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작은 방 한칸 마련하지 못해서 열악한 주거 환경에 방치된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 둘이 아닙니다.
어제는 컨테이너로 만든 공장 숙소에 불이나 스리랑카인 부부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송명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스리랑카인 부부가 살던 공장 옆 작은 컨테이너 숙소입니다.
안에 있던 살림살이가 모두 시커멓게 불에 탔습니다.
전기합선으로 추정되는 불이 난 것은 어제 오후 6시쯤.
화재 감지기나 소화기도 없는 곳에서 단잠에 빠졌던 부부는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숨졌습니다.
<녹취> 샨(동료 근로자/스리랑카인) : "우리는 일요일에는 계속 자요. 수고하니까(힘드니까)"
인근의 또 다른 공장 숙소.
철 계단을 따라 2층 컨테이너 방안으로 들어가 보니 문 앞에 전기난로가 켜져 있습니다.
<녹취> "여기는 바람 많이 들어와요.많이 추워요."
방화시설 하나 없는 숙소.
아무리 추워도, 물이 나오지 않아도 비싼 방값 때문에 참고 살아야 합니다.
<인터뷰> 두이(인도네시아인) : "(왜 여기서 살아요?) "돈 없어요. 기숙사는 돈 들지 않아요."
다른 공장의 사정도 비슷합니다.
공장에 딸려 있는 컨테이너는 대부분 외국인 근로자 숙소입니다.
<인터뷰> 최영일(김포이주민센터 대표) : "노동자로서 건강권과 주거권을 누릴 수 있도록 준비를 해줘야 하는 데 그런 부분에서 너무 열악하고..."
따듯한 방 한 칸 없이 막바지 겨울나기를 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코리안드림은 여전히 먼 나라 얘기입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작은 방 한칸 마련하지 못해서 열악한 주거 환경에 방치된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 둘이 아닙니다.
어제는 컨테이너로 만든 공장 숙소에 불이나 스리랑카인 부부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송명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스리랑카인 부부가 살던 공장 옆 작은 컨테이너 숙소입니다.
안에 있던 살림살이가 모두 시커멓게 불에 탔습니다.
전기합선으로 추정되는 불이 난 것은 어제 오후 6시쯤.
화재 감지기나 소화기도 없는 곳에서 단잠에 빠졌던 부부는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숨졌습니다.
<녹취> 샨(동료 근로자/스리랑카인) : "우리는 일요일에는 계속 자요. 수고하니까(힘드니까)"
인근의 또 다른 공장 숙소.
철 계단을 따라 2층 컨테이너 방안으로 들어가 보니 문 앞에 전기난로가 켜져 있습니다.
<녹취> "여기는 바람 많이 들어와요.많이 추워요."
방화시설 하나 없는 숙소.
아무리 추워도, 물이 나오지 않아도 비싼 방값 때문에 참고 살아야 합니다.
<인터뷰> 두이(인도네시아인) : "(왜 여기서 살아요?) "돈 없어요. 기숙사는 돈 들지 않아요."
다른 공장의 사정도 비슷합니다.
공장에 딸려 있는 컨테이너는 대부분 외국인 근로자 숙소입니다.
<인터뷰> 최영일(김포이주민센터 대표) : "노동자로서 건강권과 주거권을 누릴 수 있도록 준비를 해줘야 하는 데 그런 부분에서 너무 열악하고..."
따듯한 방 한 칸 없이 막바지 겨울나기를 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코리안드림은 여전히 먼 나라 얘기입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국인 근로자 또 사망 ‘머나먼 코리안 드림’
-
- 입력 2012-02-27 22:03:36
![](/data/news/2012/02/27/2442408_110.jpg)
<앵커 멘트>
작은 방 한칸 마련하지 못해서 열악한 주거 환경에 방치된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 둘이 아닙니다.
어제는 컨테이너로 만든 공장 숙소에 불이나 스리랑카인 부부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송명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스리랑카인 부부가 살던 공장 옆 작은 컨테이너 숙소입니다.
안에 있던 살림살이가 모두 시커멓게 불에 탔습니다.
전기합선으로 추정되는 불이 난 것은 어제 오후 6시쯤.
화재 감지기나 소화기도 없는 곳에서 단잠에 빠졌던 부부는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숨졌습니다.
<녹취> 샨(동료 근로자/스리랑카인) : "우리는 일요일에는 계속 자요. 수고하니까(힘드니까)"
인근의 또 다른 공장 숙소.
철 계단을 따라 2층 컨테이너 방안으로 들어가 보니 문 앞에 전기난로가 켜져 있습니다.
<녹취> "여기는 바람 많이 들어와요.많이 추워요."
방화시설 하나 없는 숙소.
아무리 추워도, 물이 나오지 않아도 비싼 방값 때문에 참고 살아야 합니다.
<인터뷰> 두이(인도네시아인) : "(왜 여기서 살아요?) "돈 없어요. 기숙사는 돈 들지 않아요."
다른 공장의 사정도 비슷합니다.
공장에 딸려 있는 컨테이너는 대부분 외국인 근로자 숙소입니다.
<인터뷰> 최영일(김포이주민센터 대표) : "노동자로서 건강권과 주거권을 누릴 수 있도록 준비를 해줘야 하는 데 그런 부분에서 너무 열악하고..."
따듯한 방 한 칸 없이 막바지 겨울나기를 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에게 코리안드림은 여전히 먼 나라 얘기입니다.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
송명훈 기자 smh@kbs.co.kr
송명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