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아동학대 사전 예방’ 강화하기로
입력 2012.09.04 (13:06)
수정 2012.09.04 (16: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아동학대 발생 건수가 해마다 늘어 지난해 서울에서만 8백건이 넘었는데요.
서울시가 앞으로는 사후 조사가 아니라 사전 예방에 치중하기로 했습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살배기 아들을 마구 때려 숨지게 하고 쓰레기 더미에 버린 비정한 아버지.
지난해 큰 충격을 줬던 이 사건처럼 아동학대는 해마다 늘고 학대의 정도도 심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공식 집계된 아동 학대 건수는 서울에서만 841건으로 2010년 보다 111건이나 늘었고, 80% 이상이 친부모에 의한 학대였습니다.
서울시가 이같은 아동학대의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아동학대 예방 종합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공공의 책임을 강화해 사전 예방에 힘쓰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한번 아동학대를 겪은 아동이 다시 학대를 당하지 않도록 적극 보호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신고 전화를 일원화하고 아동학대가 '의심'만 되는 경우라도 적극적인 신고를 할 수 있도록 '아동학대 신고포상제도'를 도입합니다.
또 어린이집이나 아동복지시설에서 학대 행위가 발생하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자격 취소, 고발, 보조금 중단에 이어 최고 시설폐쇄조치까지 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아동학대 업무를 전담하는 서울지역 7개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명칭을 '아동학대예방센터'로 바꾸고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아동학대 실태 조사도 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아동학대 발생 건수가 해마다 늘어 지난해 서울에서만 8백건이 넘었는데요.
서울시가 앞으로는 사후 조사가 아니라 사전 예방에 치중하기로 했습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살배기 아들을 마구 때려 숨지게 하고 쓰레기 더미에 버린 비정한 아버지.
지난해 큰 충격을 줬던 이 사건처럼 아동학대는 해마다 늘고 학대의 정도도 심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공식 집계된 아동 학대 건수는 서울에서만 841건으로 2010년 보다 111건이나 늘었고, 80% 이상이 친부모에 의한 학대였습니다.
서울시가 이같은 아동학대의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아동학대 예방 종합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공공의 책임을 강화해 사전 예방에 힘쓰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한번 아동학대를 겪은 아동이 다시 학대를 당하지 않도록 적극 보호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신고 전화를 일원화하고 아동학대가 '의심'만 되는 경우라도 적극적인 신고를 할 수 있도록 '아동학대 신고포상제도'를 도입합니다.
또 어린이집이나 아동복지시설에서 학대 행위가 발생하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자격 취소, 고발, 보조금 중단에 이어 최고 시설폐쇄조치까지 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아동학대 업무를 전담하는 서울지역 7개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명칭을 '아동학대예방센터'로 바꾸고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아동학대 실태 조사도 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아동학대 사전 예방’ 강화하기로
-
- 입력 2012-09-04 13:06:12
- 수정2012-09-04 16:27:43

<앵커 멘트>
아동학대 발생 건수가 해마다 늘어 지난해 서울에서만 8백건이 넘었는데요.
서울시가 앞으로는 사후 조사가 아니라 사전 예방에 치중하기로 했습니다.
이효용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살배기 아들을 마구 때려 숨지게 하고 쓰레기 더미에 버린 비정한 아버지.
지난해 큰 충격을 줬던 이 사건처럼 아동학대는 해마다 늘고 학대의 정도도 심해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공식 집계된 아동 학대 건수는 서울에서만 841건으로 2010년 보다 111건이나 늘었고, 80% 이상이 친부모에 의한 학대였습니다.
서울시가 이같은 아동학대의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아동학대 예방 종합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공공의 책임을 강화해 사전 예방에 힘쓰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한번 아동학대를 겪은 아동이 다시 학대를 당하지 않도록 적극 보호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아동학대 신고 전화를 일원화하고 아동학대가 '의심'만 되는 경우라도 적극적인 신고를 할 수 있도록 '아동학대 신고포상제도'를 도입합니다.
또 어린이집이나 아동복지시설에서 학대 행위가 발생하면 '무관용 원칙'에 따라 자격 취소, 고발, 보조금 중단에 이어 최고 시설폐쇄조치까지 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아동학대 업무를 전담하는 서울지역 7개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명칭을 '아동학대예방센터'로 바꾸고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주기적인 아동학대 실태 조사도 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효용입니다.
-
-
이효용 기자 utility@kbs.co.kr
이효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