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8월에서 9월초까지 한반도를 지나가는 태풍은 특히 수확철 농작물에 직격탄이 됩니다.
어떻게 하면 농작물 피해를 줄일 수 있는지 대비책을 허솔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확기를 일주일 정도 앞둔 포도밭.
태풍 피해를 입기 전에 잘 익은 포도를 미리 따려는 손길이 바쁩니다.
방풍망도 설치했지만 불안감을 떨쳐버릴 수 없습니다.
<인터뷰> 포도 농가 : "곤파스때 지나가서 완전히 박살났어요 태풍만 오면 겁이 나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어요."
사과와 배 같은 과일은 특히 강풍 피해에 취약합니다.
가지를 철사로 이어 단단히 고정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배 농가 : "시설이 안돼있을때는 과수원의 40%까지 떨어졌죠 정말 배나무 붙잡고 울고 싶은 심정이었죠."
고추같은 밭작물은 줄로 연결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서서히 낱알이 익어가는 벼는 물에 잠기지 않도록 논두렁과 배수로를 점검해야 합니다.
하우스 시설은 강풍에 철제 구조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비닐을 미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농진청 : "처음부터 바람에 강한 시설을 갖춰야되고, 일찍 따는 품종 늦게 따는 품종으로 수확시기를 안배..."
또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태풍이 지나간 후에도 병충해 방지 등 사후관리가 중요합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8월에서 9월초까지 한반도를 지나가는 태풍은 특히 수확철 농작물에 직격탄이 됩니다.
어떻게 하면 농작물 피해를 줄일 수 있는지 대비책을 허솔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확기를 일주일 정도 앞둔 포도밭.
태풍 피해를 입기 전에 잘 익은 포도를 미리 따려는 손길이 바쁩니다.
방풍망도 설치했지만 불안감을 떨쳐버릴 수 없습니다.
<인터뷰> 포도 농가 : "곤파스때 지나가서 완전히 박살났어요 태풍만 오면 겁이 나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어요."
사과와 배 같은 과일은 특히 강풍 피해에 취약합니다.
가지를 철사로 이어 단단히 고정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배 농가 : "시설이 안돼있을때는 과수원의 40%까지 떨어졌죠 정말 배나무 붙잡고 울고 싶은 심정이었죠."
고추같은 밭작물은 줄로 연결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서서히 낱알이 익어가는 벼는 물에 잠기지 않도록 논두렁과 배수로를 점검해야 합니다.
하우스 시설은 강풍에 철제 구조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비닐을 미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농진청 : "처음부터 바람에 강한 시설을 갖춰야되고, 일찍 따는 품종 늦게 따는 품종으로 수확시기를 안배..."
또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태풍이 지나간 후에도 병충해 방지 등 사후관리가 중요합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태풍 북상에 농가 비상…대비는 이렇게!
-
- 입력 2012-08-28 06:51:30

<앵커 멘트>
8월에서 9월초까지 한반도를 지나가는 태풍은 특히 수확철 농작물에 직격탄이 됩니다.
어떻게 하면 농작물 피해를 줄일 수 있는지 대비책을 허솔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확기를 일주일 정도 앞둔 포도밭.
태풍 피해를 입기 전에 잘 익은 포도를 미리 따려는 손길이 바쁩니다.
방풍망도 설치했지만 불안감을 떨쳐버릴 수 없습니다.
<인터뷰> 포도 농가 : "곤파스때 지나가서 완전히 박살났어요 태풍만 오면 겁이 나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어요."
사과와 배 같은 과일은 특히 강풍 피해에 취약합니다.
가지를 철사로 이어 단단히 고정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배 농가 : "시설이 안돼있을때는 과수원의 40%까지 떨어졌죠 정말 배나무 붙잡고 울고 싶은 심정이었죠."
고추같은 밭작물은 줄로 연결해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서서히 낱알이 익어가는 벼는 물에 잠기지 않도록 논두렁과 배수로를 점검해야 합니다.
하우스 시설은 강풍에 철제 구조물이 쓰러지지 않도록 비닐을 미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농진청 : "처음부터 바람에 강한 시설을 갖춰야되고, 일찍 따는 품종 늦게 따는 품종으로 수확시기를 안배..."
또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태풍이 지나간 후에도 병충해 방지 등 사후관리가 중요합니다.
KBS 뉴스 허솔지입니다.
-
-
허솔지 기자 solji26@kbs.co.kr
허솔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기상ㆍ재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