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충전] 찬바람에 ‘눈물이 줄줄’…방치는 금물
입력 2011.12.19 (09:01)
수정 2011.12.19 (18: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 주부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눈물이 너무 많이 나온다면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네, 대부분 처음에는 찬바람 때문에 그런가 보다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기 쉬운데요.
생활하기에 불편할 정도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게 좋다고 합니다.
조빛나 기자, 나이가 들면 원래 눈물이 많아지는 거다, 이런 얘기들을 하곤 하는데, 그냥 놔둬서는 안 되겠군요.
<리포트>
그렇습니다.
슬프거나 기쁘거나 하는 감정과는 상관없이 눈물이 나는 증상, 중년 분들에게는 특히 많지만 30대 젊은 사람들에게도 나타나는데요.
눈물 흘림증이라는 질병입니다.
특히 요즘같이 찬바람이 불거나 건조할 때면 더 증상이 심해지는데요.
방치했다가는 시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눈물이 없어서 인공눈물을 계속 넣어야하는 것도 문제지만요.
반대로 눈물이 넘쳐서 걱정인 분들, 중년에 특히 많은데요.
찬바람불면 더 증상이 심해져서 불편함이 이만저만한 게 아닙니다.
<인터뷰> 주부 : "공기 나쁜 곳에 들어가면 눈물이 더 나고 춥고 바람 불어도 나고 저 자신도 모르게 창피하게 눈물이 주르륵 흐를 때도 있어요."
<녹취> 주부 : "나는 증손자가 여럿 있거든요. 애들이 “할머니 슬프지도 않은데 왜 울어?” 그러면 “내가 왜 우냐?” 이러죠."
네, 슬프지 않아도 나오는 눈물.
이 주부님도 5년 전부터 시도 때도 없이 흐르는 눈물 때문에 민망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하네요.
<인터뷰> 허정숙(서울 일원동) : "(주변에서) 무슨 일이 있냐고 왜 그렇게 눈물을 흘리냐고 그래서 어떤 때는 조금 민망하기도 하고 속상하기도 하고 그랬어요."
겨울이면 특히 증상이 심해져서 병원을 찾았다는데요.
검진결과 이미 염증이 생겼습니다.
<인터뷰> 이태수(안과 전문의) : "(환자의 눈 상태는) 시도 때도 없이 눈물이 밖으로 흐르고 눈물주머니 부위를 누르면 고름이 역류하여 나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했다가는 눈 주위에 염증이 생기고 심할 경우 시력이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눈물흘림증이 왜 생기는 걸까요?
눈물이 생기면 이렇게 눈물길을 통해 잘 흘러나가야 하지만 눈과 코로 통하는 눈물길이 좁아지면 눈물이 빠져나갈 수 없게 되는데요.
이렇게 고인 눈물이 줄줄 흐르는 증상이 눈물흘림증입니다.
<인터뷰> 장민욱(고려대병원 안과 교수) : "눈물 배출의 장애가 되겠는데요. 눈물길 폐쇄등과 같이 눈물이 빠지는 곳에 폐쇄가 생기면 그로 인해서 눈물이 내려가지 않고 눈물흘림 즉 유루증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요. 눈물이 모자라도 눈물흘림증이 생길 수 있다는데요.
<인터뷰> 장민욱(고려대병원 안과 교수) : "안구건조증 환자 중에서도 특히 중년 이상의 노년 환자 분들에게는 실제로 눈물 흘림 증상이 더 많을 수가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때문에 안구표면이 불안정하고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그로 인해 반사성 눈물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찬바람이 불거나 밖에 외출했을 때 그런 자극에 쉽게 눈물이 더 많이 나게 되고 그 때문에 눈물 흘림 증상이 안구건조증의 주된 증상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 안구건조증은 요즘처럼 찬바람이 불거나 건조해지면 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눈 화장 하시는 주부님들 주의하셔야하는데요.
<녹취> "여성분들은 특히나 눈 화장 하고 그러면 눈꺼풀 염증이 악화할 수 있거든요."
중년뿐아니라 30대 젊은 층에서도 나타나는 눈물흘림증!
그렇다면 예방은 가능할까요?
네, 생활 속에서 조금만 신경 쓰면 건조한 증상은 막을 수 있습니다.
실내가 건조하다면 수건을 물에 적셔 습도를 유지해주고요.
장시간 일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틈틈이 눈을 감아 눈의 피로를 풀어줍니다.
찬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 외출할 때는 반시 선글라스나 보안경을 착용하는 게 좋고요, 차 안에서의 히터 사용도 중요한데요.
<인터뷰> 이태수( 안과 전문의) : "히터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만일 꼭 사용해야 한다면 온도를 낮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히터의 바람은 눈 쪽을 피해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겨울철이면 특히 눈물흘림증이 증가한다고 하는데요.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눈 건강 지키셨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주부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눈물이 너무 많이 나온다면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네, 대부분 처음에는 찬바람 때문에 그런가 보다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기 쉬운데요.
생활하기에 불편할 정도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게 좋다고 합니다.
조빛나 기자, 나이가 들면 원래 눈물이 많아지는 거다, 이런 얘기들을 하곤 하는데, 그냥 놔둬서는 안 되겠군요.
<리포트>
그렇습니다.
슬프거나 기쁘거나 하는 감정과는 상관없이 눈물이 나는 증상, 중년 분들에게는 특히 많지만 30대 젊은 사람들에게도 나타나는데요.
눈물 흘림증이라는 질병입니다.
특히 요즘같이 찬바람이 불거나 건조할 때면 더 증상이 심해지는데요.
방치했다가는 시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눈물이 없어서 인공눈물을 계속 넣어야하는 것도 문제지만요.
반대로 눈물이 넘쳐서 걱정인 분들, 중년에 특히 많은데요.
찬바람불면 더 증상이 심해져서 불편함이 이만저만한 게 아닙니다.
<인터뷰> 주부 : "공기 나쁜 곳에 들어가면 눈물이 더 나고 춥고 바람 불어도 나고 저 자신도 모르게 창피하게 눈물이 주르륵 흐를 때도 있어요."
<녹취> 주부 : "나는 증손자가 여럿 있거든요. 애들이 “할머니 슬프지도 않은데 왜 울어?” 그러면 “내가 왜 우냐?” 이러죠."
네, 슬프지 않아도 나오는 눈물.
이 주부님도 5년 전부터 시도 때도 없이 흐르는 눈물 때문에 민망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하네요.
<인터뷰> 허정숙(서울 일원동) : "(주변에서) 무슨 일이 있냐고 왜 그렇게 눈물을 흘리냐고 그래서 어떤 때는 조금 민망하기도 하고 속상하기도 하고 그랬어요."
겨울이면 특히 증상이 심해져서 병원을 찾았다는데요.
검진결과 이미 염증이 생겼습니다.
<인터뷰> 이태수(안과 전문의) : "(환자의 눈 상태는) 시도 때도 없이 눈물이 밖으로 흐르고 눈물주머니 부위를 누르면 고름이 역류하여 나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했다가는 눈 주위에 염증이 생기고 심할 경우 시력이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눈물흘림증이 왜 생기는 걸까요?
눈물이 생기면 이렇게 눈물길을 통해 잘 흘러나가야 하지만 눈과 코로 통하는 눈물길이 좁아지면 눈물이 빠져나갈 수 없게 되는데요.
이렇게 고인 눈물이 줄줄 흐르는 증상이 눈물흘림증입니다.
<인터뷰> 장민욱(고려대병원 안과 교수) : "눈물 배출의 장애가 되겠는데요. 눈물길 폐쇄등과 같이 눈물이 빠지는 곳에 폐쇄가 생기면 그로 인해서 눈물이 내려가지 않고 눈물흘림 즉 유루증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요. 눈물이 모자라도 눈물흘림증이 생길 수 있다는데요.
<인터뷰> 장민욱(고려대병원 안과 교수) : "안구건조증 환자 중에서도 특히 중년 이상의 노년 환자 분들에게는 실제로 눈물 흘림 증상이 더 많을 수가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때문에 안구표면이 불안정하고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그로 인해 반사성 눈물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찬바람이 불거나 밖에 외출했을 때 그런 자극에 쉽게 눈물이 더 많이 나게 되고 그 때문에 눈물 흘림 증상이 안구건조증의 주된 증상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 안구건조증은 요즘처럼 찬바람이 불거나 건조해지면 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눈 화장 하시는 주부님들 주의하셔야하는데요.
<녹취> "여성분들은 특히나 눈 화장 하고 그러면 눈꺼풀 염증이 악화할 수 있거든요."
중년뿐아니라 30대 젊은 층에서도 나타나는 눈물흘림증!
그렇다면 예방은 가능할까요?
네, 생활 속에서 조금만 신경 쓰면 건조한 증상은 막을 수 있습니다.
실내가 건조하다면 수건을 물에 적셔 습도를 유지해주고요.
장시간 일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틈틈이 눈을 감아 눈의 피로를 풀어줍니다.
찬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 외출할 때는 반시 선글라스나 보안경을 착용하는 게 좋고요, 차 안에서의 히터 사용도 중요한데요.
<인터뷰> 이태수( 안과 전문의) : "히터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만일 꼭 사용해야 한다면 온도를 낮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히터의 바람은 눈 쪽을 피해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겨울철이면 특히 눈물흘림증이 증가한다고 하는데요.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눈 건강 지키셨으면 좋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건강충전] 찬바람에 ‘눈물이 줄줄’…방치는 금물
-
- 입력 2011-12-19 09:01:54
- 수정2011-12-19 18:05:15

<앵커 멘트>
우리 주부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눈물이 너무 많이 나온다면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네, 대부분 처음에는 찬바람 때문에 그런가 보다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기 쉬운데요.
생활하기에 불편할 정도면 바로 병원을 찾는 게 좋다고 합니다.
조빛나 기자, 나이가 들면 원래 눈물이 많아지는 거다, 이런 얘기들을 하곤 하는데, 그냥 놔둬서는 안 되겠군요.
<리포트>
그렇습니다.
슬프거나 기쁘거나 하는 감정과는 상관없이 눈물이 나는 증상, 중년 분들에게는 특히 많지만 30대 젊은 사람들에게도 나타나는데요.
눈물 흘림증이라는 질병입니다.
특히 요즘같이 찬바람이 불거나 건조할 때면 더 증상이 심해지는데요.
방치했다가는 시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눈물이 없어서 인공눈물을 계속 넣어야하는 것도 문제지만요.
반대로 눈물이 넘쳐서 걱정인 분들, 중년에 특히 많은데요.
찬바람불면 더 증상이 심해져서 불편함이 이만저만한 게 아닙니다.
<인터뷰> 주부 : "공기 나쁜 곳에 들어가면 눈물이 더 나고 춥고 바람 불어도 나고 저 자신도 모르게 창피하게 눈물이 주르륵 흐를 때도 있어요."
<녹취> 주부 : "나는 증손자가 여럿 있거든요. 애들이 “할머니 슬프지도 않은데 왜 울어?” 그러면 “내가 왜 우냐?” 이러죠."
네, 슬프지 않아도 나오는 눈물.
이 주부님도 5년 전부터 시도 때도 없이 흐르는 눈물 때문에 민망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하네요.
<인터뷰> 허정숙(서울 일원동) : "(주변에서) 무슨 일이 있냐고 왜 그렇게 눈물을 흘리냐고 그래서 어떤 때는 조금 민망하기도 하고 속상하기도 하고 그랬어요."
겨울이면 특히 증상이 심해져서 병원을 찾았다는데요.
검진결과 이미 염증이 생겼습니다.
<인터뷰> 이태수(안과 전문의) : "(환자의 눈 상태는) 시도 때도 없이 눈물이 밖으로 흐르고 눈물주머니 부위를 누르면 고름이 역류하여 나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했다가는 눈 주위에 염증이 생기고 심할 경우 시력이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눈물흘림증이 왜 생기는 걸까요?
눈물이 생기면 이렇게 눈물길을 통해 잘 흘러나가야 하지만 눈과 코로 통하는 눈물길이 좁아지면 눈물이 빠져나갈 수 없게 되는데요.
이렇게 고인 눈물이 줄줄 흐르는 증상이 눈물흘림증입니다.
<인터뷰> 장민욱(고려대병원 안과 교수) : "눈물 배출의 장애가 되겠는데요. 눈물길 폐쇄등과 같이 눈물이 빠지는 곳에 폐쇄가 생기면 그로 인해서 눈물이 내려가지 않고 눈물흘림 즉 유루증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요. 눈물이 모자라도 눈물흘림증이 생길 수 있다는데요.
<인터뷰> 장민욱(고려대병원 안과 교수) : "안구건조증 환자 중에서도 특히 중년 이상의 노년 환자 분들에게는 실제로 눈물 흘림 증상이 더 많을 수가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때문에 안구표면이 불안정하고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그로 인해 반사성 눈물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특히 찬바람이 불거나 밖에 외출했을 때 그런 자극에 쉽게 눈물이 더 많이 나게 되고 그 때문에 눈물 흘림 증상이 안구건조증의 주된 증상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 안구건조증은 요즘처럼 찬바람이 불거나 건조해지면 증상이 심해지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눈 화장 하시는 주부님들 주의하셔야하는데요.
<녹취> "여성분들은 특히나 눈 화장 하고 그러면 눈꺼풀 염증이 악화할 수 있거든요."
중년뿐아니라 30대 젊은 층에서도 나타나는 눈물흘림증!
그렇다면 예방은 가능할까요?
네, 생활 속에서 조금만 신경 쓰면 건조한 증상은 막을 수 있습니다.
실내가 건조하다면 수건을 물에 적셔 습도를 유지해주고요.
장시간 일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틈틈이 눈을 감아 눈의 피로를 풀어줍니다.
찬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 외출할 때는 반시 선글라스나 보안경을 착용하는 게 좋고요, 차 안에서의 히터 사용도 중요한데요.
<인터뷰> 이태수( 안과 전문의) : "히터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만일 꼭 사용해야 한다면 온도를 낮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히터의 바람은 눈 쪽을 피해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겨울철이면 특히 눈물흘림증이 증가한다고 하는데요.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눈 건강 지키셨으면 좋겠습니다.
-
-
조빛나 기자 hymn@kbs.co.kr
조빛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