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정부가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댑니다. 정부가 이런 발표를 하면 많은 분들이 고개를 갸웃합니다.
왜 정부물가하고 체감물가가 다른지 이윤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녹취>"원피스 32원부터 시작합니다. 경매들어갑니다."
파격적인 가격을 내세운 경매 이벤트, 고물가에 지친 소비 심리를 겨냥한 행삽니다.
<인터뷰> 아울렛 매장 기획팀:"물가에 다들 민감해 있어서 이런 초특가 초대박 행사하면 바로 사람들이 몰려드니까요."
채소가 주메뉴인 쌈밥집은 최근의 고물가 여파를 가장 실감하는 곳 중 하나.
1년 전 한 상자 만 원이던 상추값이 8만5천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두 달 연속 1%대.
한 달 전과 비교하면 0.4% 올라 석 달 만에 전월대비 상승세로 돌아섰다지만 체감물가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1년전 8월의 물가가 5%에 육박한 탓에 올해 덜 오른 것처럼 보였고 태풍 영향도 덜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쌈밥집 주인:"상추만 봐도 7배가 올랐는데 말이 안되죠.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만든 것 같아요."
이처럼 지표 따로, 체감 따로인 이유는 정부의 물가 산정 방식 때문입니다.
물가 지수 산출에 들어가는 품목은 모두 481개.
하지만 서민 가계와 직결된 생필품은 10% 안팎에 불과합니다.
가계 소비 비중에 따라 적용하는 가중치 역시 이런 장바구니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도 문젭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일반 휴대전화보다 가입자가 많지만 통신비 가중치는 오히려 더 낮습니다.
물가 산정 지수가 5년마다 조정되는 것도 문젭니다.
<인터뷰>임희정(현대경제연구원):"실제 현장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려면 지수 조정 시기를 2년 단위로 줄일 필요가 있다."
지표물가가 체감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정부 발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만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윤희입니다.
정부가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댑니다. 정부가 이런 발표를 하면 많은 분들이 고개를 갸웃합니다.
왜 정부물가하고 체감물가가 다른지 이윤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녹취>"원피스 32원부터 시작합니다. 경매들어갑니다."
파격적인 가격을 내세운 경매 이벤트, 고물가에 지친 소비 심리를 겨냥한 행삽니다.
<인터뷰> 아울렛 매장 기획팀:"물가에 다들 민감해 있어서 이런 초특가 초대박 행사하면 바로 사람들이 몰려드니까요."
채소가 주메뉴인 쌈밥집은 최근의 고물가 여파를 가장 실감하는 곳 중 하나.
1년 전 한 상자 만 원이던 상추값이 8만5천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두 달 연속 1%대.
한 달 전과 비교하면 0.4% 올라 석 달 만에 전월대비 상승세로 돌아섰다지만 체감물가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1년전 8월의 물가가 5%에 육박한 탓에 올해 덜 오른 것처럼 보였고 태풍 영향도 덜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쌈밥집 주인:"상추만 봐도 7배가 올랐는데 말이 안되죠.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만든 것 같아요."
이처럼 지표 따로, 체감 따로인 이유는 정부의 물가 산정 방식 때문입니다.
물가 지수 산출에 들어가는 품목은 모두 481개.
하지만 서민 가계와 직결된 생필품은 10% 안팎에 불과합니다.
가계 소비 비중에 따라 적용하는 가중치 역시 이런 장바구니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도 문젭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일반 휴대전화보다 가입자가 많지만 통신비 가중치는 오히려 더 낮습니다.
물가 산정 지수가 5년마다 조정되는 것도 문젭니다.
<인터뷰>임희정(현대경제연구원):"실제 현장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려면 지수 조정 시기를 2년 단위로 줄일 필요가 있다."
지표물가가 체감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정부 발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만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자 물가 12년 만에 최저…체감 물가는 딴판
-
- 입력 2012-09-03 23:34:29
<앵커 멘트>
정부가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댑니다. 정부가 이런 발표를 하면 많은 분들이 고개를 갸웃합니다.
왜 정부물가하고 체감물가가 다른지 이윤희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녹취>"원피스 32원부터 시작합니다. 경매들어갑니다."
파격적인 가격을 내세운 경매 이벤트, 고물가에 지친 소비 심리를 겨냥한 행삽니다.
<인터뷰> 아울렛 매장 기획팀:"물가에 다들 민감해 있어서 이런 초특가 초대박 행사하면 바로 사람들이 몰려드니까요."
채소가 주메뉴인 쌈밥집은 최근의 고물가 여파를 가장 실감하는 곳 중 하나.
1년 전 한 상자 만 원이던 상추값이 8만5천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두 달 연속 1%대.
한 달 전과 비교하면 0.4% 올라 석 달 만에 전월대비 상승세로 돌아섰다지만 체감물가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1년전 8월의 물가가 5%에 육박한 탓에 올해 덜 오른 것처럼 보였고 태풍 영향도 덜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쌈밥집 주인:"상추만 봐도 7배가 올랐는데 말이 안되죠.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만든 것 같아요."
이처럼 지표 따로, 체감 따로인 이유는 정부의 물가 산정 방식 때문입니다.
물가 지수 산출에 들어가는 품목은 모두 481개.
하지만 서민 가계와 직결된 생필품은 10% 안팎에 불과합니다.
가계 소비 비중에 따라 적용하는 가중치 역시 이런 장바구니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도 문젭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일반 휴대전화보다 가입자가 많지만 통신비 가중치는 오히려 더 낮습니다.
물가 산정 지수가 5년마다 조정되는 것도 문젭니다.
<인터뷰>임희정(현대경제연구원):"실제 현장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려면 지수 조정 시기를 2년 단위로 줄일 필요가 있다."
지표물가가 체감 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정부 발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만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윤희입니다.
-
-
이윤희 기자 heeya@kbs.co.kr
이윤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