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비,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10% 인상

입력 2012.05.23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기름값은 올랐는데 석유 소비량은 오히려 늘고 있습니다.



급기야 정부가 에너지 절감 대책을 쏟아냈습니다.



민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가 ’대중교통의 날’로 정한 오늘 오후.



시내로 진입하려는 차량이 몰리면서 5차선 도로가 끝도 없이 밀렸습니다.



<인터뷰> 강영구(택시 기사) : "(지난 해에) 7-8대 다니던 거, 올해는 10대 다니는 그런 식이에요. 더 많이 늘고..."



기름값이 크게 올랐지만 올 1분기 국내 석유소비량은 오히려 3.1% 증가했습니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석유소비량이 줄어든 것과 대조됩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범정부 석유소비 절감대책을 추진해 에너지 저소비형 경제 구조로의 전환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비를 신용카드로 낼 경우 현재 20%인 소득공제율을 내년부터 30%로 확대합니다.



소득공제 한도액도 현행 300만 원에서 400만 원으로 100만 원 추가됩니다.



차량 이용을 억제하기 위해 내년 중에 공영주차장 요금 인상을 추진합니다.



또 올해 말로 끝나는 하이브리드차와 경차에 대한 세제 지원도 3년 연장됩니다.



영세 상인과 지입 차주의 노후 화물차 교체를 지원하는 등 수송 부문의 에너지 절감에 대책이 집중됩니다.



<인터뷰> 이관섭(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 : "자동차의 평균 연비와 온실가스 수준을 2025년도에는 세계 최고 수준에 달성할 수 있도록, 2016년 이후에 적용될 목표를 금년 중에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부는 이런 대책을 통해 1차 에너지 가운데 석유 소비 비중을 2010년 40%에서 2015년에는 33% 이하로 낮출 계획입니다.



KBS 뉴스 민필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중교통비,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10% 인상
    • 입력 2012-05-23 21:59:59
    뉴스 9
<앵커 멘트>

기름값은 올랐는데 석유 소비량은 오히려 늘고 있습니다.

급기야 정부가 에너지 절감 대책을 쏟아냈습니다.

민필규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가 ’대중교통의 날’로 정한 오늘 오후.

시내로 진입하려는 차량이 몰리면서 5차선 도로가 끝도 없이 밀렸습니다.

<인터뷰> 강영구(택시 기사) : "(지난 해에) 7-8대 다니던 거, 올해는 10대 다니는 그런 식이에요. 더 많이 늘고..."

기름값이 크게 올랐지만 올 1분기 국내 석유소비량은 오히려 3.1% 증가했습니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의 석유소비량이 줄어든 것과 대조됩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범정부 석유소비 절감대책을 추진해 에너지 저소비형 경제 구조로의 전환을 서두르기로 했습니다.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비를 신용카드로 낼 경우 현재 20%인 소득공제율을 내년부터 30%로 확대합니다.

소득공제 한도액도 현행 300만 원에서 400만 원으로 100만 원 추가됩니다.

차량 이용을 억제하기 위해 내년 중에 공영주차장 요금 인상을 추진합니다.

또 올해 말로 끝나는 하이브리드차와 경차에 대한 세제 지원도 3년 연장됩니다.

영세 상인과 지입 차주의 노후 화물차 교체를 지원하는 등 수송 부문의 에너지 절감에 대책이 집중됩니다.

<인터뷰> 이관섭(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 : "자동차의 평균 연비와 온실가스 수준을 2025년도에는 세계 최고 수준에 달성할 수 있도록, 2016년 이후에 적용될 목표를 금년 중에 발표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부는 이런 대책을 통해 1차 에너지 가운데 석유 소비 비중을 2010년 40%에서 2015년에는 33% 이하로 낮출 계획입니다.

KBS 뉴스 민필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