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심층취재] ‘방심은 금물’ 해빙기 산행 안전요령!
입력 2012.03.03 (21:48) 수정 2012.03.04 (11:57) 뉴스 9
<앵커 멘트>
이렇게 봄기운이 돌기 시작하면 움츠렸던 몸을 펴고 산행에 나서는 분들 많을 겁니다.
그런데 아직 구석구석 겨울이 다 가시지 않아서 방심하면 큰 사고를 당할 수가 있습니다.
심병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봄 기운이 스며들기 시작하면서 산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 : "몸도 마음도 풀리고 겨울철 못지 않은 산행 맛이 있다."
그러나 최근 서울 북한산 용혈봉에서 2명 추락해 1명 사망.
수락산 치마바위에서 1명 실족 등 사고가 잇다르고 있습니다.
해빙기 산은 겨울과 봄의 두 얼굴을 하고 있어 순간의 방심은 사고로 이어집니다.
바위와 돌은 겨우내 얼고 녹고를 반복해 낙석 위험이 큽니다.
표면이 미끄럽기까지 해 봉우리나 능선에서 조심하지 않으면 추락하기 쉽상입니다.
낙엽 아래엔 살얼음이 숨어있어 스틱으로 확인 후 밟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윤치술 : "해빙기 때는 바위가 많은 산보다 부드러운 산을 오르는게 좋다."
일교차가 커 복장과 장비는 겨울철 산행에 맞춰야 합니다.
움츠렸던 몸으로 무리하면 저체온증에 심장 통증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국립공원내 사망사고에서 심장 돌연사가 추락사보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정덕환 교수 : "찬바람을 맞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체온이 떨어지면 모든 신진대사가 나빠집니다."
사고를 당했을 때는 표지판을 보고 자신의 위치를 빨리 구조대에 알려야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남일 : "환자가 일단 생기면 무리하게 움직이지 말고 구조대에 빨리 연락해야..."
간간이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몸의 유연성과 균형감각을 기르는 것도 해빙기 등산의 필수 요솝니다.
KBS 뉴스 심병일입니다.
이렇게 봄기운이 돌기 시작하면 움츠렸던 몸을 펴고 산행에 나서는 분들 많을 겁니다.
그런데 아직 구석구석 겨울이 다 가시지 않아서 방심하면 큰 사고를 당할 수가 있습니다.
심병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봄 기운이 스며들기 시작하면서 산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 : "몸도 마음도 풀리고 겨울철 못지 않은 산행 맛이 있다."
그러나 최근 서울 북한산 용혈봉에서 2명 추락해 1명 사망.
수락산 치마바위에서 1명 실족 등 사고가 잇다르고 있습니다.
해빙기 산은 겨울과 봄의 두 얼굴을 하고 있어 순간의 방심은 사고로 이어집니다.
바위와 돌은 겨우내 얼고 녹고를 반복해 낙석 위험이 큽니다.
표면이 미끄럽기까지 해 봉우리나 능선에서 조심하지 않으면 추락하기 쉽상입니다.
낙엽 아래엔 살얼음이 숨어있어 스틱으로 확인 후 밟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윤치술 : "해빙기 때는 바위가 많은 산보다 부드러운 산을 오르는게 좋다."
일교차가 커 복장과 장비는 겨울철 산행에 맞춰야 합니다.
움츠렸던 몸으로 무리하면 저체온증에 심장 통증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국립공원내 사망사고에서 심장 돌연사가 추락사보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정덕환 교수 : "찬바람을 맞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체온이 떨어지면 모든 신진대사가 나빠집니다."
사고를 당했을 때는 표지판을 보고 자신의 위치를 빨리 구조대에 알려야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남일 : "환자가 일단 생기면 무리하게 움직이지 말고 구조대에 빨리 연락해야..."
간간이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몸의 유연성과 균형감각을 기르는 것도 해빙기 등산의 필수 요솝니다.
KBS 뉴스 심병일입니다.
- [심층취재] ‘방심은 금물’ 해빙기 산행 안전요령!
-
- 입력 2012-03-03 21:48:18
- 수정2012-03-04 11:57:15

<앵커 멘트>
이렇게 봄기운이 돌기 시작하면 움츠렸던 몸을 펴고 산행에 나서는 분들 많을 겁니다.
그런데 아직 구석구석 겨울이 다 가시지 않아서 방심하면 큰 사고를 당할 수가 있습니다.
심병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봄 기운이 스며들기 시작하면서 산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 : "몸도 마음도 풀리고 겨울철 못지 않은 산행 맛이 있다."
그러나 최근 서울 북한산 용혈봉에서 2명 추락해 1명 사망.
수락산 치마바위에서 1명 실족 등 사고가 잇다르고 있습니다.
해빙기 산은 겨울과 봄의 두 얼굴을 하고 있어 순간의 방심은 사고로 이어집니다.
바위와 돌은 겨우내 얼고 녹고를 반복해 낙석 위험이 큽니다.
표면이 미끄럽기까지 해 봉우리나 능선에서 조심하지 않으면 추락하기 쉽상입니다.
낙엽 아래엔 살얼음이 숨어있어 스틱으로 확인 후 밟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윤치술 : "해빙기 때는 바위가 많은 산보다 부드러운 산을 오르는게 좋다."
일교차가 커 복장과 장비는 겨울철 산행에 맞춰야 합니다.
움츠렸던 몸으로 무리하면 저체온증에 심장 통증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국립공원내 사망사고에서 심장 돌연사가 추락사보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정덕환 교수 : "찬바람을 맞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체온이 떨어지면 모든 신진대사가 나빠집니다."
사고를 당했을 때는 표지판을 보고 자신의 위치를 빨리 구조대에 알려야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남일 : "환자가 일단 생기면 무리하게 움직이지 말고 구조대에 빨리 연락해야..."
간간이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몸의 유연성과 균형감각을 기르는 것도 해빙기 등산의 필수 요솝니다.
KBS 뉴스 심병일입니다.
이렇게 봄기운이 돌기 시작하면 움츠렸던 몸을 펴고 산행에 나서는 분들 많을 겁니다.
그런데 아직 구석구석 겨울이 다 가시지 않아서 방심하면 큰 사고를 당할 수가 있습니다.
심병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봄 기운이 스며들기 시작하면서 산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인터뷰> 박순희 : "몸도 마음도 풀리고 겨울철 못지 않은 산행 맛이 있다."
그러나 최근 서울 북한산 용혈봉에서 2명 추락해 1명 사망.
수락산 치마바위에서 1명 실족 등 사고가 잇다르고 있습니다.
해빙기 산은 겨울과 봄의 두 얼굴을 하고 있어 순간의 방심은 사고로 이어집니다.
바위와 돌은 겨우내 얼고 녹고를 반복해 낙석 위험이 큽니다.
표면이 미끄럽기까지 해 봉우리나 능선에서 조심하지 않으면 추락하기 쉽상입니다.
낙엽 아래엔 살얼음이 숨어있어 스틱으로 확인 후 밟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윤치술 : "해빙기 때는 바위가 많은 산보다 부드러운 산을 오르는게 좋다."
일교차가 커 복장과 장비는 겨울철 산행에 맞춰야 합니다.
움츠렸던 몸으로 무리하면 저체온증에 심장 통증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국립공원내 사망사고에서 심장 돌연사가 추락사보다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정덕환 교수 : "찬바람을 맞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체온이 떨어지면 모든 신진대사가 나빠집니다."
사고를 당했을 때는 표지판을 보고 자신의 위치를 빨리 구조대에 알려야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남일 : "환자가 일단 생기면 무리하게 움직이지 말고 구조대에 빨리 연락해야..."
간간이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몸의 유연성과 균형감각을 기르는 것도 해빙기 등산의 필수 요솝니다.
KBS 뉴스 심병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심병일 기자 sbis@kbs.co.kr
심병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