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적자 누적…‘사회적 기업’ 휘청

입력 2012.02.24 (23: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취약 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설립된 사회적 기업들이 지금,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봅니다.

강지아 기자!

<질문> 사회적 기업들이 얼마나 어려운 겁니까?

<답변>

네, 사회적 기업들은 외형적으로는 엄청나게 성장했지만, 상당수의 사회적 기업들이 적자 운영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곳은 청소년 캠프를 운영하는 부산의 한 사회적 기업입니다.

연간 매출액은 2-3억 대지만, 인건비와 자재비를 빼고 나면 적잡니다.

같이 일하는 직원은 16명인데요.

의무 고용 인원이 정해져 있어서 인력도 맘대로 줄이지 못합니다.

<인터뷰> 전현정(사회적 기업 사무국장): "저희 대표, 부대표님들이 대출까지 받아서 겨우 운영하고 있어요."

홍보 동영상을 만드는 이 업체도 경영난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 지원 기준까지 강화돼서 상황은 더 어렵습니다.

<인터뷰> 박경배(사회적 기업 운영팀장): "취약 계층 고용비율이 30에서 50%로 늘면서 휘청하죠. 이제서야 안정되나 싶었는데."

사회적 기업은 지난 2007년 출범 당시보다 12배나 늘었습니다.

하지만, 흑자를 내는 곳은 16%에 불과합니다.

이렇다 보니 문을 닫는 업체들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질문> 이렇게 운영이 힘든 이유가 뭐죠?

<답변>

이유는 간단합니다. 생산 제품의 판매 실적이 좋지 않기 때문인데요.

사회적 기업들이 가장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이 바로 '판로 확보' 입니다.

인건비의 일정 부분을 지원받기는 하지만, 취약계층 의무 고용 때문에 원가 부담은 늘어나는 반면, 마케팅과 가격 경쟁력은 민간 기업에 밀리는 겁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별 뾰족한 대책 없이 각계에 사회적 기업 제품의 '우선 구매'를 권하고 있을 뿐입니다.

<인터뷰> 곽선화(부산대학교 교수):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지자체의 체계적이고 의무적인 지원책이 없으면 사회적 기업은 자립하기가 불가능합니다."

지난 5년 동안 투입된 정부 예산만 7,800억 입니다.

기간이 지나, 올해 당장 정부 지원금이 끊기는 곳만 260곳인데요.

부푼 꿈을 안고 닻을 올렸던 사회적 기업들이 생사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지금까지 부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현장] 적자 누적…‘사회적 기업’ 휘청
    • 입력 2012-02-24 23:40:45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취약 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설립된 사회적 기업들이 지금,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봅니다. 강지아 기자! <질문> 사회적 기업들이 얼마나 어려운 겁니까? <답변> 네, 사회적 기업들은 외형적으로는 엄청나게 성장했지만, 상당수의 사회적 기업들이 적자 운영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곳은 청소년 캠프를 운영하는 부산의 한 사회적 기업입니다. 연간 매출액은 2-3억 대지만, 인건비와 자재비를 빼고 나면 적잡니다. 같이 일하는 직원은 16명인데요. 의무 고용 인원이 정해져 있어서 인력도 맘대로 줄이지 못합니다. <인터뷰> 전현정(사회적 기업 사무국장): "저희 대표, 부대표님들이 대출까지 받아서 겨우 운영하고 있어요." 홍보 동영상을 만드는 이 업체도 경영난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 지원 기준까지 강화돼서 상황은 더 어렵습니다. <인터뷰> 박경배(사회적 기업 운영팀장): "취약 계층 고용비율이 30에서 50%로 늘면서 휘청하죠. 이제서야 안정되나 싶었는데." 사회적 기업은 지난 2007년 출범 당시보다 12배나 늘었습니다. 하지만, 흑자를 내는 곳은 16%에 불과합니다. 이렇다 보니 문을 닫는 업체들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질문> 이렇게 운영이 힘든 이유가 뭐죠? <답변> 이유는 간단합니다. 생산 제품의 판매 실적이 좋지 않기 때문인데요. 사회적 기업들이 가장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이 바로 '판로 확보' 입니다. 인건비의 일정 부분을 지원받기는 하지만, 취약계층 의무 고용 때문에 원가 부담은 늘어나는 반면, 마케팅과 가격 경쟁력은 민간 기업에 밀리는 겁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별 뾰족한 대책 없이 각계에 사회적 기업 제품의 '우선 구매'를 권하고 있을 뿐입니다. <인터뷰> 곽선화(부산대학교 교수):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지자체의 체계적이고 의무적인 지원책이 없으면 사회적 기업은 자립하기가 불가능합니다." 지난 5년 동안 투입된 정부 예산만 7,800억 입니다. 기간이 지나, 올해 당장 정부 지원금이 끊기는 곳만 260곳인데요. 부푼 꿈을 안고 닻을 올렸던 사회적 기업들이 생사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지금까지 부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