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한중 외교장관 회담, ‘탈북자 문제’ 진전 없어
입력 2012.03.03 (09:54) 수정 2012.03.03 (15:14)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가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중 외교장관들이 이 문제를 놓고 진지한 토론을 했지만 서로의 입장차를 확인하는데만 그쳤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회담에 나선 한중 두 나라 외교장관은 밝은 표정으로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녹취> 김성환(외교통상부 장관) :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관계가 미래지향적인 성숙한 관계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녹취> 양제츠(중국 외교부장) : "한중 관계는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 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를 놓고는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우리 측은 국제법상 탈북자 강제 송환은 안 된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중국 측은 국내법과 인도주의를 지켜가며 적법하게 탈북자를 처리해왔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단독 회담에서 한 주제를 놓고 이례적으로 1시간 가까이 협상했지만 쉽게 풀릴 문제가 아니라는 결론만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도 속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오는 5일 열리는 한중일 고위급 회의와 26일부터 열리는 핵안보 정상회의에서 탈북자 문제 해결을 다시 요청할 예정이지만, 성사될 가능성은 미지숩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가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중 외교장관들이 이 문제를 놓고 진지한 토론을 했지만 서로의 입장차를 확인하는데만 그쳤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회담에 나선 한중 두 나라 외교장관은 밝은 표정으로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녹취> 김성환(외교통상부 장관) :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관계가 미래지향적인 성숙한 관계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녹취> 양제츠(중국 외교부장) : "한중 관계는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 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를 놓고는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우리 측은 국제법상 탈북자 강제 송환은 안 된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중국 측은 국내법과 인도주의를 지켜가며 적법하게 탈북자를 처리해왔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단독 회담에서 한 주제를 놓고 이례적으로 1시간 가까이 협상했지만 쉽게 풀릴 문제가 아니라는 결론만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도 속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오는 5일 열리는 한중일 고위급 회의와 26일부터 열리는 핵안보 정상회의에서 탈북자 문제 해결을 다시 요청할 예정이지만, 성사될 가능성은 미지숩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한중 외교장관 회담, ‘탈북자 문제’ 진전 없어
-
- 입력 2012-03-03 09:54:44
- 수정2012-03-03 15:14:28

<앵커 멘트>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가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중 외교장관들이 이 문제를 놓고 진지한 토론을 했지만 서로의 입장차를 확인하는데만 그쳤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회담에 나선 한중 두 나라 외교장관은 밝은 표정으로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녹취> 김성환(외교통상부 장관) :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관계가 미래지향적인 성숙한 관계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녹취> 양제츠(중국 외교부장) : "한중 관계는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 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를 놓고는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우리 측은 국제법상 탈북자 강제 송환은 안 된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중국 측은 국내법과 인도주의를 지켜가며 적법하게 탈북자를 처리해왔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단독 회담에서 한 주제를 놓고 이례적으로 1시간 가까이 협상했지만 쉽게 풀릴 문제가 아니라는 결론만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도 속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오는 5일 열리는 한중일 고위급 회의와 26일부터 열리는 핵안보 정상회의에서 탈북자 문제 해결을 다시 요청할 예정이지만, 성사될 가능성은 미지숩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가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중 외교장관들이 이 문제를 놓고 진지한 토론을 했지만 서로의 입장차를 확인하는데만 그쳤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회담에 나선 한중 두 나라 외교장관은 밝은 표정으로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녹취> 김성환(외교통상부 장관) :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관계가 미래지향적인 성숙한 관계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녹취> 양제츠(중국 외교부장) : "한중 관계는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 발전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를 놓고는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우리 측은 국제법상 탈북자 강제 송환은 안 된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중국 측은 국내법과 인도주의를 지켜가며 적법하게 탈북자를 처리해왔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단독 회담에서 한 주제를 놓고 이례적으로 1시간 가까이 협상했지만 쉽게 풀릴 문제가 아니라는 결론만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은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도 속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오는 5일 열리는 한중일 고위급 회의와 26일부터 열리는 핵안보 정상회의에서 탈북자 문제 해결을 다시 요청할 예정이지만, 성사될 가능성은 미지숩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