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세계 속으로] 이탈리아 오래된 건축물의 재활용
입력 2012.11.30 (11:17)
수정 2012.12.01 (08: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과 견주어지는 이탈리아의 상징.
1889년에 세워진 몰레 안토넬리아나입니다.
돌로 만든 높이 167.5미터의 건축물인데요.
이탈리아의 동전에도 새겨져 있을 만큼 유명합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웅장한 내부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국립 영화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는데요. 처음부터 박물관이었던 건 아닙니다.
유대교인들이 회당으로 쓰려고 짓다가 건축가와 불화가 생겨 몇 년간 버려뒀습니다.
이를 보다 못해 토리노 시가 나섰고 2000년에 박물관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도나타(큐레이터) : "4년간의 과학적인 조사를 거쳐 개관했습니다. 이 건물은 무척 독특합니다. 매우 높고 모든 벽면에 큰 창이 있습니다."
다른 용도로 지어진 건물을 재활용했기 때문에 보통 박물관과는 다른 점이 많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부터 독특한데요.
박물관 한가운데 있으며 통유리로 만들어 사방이 훤히 보입니다.
전시실에는 영화 제작의 역사를 볼 수 있는 가치 있는 자료들이 많습니다.
또한 유명한 영화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돼 있고요.
당대 최고의 여배우도 만날 수 있습니다.
박물관을 모두 둘러본 이들은 하나같이 옥상으로 올라갑니다.
토리노의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는 전망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박물관인 몰레 안토넬리아나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권입니다.
<인터뷰> 폴(관람객) : "(오래된 건물을) 최고의 방법으로 활용한 것 같아요."
토리노는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였던 곳으로 오래된 건축물이 많습니다.
시에선 이 건물들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하고 있는데요.
토리노 대학교는 군인들이 전쟁 중에 썼던 숙소를 강의실로 바꿨습니다.
<인터뷰> 아멜리아(학생) : "(건물을 재활용 한 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말하자면 용도가 전쟁을 위한 도구에서 교육으로 바뀐 거니까요."
새롭게 다시 태어나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 오래된 건축물.
유서 깊은 공간을 지키는 동시에 실용성을 높이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1889년에 세워진 몰레 안토넬리아나입니다.
돌로 만든 높이 167.5미터의 건축물인데요.
이탈리아의 동전에도 새겨져 있을 만큼 유명합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웅장한 내부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국립 영화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는데요. 처음부터 박물관이었던 건 아닙니다.
유대교인들이 회당으로 쓰려고 짓다가 건축가와 불화가 생겨 몇 년간 버려뒀습니다.
이를 보다 못해 토리노 시가 나섰고 2000년에 박물관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도나타(큐레이터) : "4년간의 과학적인 조사를 거쳐 개관했습니다. 이 건물은 무척 독특합니다. 매우 높고 모든 벽면에 큰 창이 있습니다."
다른 용도로 지어진 건물을 재활용했기 때문에 보통 박물관과는 다른 점이 많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부터 독특한데요.
박물관 한가운데 있으며 통유리로 만들어 사방이 훤히 보입니다.
전시실에는 영화 제작의 역사를 볼 수 있는 가치 있는 자료들이 많습니다.
또한 유명한 영화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돼 있고요.
당대 최고의 여배우도 만날 수 있습니다.
박물관을 모두 둘러본 이들은 하나같이 옥상으로 올라갑니다.
토리노의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는 전망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박물관인 몰레 안토넬리아나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권입니다.
<인터뷰> 폴(관람객) : "(오래된 건물을) 최고의 방법으로 활용한 것 같아요."
토리노는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였던 곳으로 오래된 건축물이 많습니다.
시에선 이 건물들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하고 있는데요.
토리노 대학교는 군인들이 전쟁 중에 썼던 숙소를 강의실로 바꿨습니다.
<인터뷰> 아멜리아(학생) : "(건물을 재활용 한 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말하자면 용도가 전쟁을 위한 도구에서 교육으로 바뀐 거니까요."
새롭게 다시 태어나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 오래된 건축물.
유서 깊은 공간을 지키는 동시에 실용성을 높이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클릭! 세계 속으로] 이탈리아 오래된 건축물의 재활용
-
- 입력 2012-11-30 11:17:13
- 수정2012-12-01 08:50:04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과 견주어지는 이탈리아의 상징.
1889년에 세워진 몰레 안토넬리아나입니다.
돌로 만든 높이 167.5미터의 건축물인데요.
이탈리아의 동전에도 새겨져 있을 만큼 유명합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웅장한 내부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국립 영화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는데요. 처음부터 박물관이었던 건 아닙니다.
유대교인들이 회당으로 쓰려고 짓다가 건축가와 불화가 생겨 몇 년간 버려뒀습니다.
이를 보다 못해 토리노 시가 나섰고 2000년에 박물관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도나타(큐레이터) : "4년간의 과학적인 조사를 거쳐 개관했습니다. 이 건물은 무척 독특합니다. 매우 높고 모든 벽면에 큰 창이 있습니다."
다른 용도로 지어진 건물을 재활용했기 때문에 보통 박물관과는 다른 점이 많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부터 독특한데요.
박물관 한가운데 있으며 통유리로 만들어 사방이 훤히 보입니다.
전시실에는 영화 제작의 역사를 볼 수 있는 가치 있는 자료들이 많습니다.
또한 유명한 영화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돼 있고요.
당대 최고의 여배우도 만날 수 있습니다.
박물관을 모두 둘러본 이들은 하나같이 옥상으로 올라갑니다.
토리노의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는 전망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박물관인 몰레 안토넬리아나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권입니다.
<인터뷰> 폴(관람객) : "(오래된 건물을) 최고의 방법으로 활용한 것 같아요."
토리노는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였던 곳으로 오래된 건축물이 많습니다.
시에선 이 건물들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하고 있는데요.
토리노 대학교는 군인들이 전쟁 중에 썼던 숙소를 강의실로 바꿨습니다.
<인터뷰> 아멜리아(학생) : "(건물을 재활용 한 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말하자면 용도가 전쟁을 위한 도구에서 교육으로 바뀐 거니까요."
새롭게 다시 태어나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 오래된 건축물.
유서 깊은 공간을 지키는 동시에 실용성을 높이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1889년에 세워진 몰레 안토넬리아나입니다.
돌로 만든 높이 167.5미터의 건축물인데요.
이탈리아의 동전에도 새겨져 있을 만큼 유명합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웅장한 내부를 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국립 영화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는데요. 처음부터 박물관이었던 건 아닙니다.
유대교인들이 회당으로 쓰려고 짓다가 건축가와 불화가 생겨 몇 년간 버려뒀습니다.
이를 보다 못해 토리노 시가 나섰고 2000년에 박물관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인터뷰> 도나타(큐레이터) : "4년간의 과학적인 조사를 거쳐 개관했습니다. 이 건물은 무척 독특합니다. 매우 높고 모든 벽면에 큰 창이 있습니다."
다른 용도로 지어진 건물을 재활용했기 때문에 보통 박물관과는 다른 점이 많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부터 독특한데요.
박물관 한가운데 있으며 통유리로 만들어 사방이 훤히 보입니다.
전시실에는 영화 제작의 역사를 볼 수 있는 가치 있는 자료들이 많습니다.
또한 유명한 영화를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돼 있고요.
당대 최고의 여배우도 만날 수 있습니다.
박물관을 모두 둘러본 이들은 하나같이 옥상으로 올라갑니다.
토리노의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는 전망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박물관인 몰레 안토넬리아나에서만 누릴 수 있는 특권입니다.
<인터뷰> 폴(관람객) : "(오래된 건물을) 최고의 방법으로 활용한 것 같아요."
토리노는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였던 곳으로 오래된 건축물이 많습니다.
시에선 이 건물들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하고 있는데요.
토리노 대학교는 군인들이 전쟁 중에 썼던 숙소를 강의실로 바꿨습니다.
<인터뷰> 아멜리아(학생) : "(건물을 재활용 한 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말하자면 용도가 전쟁을 위한 도구에서 교육으로 바뀐 거니까요."
새롭게 다시 태어나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 오래된 건축물.
유서 깊은 공간을 지키는 동시에 실용성을 높이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