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오픈 프라이머리 논쟁, 속내는?

입력 2012.04.25 (22:10) 수정 2012.04.25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녹취> 김문수(경기지사) : "완전국민경선을 받아들여버리면 되죠. 당조직에 의존하지 않고."



<녹취> 박근혜(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 "이건 매번 선수에게 룰을 맞춰 하는 것은 말이 안 되죠."



요즘 새누리당에서 대선 후보 경선 규칙을 두고 세 다툼이 치열합니다.



김문수 정몽준 이재오로 대표되는 이른바 비박근혜 세력은 완전국민참여경선 즉 오픈프라이머리로 경선 규칙을 바꾸자고 하고 박근혜 위원장 측은 안된다고 합니다.



그 속내는 어디에 있을까요.



최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이번 총선을 거치면서 친박근혜계가 당내 주류로 확고히 자리매김했습니다.



친박계가 공천을 주도한데다, 당내 경쟁에서 살아남은 친이계 의원들도 정권 심판론에 상당수가 낙선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당원 50%, 일반 국민 50%인 현행 경선 규칙대로 후보를 뽑을 경우, 박근혜 위원장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게 비박계의 생각입니다.



따라서 당의 개입을 배제한 완전국민경선제로 가야 그나마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녹취> 차명진(새누리당 의원/김문수 측) : "대통령 후보 경선은 해보나마나일것이다. 특히 친박진영내에서 추대론까지 나오고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친박계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해도 다른 대선 주자들이 박 위원장을 이기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경선 규칙 변경은 결코 안된다는 입장입니다.



야권 지지자들에 의한 역선택 위험이 있는데다, 이미 2007년에도 현행 규칙대로 대선 후보 경선을 치렀는데 이제 와서 바꿀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의원/친박근혜계) : "유리하다, 불리 하다를 따져서 유리한 쪽으로 고치겠다는 것은 국가 최고 지도자로서의 근본적인 자질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완전국민경선제를 둘러싼 갈등은 결국, 대선 주자들이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경선 규칙을 가져가려는 초반 기싸움 성격이 짙습니다.



그렇다면 논쟁이 되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언제 국내에 도입됐을까요.



10년 전 당시 새천년민주당과 한나라당이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제한적이긴 하지만 정당사상 처음으로 실시했었습니다.



긍정적 측면도 있고 경계해야할 부분도 있었습니다.



하송연 기자가 디지털스튜디오에서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2002년 대통령 선거를 8개월 앞두고 당시 여당이었죠, 새천년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노무현 후보가 선출됐습니다.



소감을 한 번 들어보실까요.



<녹취> 노무현(새천년민주당 대선 후보/2002년 4월) : "국민 여러분들께서 한국 정치의 혁명을 만들어나가고 계십니다."



한 정당의 대선 후보가 되고나서 국민에게 감사를 표한 이유는 어딨을까요.



바로 50대 50 비율로 일반 국민이 당원과 동일하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게 오픈프라이머리가 일부 도입됐기 때문인데요.



노무현 후보는 경선 초기 후보 7명 중 군소 후보에 속했습니다.



하지만 전국을 돌며 경선을 하는 동안 명연설을 선보이며 지지세를 넓혀가는 돌풍을 일으켰습니다.



패배를 예감한 후보자들의 중도 포기가 잇따랐고, 노무현 후보는 그 기세를 몰아 16대 대통령이 됐습니다.



이처럼 오픈프라이머리는 한 정당의 밀실공천을 막고 전국적 흥행을 불러올 수 있을 뿐 아니라 민심만 잘 읽어낸다면 약체 후보의 대역전도 가능케 합니다.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오픈 프라이머리에는 간과할 수 없는 맹점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볼까요.



이 A라는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오픈 프라이머리를 실시하는 B 정당의 선거인단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뒤 B 정당의 대선 후보 가운데 상대적으로 약한 후보에게 표를 몰아줍니다.



그러면 본선에서 A당의 후보가 B당 후보를 제칠 가능성이 높아지겠죠.



즉 민심 왜곡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또 당원이 주인인 정당의 정체성을 약화시켜 정당정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픈 프라이머리란 제도를 처음 만들어낸 미국의 상황은 어떨까요.



워싱턴에서 최규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공화당의 미시간주 대선후보 경선에선 한 후보가 공개적으로 민주당원들의 투표참여를 독려해 논란이 됐습니다.



<녹취> 샌토럼 후보측 홍보 전화 : " 롬니 후보에 반대하는 민주당원들은 샌토럼 후보에게 투표하십시오."



당원이 아닌 일반인들도 투표를 할 수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에선 흔히 벌어지는 일입니다.



롬니가 이긴 오늘 뉴욕주의 경선은 약간 다른 방식으로 치러졌습니다.



일반인도 투표를 했지만 다른 당 당원이나, 다른 당 경선에 투표한 사람은 투표권이 없었습니다.



미국 50개주 가운데 공화당은 17개주에서, 민주당은 22개주에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뉴욕처럼 변형된 프라이머리를 치르는 주도 있고 아이오와처럼 당원들만 투표하는 코커스를 고수하고 있는 주들도 상당숩니다.



<인터뷰> 마크 롬(조지 타운대학 교수) : "당 지도부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국민이 후보를 선택해야 한다는 믿음이 있는 것입니다."



완벽하진 않지만 미국은 다양한 경선방식을 통해 당심과 민심의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최규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오픈 프라이머리 논쟁, 속내는?
    • 입력 2012-04-25 22:10:43
    • 수정2012-04-25 22:10:56
    뉴스 9
<앵커멘트>

<녹취> 김문수(경기지사) : "완전국민경선을 받아들여버리면 되죠. 당조직에 의존하지 않고."

<녹취> 박근혜(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 "이건 매번 선수에게 룰을 맞춰 하는 것은 말이 안 되죠."

요즘 새누리당에서 대선 후보 경선 규칙을 두고 세 다툼이 치열합니다.

김문수 정몽준 이재오로 대표되는 이른바 비박근혜 세력은 완전국민참여경선 즉 오픈프라이머리로 경선 규칙을 바꾸자고 하고 박근혜 위원장 측은 안된다고 합니다.

그 속내는 어디에 있을까요.

최형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이번 총선을 거치면서 친박근혜계가 당내 주류로 확고히 자리매김했습니다.

친박계가 공천을 주도한데다, 당내 경쟁에서 살아남은 친이계 의원들도 정권 심판론에 상당수가 낙선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당원 50%, 일반 국민 50%인 현행 경선 규칙대로 후보를 뽑을 경우, 박근혜 위원장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게 비박계의 생각입니다.

따라서 당의 개입을 배제한 완전국민경선제로 가야 그나마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녹취> 차명진(새누리당 의원/김문수 측) : "대통령 후보 경선은 해보나마나일것이다. 특히 친박진영내에서 추대론까지 나오고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친박계는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해도 다른 대선 주자들이 박 위원장을 이기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경선 규칙 변경은 결코 안된다는 입장입니다.

야권 지지자들에 의한 역선택 위험이 있는데다, 이미 2007년에도 현행 규칙대로 대선 후보 경선을 치렀는데 이제 와서 바꿀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녹취> 이정현(새누리당 의원/친박근혜계) : "유리하다, 불리 하다를 따져서 유리한 쪽으로 고치겠다는 것은 국가 최고 지도자로서의 근본적인 자질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완전국민경선제를 둘러싼 갈등은 결국, 대선 주자들이 자신에게 유리한 쪽으로 경선 규칙을 가져가려는 초반 기싸움 성격이 짙습니다.

그렇다면 논쟁이 되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언제 국내에 도입됐을까요.

10년 전 당시 새천년민주당과 한나라당이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제한적이긴 하지만 정당사상 처음으로 실시했었습니다.

긍정적 측면도 있고 경계해야할 부분도 있었습니다.

하송연 기자가 디지털스튜디오에서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지난 2002년 대통령 선거를 8개월 앞두고 당시 여당이었죠, 새천년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노무현 후보가 선출됐습니다.

소감을 한 번 들어보실까요.

<녹취> 노무현(새천년민주당 대선 후보/2002년 4월) : "국민 여러분들께서 한국 정치의 혁명을 만들어나가고 계십니다."

한 정당의 대선 후보가 되고나서 국민에게 감사를 표한 이유는 어딨을까요.

바로 50대 50 비율로 일반 국민이 당원과 동일하게 한 표를 행사할 수 있게 오픈프라이머리가 일부 도입됐기 때문인데요.

노무현 후보는 경선 초기 후보 7명 중 군소 후보에 속했습니다.

하지만 전국을 돌며 경선을 하는 동안 명연설을 선보이며 지지세를 넓혀가는 돌풍을 일으켰습니다.

패배를 예감한 후보자들의 중도 포기가 잇따랐고, 노무현 후보는 그 기세를 몰아 16대 대통령이 됐습니다.

이처럼 오픈프라이머리는 한 정당의 밀실공천을 막고 전국적 흥행을 불러올 수 있을 뿐 아니라 민심만 잘 읽어낸다면 약체 후보의 대역전도 가능케 합니다.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오픈 프라이머리에는 간과할 수 없는 맹점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볼까요.

이 A라는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은 오픈 프라이머리를 실시하는 B 정당의 선거인단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뒤 B 정당의 대선 후보 가운데 상대적으로 약한 후보에게 표를 몰아줍니다.

그러면 본선에서 A당의 후보가 B당 후보를 제칠 가능성이 높아지겠죠.

즉 민심 왜곡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또 당원이 주인인 정당의 정체성을 약화시켜 정당정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픈 프라이머리란 제도를 처음 만들어낸 미국의 상황은 어떨까요.

워싱턴에서 최규식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월 공화당의 미시간주 대선후보 경선에선 한 후보가 공개적으로 민주당원들의 투표참여를 독려해 논란이 됐습니다.

<녹취> 샌토럼 후보측 홍보 전화 : " 롬니 후보에 반대하는 민주당원들은 샌토럼 후보에게 투표하십시오."

당원이 아닌 일반인들도 투표를 할 수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에선 흔히 벌어지는 일입니다.

롬니가 이긴 오늘 뉴욕주의 경선은 약간 다른 방식으로 치러졌습니다.

일반인도 투표를 했지만 다른 당 당원이나, 다른 당 경선에 투표한 사람은 투표권이 없었습니다.

미국 50개주 가운데 공화당은 17개주에서, 민주당은 22개주에서 오픈 프라이머리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뉴욕처럼 변형된 프라이머리를 치르는 주도 있고 아이오와처럼 당원들만 투표하는 코커스를 고수하고 있는 주들도 상당숩니다.

<인터뷰> 마크 롬(조지 타운대학 교수) : "당 지도부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국민이 후보를 선택해야 한다는 믿음이 있는 것입니다."

완벽하진 않지만 미국은 다양한 경선방식을 통해 당심과 민심의 균형점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최규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