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만 원 짜리 고가 등산복이 교복?
입력 2011.12.09 (09:04)
수정 2011.12.09 (16: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서울 시내 한 중학교의 모습입니다. 자세히 보면 많은 학생들이 유명 브랜드의 등산복 점퍼를 똑같이 입고 있습니다.
한 벌에 50만원 안팎하는 이런 고가의 등산복이 이른바 또래 문화라는 이름으로 교복의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영풍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명 브랜드의 등산복 점퍼를 학생들이 똑같이 입고 있습니다.
한 벌에 47만원인데 학생들 사이에서는 그냥 교복으로 불립니다.
<인터뷰> 이종서(남학생) : "유명하니까 다입고"
<인터뷰> 김현욱(남학생) : "엄마졸라서 샀어요"
<녹취> "손 들어보세요!"
이 학급의 경우 절반 정도가 특정 브랜드 점퍼를 입고 있습니다.
<인터뷰> 여학생 : "이거 안 입고 다른 브랜드 입으면 왕따 당합니다."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도 바지 가격만 7만 원하는 유명 브랜드 체육복이 유행입니다.
<인터뷰> 김경희(학부모) : "3일 전부터 졸라요. 아직까지 사준다고는 아직..비싸서요."
학생의 3분의 1 정도가 입고 있는데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인터뷰> 박정숙 교사 : "애들이 유명 연예인 따라서 디자인 선호하고 그래서 입는 것 같아요"
이 판매장에서는 지난 두달 동안 청소년을 상대로만 고가의 점퍼를 3백 개 정도 팔았습니다.
<인터뷰> 판매원(음성변조) : "이건 없어서 못 팔아요. 품절됐구요."
지난 8~90년대의 유명 운동화나 청바지 소비 열풍이 외제 상품에 대한 동경이나 과시욕이었다면, 최근 현상은 또래 집단에 속하기 위한 동조 소비라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조은영(심리학 박사) : "집단에 동조하면서 그들이 가는 대세를 따르는 것이 불안감을 해소하고 소외감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거죠."
이런 현상을 막기위해 몇 몇 학교에서는 2~3만원 정도하는 학교 체육복을 공동 구매했습니다.
<인터뷰>교장 : "고가의 체육복 때문에 빈부격차에 따라 (학생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돼 체육복 공동구매를 하게 됐습니다."
교복자율화가 당초 취지와는 달리 학생들의 고가의 브랜드 상품소비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KBS 이영풍입니다.
서울 시내 한 중학교의 모습입니다. 자세히 보면 많은 학생들이 유명 브랜드의 등산복 점퍼를 똑같이 입고 있습니다.
한 벌에 50만원 안팎하는 이런 고가의 등산복이 이른바 또래 문화라는 이름으로 교복의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영풍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명 브랜드의 등산복 점퍼를 학생들이 똑같이 입고 있습니다.
한 벌에 47만원인데 학생들 사이에서는 그냥 교복으로 불립니다.
<인터뷰> 이종서(남학생) : "유명하니까 다입고"
<인터뷰> 김현욱(남학생) : "엄마졸라서 샀어요"
<녹취> "손 들어보세요!"
이 학급의 경우 절반 정도가 특정 브랜드 점퍼를 입고 있습니다.
<인터뷰> 여학생 : "이거 안 입고 다른 브랜드 입으면 왕따 당합니다."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도 바지 가격만 7만 원하는 유명 브랜드 체육복이 유행입니다.
<인터뷰> 김경희(학부모) : "3일 전부터 졸라요. 아직까지 사준다고는 아직..비싸서요."
학생의 3분의 1 정도가 입고 있는데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인터뷰> 박정숙 교사 : "애들이 유명 연예인 따라서 디자인 선호하고 그래서 입는 것 같아요"
이 판매장에서는 지난 두달 동안 청소년을 상대로만 고가의 점퍼를 3백 개 정도 팔았습니다.
<인터뷰> 판매원(음성변조) : "이건 없어서 못 팔아요. 품절됐구요."
지난 8~90년대의 유명 운동화나 청바지 소비 열풍이 외제 상품에 대한 동경이나 과시욕이었다면, 최근 현상은 또래 집단에 속하기 위한 동조 소비라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조은영(심리학 박사) : "집단에 동조하면서 그들이 가는 대세를 따르는 것이 불안감을 해소하고 소외감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거죠."
이런 현상을 막기위해 몇 몇 학교에서는 2~3만원 정도하는 학교 체육복을 공동 구매했습니다.
<인터뷰>교장 : "고가의 체육복 때문에 빈부격차에 따라 (학생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돼 체육복 공동구매를 하게 됐습니다."
교복자율화가 당초 취지와는 달리 학생들의 고가의 브랜드 상품소비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KBS 이영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7만 원 짜리 고가 등산복이 교복?
-
- 입력 2011-12-09 09:04:16
- 수정2011-12-09 16:45:18

<앵커 멘트>
서울 시내 한 중학교의 모습입니다. 자세히 보면 많은 학생들이 유명 브랜드의 등산복 점퍼를 똑같이 입고 있습니다.
한 벌에 50만원 안팎하는 이런 고가의 등산복이 이른바 또래 문화라는 이름으로 교복의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영풍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유명 브랜드의 등산복 점퍼를 학생들이 똑같이 입고 있습니다.
한 벌에 47만원인데 학생들 사이에서는 그냥 교복으로 불립니다.
<인터뷰> 이종서(남학생) : "유명하니까 다입고"
<인터뷰> 김현욱(남학생) : "엄마졸라서 샀어요"
<녹취> "손 들어보세요!"
이 학급의 경우 절반 정도가 특정 브랜드 점퍼를 입고 있습니다.
<인터뷰> 여학생 : "이거 안 입고 다른 브랜드 입으면 왕따 당합니다."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도 바지 가격만 7만 원하는 유명 브랜드 체육복이 유행입니다.
<인터뷰> 김경희(학부모) : "3일 전부터 졸라요. 아직까지 사준다고는 아직..비싸서요."
학생의 3분의 1 정도가 입고 있는데 계속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인터뷰> 박정숙 교사 : "애들이 유명 연예인 따라서 디자인 선호하고 그래서 입는 것 같아요"
이 판매장에서는 지난 두달 동안 청소년을 상대로만 고가의 점퍼를 3백 개 정도 팔았습니다.
<인터뷰> 판매원(음성변조) : "이건 없어서 못 팔아요. 품절됐구요."
지난 8~90년대의 유명 운동화나 청바지 소비 열풍이 외제 상품에 대한 동경이나 과시욕이었다면, 최근 현상은 또래 집단에 속하기 위한 동조 소비라는 분석입니다.
<인터뷰> 조은영(심리학 박사) : "집단에 동조하면서 그들이 가는 대세를 따르는 것이 불안감을 해소하고 소외감에서 멀어지는 것으로 판단하는 거죠."
이런 현상을 막기위해 몇 몇 학교에서는 2~3만원 정도하는 학교 체육복을 공동 구매했습니다.
<인터뷰>교장 : "고가의 체육복 때문에 빈부격차에 따라 (학생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돼 체육복 공동구매를 하게 됐습니다."
교복자율화가 당초 취지와는 달리 학생들의 고가의 브랜드 상품소비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KBS 이영풍입니다.
-
-
이영풍 기자 yplee@kbs.co.kr
이영풍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