”
이 음폐수의 절반 정도는 바다에 버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3년 1월부턴 해양투기가 금지됩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산하 수도권매립지공사에 초대형 음폐수 가스화 시설을 착공했습니다.
그런데 두 달 전 공사가 전면 중단됐습니다.
관할인 인천 서구의 건축 허가를 안 받고 배짱 공사를 하다 경찰에 고발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형수(인천 서구 건축팀장) : “공유수면 매립에 관한 법률을 이행하지 않아서 지금까지 허가가 지연되고 있는 사항입니다”
현재 공정률은 30%에 불과합니다.
또 올해 안에 공사를 재개하지 않으면, 내년 말인 완공 시한을 맞출 수 없는 상황.
정부는 인천 서구가 협약을 어기고 건축을 불허하고 있다며 최근 행정소송을 내는 맞불을 놨습니다.
<인터뷰> 최병철(수도권매립공사 에너지본부장) : “앞으로 2년~3년 후에 준공하게 되기 때문에 음폐수 해양투기 금지에 대처할 수 없습니다”
소송전이 장기화될 조짐인 가운데, 음식물 폐수를 바다에도 땅에도 처리 못 하는 최악의 사태까지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준범 기자 jbkim@kbs.co.kr
김준범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