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깡통주택’ 소유 19만 명…금융권도 부실 우려

입력 2012.12.02 (21:08) 수정 2012.12.02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경매로 집을 팔아도 대출금을 못 갚는 이른바 깡통주택의 소유자가 19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금융당국이 처음 조사해 발표한 깡통주택의 실상을 먼저 이해연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체 160세대로 구성된 아파트 단지입니다.

최근 2년새 모두 40세대가 경매에 넘어갔습니다.

이 집의 낙찰가는 감정가의 절반수준인 2억 9천 만원.

집을 팔아도 대출금 4억 8천만원을 다 못 갚아 깡통 주택이 됐습니다.

<인터뷰> 김서중(공인중개사) : "대형 평수다 보니 수요자들이 찾지를 않아요"

금융당국이 첫 실태조사에서 확인한 깡통주택 소유자는 19만명,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됐습니다.

경매로 처분해도 못갚는 대출은 13조원에 달했습니다.

<인터뷰> 금융감독원 : "최근 주택시장 침체로 인해 LTV 초과 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달 이상 주택담보대출을 연체한 사람도 4만 명에 이릅니다.

깡통 아파트가 늘면서 전세 등 세입자들의 피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임차한 집이 경매에 넘어가 무일푼으로 쫓겨난 세입자는 7천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인터뷰> 하유정(지지옥션 연구원) : "시세가 하락하다보니까 낙찰가가 낮아지고요.임차금은 하나도 못받고 쫓겨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는거죠"

주택가격이 36% 떨어지면 깡통주택이 8배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도 있어 깡통주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앵커 멘트>

집값이 떨어져 깡통주택이 늘면 집주인뿐만 아니라 금융권도 타격이 큰데요.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을 보면 지난 2009년 말 0.72%였던 것이 올해 8월에는 1.32%까지 높아졌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될 기미가 없는데다 경기 악화로 빚 갚을 능력도 떨어지고 있어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분석입니다.

대책은 없는지 계속해서 박일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분양 주택을 사면 취득세를 감면해 주는 9.10 대책 이후 방문객이 늘었던 한 견본주택.

그러나 최근엔 다시 문의전화가 줄고 있습니다.

<녹취> 건설사 관계자 : "소강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10월 상황이 이어진다 이거는 아닌 것 같아요."

기존 주택 거래량는 오히려 줄었고 집값 하락도 멈출 기미가 없습니다.

깡통주택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입니다.

당장 후순위 대출이 많은 제2금융권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저축은행과 카드사는 주택담보대출의 4분의 1이 후순위일 정도로 부실 위험이 높습니다.

연체율도 저축은행의 경우 은행의 12배가 넘습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 나온 대책은 아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경매에 넘어가기 전 석 달간 팔 기회를 주는 경매 유예 제도는 거래가 없는 상황에서는 실효성이 없고, 우리은행의 '신탁 후 임대 제도'는 신청자가 단 한 명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채무자가 모든 부담을 떠안는 구조인데요 하지만 금융기관도 문제를 뒤로만 미룰 것이 아니라 손실의 일정부분을 감수하고 서둘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계 상황에 몰린 주택이 시장에 나올 경우 집값 2차 하락마저 우려돼 치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깡통주택’ 소유 19만 명…금융권도 부실 우려
    • 입력 2012-12-02 21:01:29
    • 수정2012-12-02 22:01:32
    뉴스 9
<앵커 멘트> 경매로 집을 팔아도 대출금을 못 갚는 이른바 깡통주택의 소유자가 19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금융당국이 처음 조사해 발표한 깡통주택의 실상을 먼저 이해연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체 160세대로 구성된 아파트 단지입니다. 최근 2년새 모두 40세대가 경매에 넘어갔습니다. 이 집의 낙찰가는 감정가의 절반수준인 2억 9천 만원. 집을 팔아도 대출금 4억 8천만원을 다 못 갚아 깡통 주택이 됐습니다. <인터뷰> 김서중(공인중개사) : "대형 평수다 보니 수요자들이 찾지를 않아요" 금융당국이 첫 실태조사에서 확인한 깡통주택 소유자는 19만명,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됐습니다. 경매로 처분해도 못갚는 대출은 13조원에 달했습니다. <인터뷰> 금융감독원 : "최근 주택시장 침체로 인해 LTV 초과 대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달 이상 주택담보대출을 연체한 사람도 4만 명에 이릅니다. 깡통 아파트가 늘면서 전세 등 세입자들의 피해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2010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임차한 집이 경매에 넘어가 무일푼으로 쫓겨난 세입자는 7천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인터뷰> 하유정(지지옥션 연구원) : "시세가 하락하다보니까 낙찰가가 낮아지고요.임차금은 하나도 못받고 쫓겨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는거죠" 주택가격이 36% 떨어지면 깡통주택이 8배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도 있어 깡통주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해연입니다. <앵커 멘트> 집값이 떨어져 깡통주택이 늘면 집주인뿐만 아니라 금융권도 타격이 큰데요.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을 보면 지난 2009년 말 0.72%였던 것이 올해 8월에는 1.32%까지 높아졌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회복될 기미가 없는데다 경기 악화로 빚 갚을 능력도 떨어지고 있어 앞으로가 더 문제라는 분석입니다. 대책은 없는지 계속해서 박일중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분양 주택을 사면 취득세를 감면해 주는 9.10 대책 이후 방문객이 늘었던 한 견본주택. 그러나 최근엔 다시 문의전화가 줄고 있습니다. <녹취> 건설사 관계자 : "소강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10월 상황이 이어진다 이거는 아닌 것 같아요." 기존 주택 거래량는 오히려 줄었고 집값 하락도 멈출 기미가 없습니다. 깡통주택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입니다. 당장 후순위 대출이 많은 제2금융권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저축은행과 카드사는 주택담보대출의 4분의 1이 후순위일 정도로 부실 위험이 높습니다. 연체율도 저축은행의 경우 은행의 12배가 넘습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 나온 대책은 아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경매에 넘어가기 전 석 달간 팔 기회를 주는 경매 유예 제도는 거래가 없는 상황에서는 실효성이 없고, 우리은행의 '신탁 후 임대 제도'는 신청자가 단 한 명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채무자가 모든 부담을 떠안는 구조인데요 하지만 금융기관도 문제를 뒤로만 미룰 것이 아니라 손실의 일정부분을 감수하고 서둘러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계 상황에 몰린 주택이 시장에 나올 경우 집값 2차 하락마저 우려돼 치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BS 뉴스 박일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