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CD금리 파생 상품 4,500조”…“국제 소송 우려”

입력 2012.07.20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 주식시장에서 마감된 은행주 움직임입니다.

전체적으로 장은 보합세였지만, 신한,kb, 외환, 기업 등 은행주 대부분이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CD금리 담합 의혹으로 은행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금융당국의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파만파 번지고 있는 CD금리 담합 의혹, 이정민 기자가 심층 보도합니다.

<리포트>

CD금리 담합 의혹 조사이후 가장 큰 변화는 CD금리 하락입니다.

오늘까지 나흘동안 매일 0.01%p 씩 떨어졌습니다.

거의 꿈쩍도 하지 않던 지난 1년의 흐름과는 딴판입니다.

올 3월부터 기준금리 인하 직전인 지난 11일까지 다른 금리들은 0.2에서 0.6%포인트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CD금리만은 3.54%에서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CD금리 담합의혹으로 금융주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면서 은행과 증권주도 사흘째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현재 전체 은행 가운데 CD금리와 연동된 대출은 3백24조 원.

CD금리가 최소한 0.2% 포인트 정도만 높게 유지됐다고 쳐도 연 6천4백억 원의 이자를 더 거둔 셈이 됩니다.

무더기 집단소송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

<인터뷰> 조연행(금융소비자연맹 부회장) : "믿고 이자를 내 왔는데 그 기준금리를 속였다면 은행의 신뢰성에 대해서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CD금리에 연동되는 파생상품도 무려 4천 5백조 원.

담합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금융권 사상 최대규모의 국제소송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감독책임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제대로 모니터링만 했어도 대체 금리를 조기에 마련했어도 이번 파문은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시장의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금리가 시중상품의 중요한 기준금리로 오랫동안 사용될 것을 방치한 것은 결국 금융감독당국의 책임이라고 보여집니다."

담합에 대한 공정위의 조사는 몇달 뒤면 결론이 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미 무너진 금융권의 신뢰를 회복하는 건 당분간 쉽지 않아보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CD금리 파생 상품 4,500조”…“국제 소송 우려”
    • 입력 2012-07-20 22:00:11
    뉴스 9
<앵커 멘트> 오늘 주식시장에서 마감된 은행주 움직임입니다. 전체적으로 장은 보합세였지만, 신한,kb, 외환, 기업 등 은행주 대부분이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CD금리 담합 의혹으로 은행에 대한 신뢰가 추락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금융당국의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파만파 번지고 있는 CD금리 담합 의혹, 이정민 기자가 심층 보도합니다. <리포트> CD금리 담합 의혹 조사이후 가장 큰 변화는 CD금리 하락입니다. 오늘까지 나흘동안 매일 0.01%p 씩 떨어졌습니다. 거의 꿈쩍도 하지 않던 지난 1년의 흐름과는 딴판입니다. 올 3월부터 기준금리 인하 직전인 지난 11일까지 다른 금리들은 0.2에서 0.6%포인트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CD금리만은 3.54%에서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CD금리 담합의혹으로 금융주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면서 은행과 증권주도 사흘째 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현재 전체 은행 가운데 CD금리와 연동된 대출은 3백24조 원. CD금리가 최소한 0.2% 포인트 정도만 높게 유지됐다고 쳐도 연 6천4백억 원의 이자를 더 거둔 셈이 됩니다. 무더기 집단소송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 <인터뷰> 조연행(금융소비자연맹 부회장) : "믿고 이자를 내 왔는데 그 기준금리를 속였다면 은행의 신뢰성에 대해서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CD금리에 연동되는 파생상품도 무려 4천 5백조 원. 담합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금융권 사상 최대규모의 국제소송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감독책임론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제대로 모니터링만 했어도 대체 금리를 조기에 마련했어도 이번 파문은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 "시장의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금리가 시중상품의 중요한 기준금리로 오랫동안 사용될 것을 방치한 것은 결국 금융감독당국의 책임이라고 보여집니다." 담합에 대한 공정위의 조사는 몇달 뒤면 결론이 날 전망입니다. 하지만 이미 무너진 금융권의 신뢰를 회복하는 건 당분간 쉽지 않아보입니다.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패럴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