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홍상어’ 최종시험 4발 중 3발만 명중
입력 2013.09.16 (07:12) 수정 2013.09.16 (07:54) 뉴스광장
<앵커 멘트>
우리 군이 천억 원을 들여 한국형 대잠수함 유도 미사일, 홍상어를 개발했는데요.
실전배치 이후 명중률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생산을 중단한 채 시험발사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홍상어의 성능이 나아지지 않고 있어 생산재개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 군은 지난 2010년부터 한 발에 20억 원 가까이하는 홍상어 50여 발을 배치했습니다.
2009년 첫 시험 발사에서 4발 가운데 3발이 명중한 것이 근거였습니다.
<인터뷰> 노대래(전 방위사업청장) : "(홍상어가) 워낙 비싸기 때문에 시험발사를 4번밖에 안 했습니다. 그래 가지고 75% 명중률이면 합격으로 한다고 기준이 돼있어 가지고."
하지만 홍상어는 실전배치 이후인 지난해 7월 한 발을 검증발사했을 때는 아예 실패했습니다.
물 속으로 들어가 목표물을 찾아가야 하지만, 어뢰 추진체가 작동하지 않아 그대로 가라앉아 버린 겁니다.
실전배치 이후 진행된 홍상어 시험발사는 모두 12차례.
이 가운데 목표물을 명중시킨 것은 모두 8발로 전체 시험발사 명중률은 66.7퍼센트에 불과합니다.
시험발사를 거듭해도 명중률이 더 개선되진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윤형(방위사업청 대변인) : "그동안의 발사 결과를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하여 9월 중으로 양산 재개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성급한 양산보다는 명중률을 높여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우리 군이 천억 원을 들여 한국형 대잠수함 유도 미사일, 홍상어를 개발했는데요.
실전배치 이후 명중률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생산을 중단한 채 시험발사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홍상어의 성능이 나아지지 않고 있어 생산재개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 군은 지난 2010년부터 한 발에 20억 원 가까이하는 홍상어 50여 발을 배치했습니다.
2009년 첫 시험 발사에서 4발 가운데 3발이 명중한 것이 근거였습니다.
<인터뷰> 노대래(전 방위사업청장) : "(홍상어가) 워낙 비싸기 때문에 시험발사를 4번밖에 안 했습니다. 그래 가지고 75% 명중률이면 합격으로 한다고 기준이 돼있어 가지고."
하지만 홍상어는 실전배치 이후인 지난해 7월 한 발을 검증발사했을 때는 아예 실패했습니다.
물 속으로 들어가 목표물을 찾아가야 하지만, 어뢰 추진체가 작동하지 않아 그대로 가라앉아 버린 겁니다.
실전배치 이후 진행된 홍상어 시험발사는 모두 12차례.
이 가운데 목표물을 명중시킨 것은 모두 8발로 전체 시험발사 명중률은 66.7퍼센트에 불과합니다.
시험발사를 거듭해도 명중률이 더 개선되진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윤형(방위사업청 대변인) : "그동안의 발사 결과를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하여 9월 중으로 양산 재개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성급한 양산보다는 명중률을 높여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 ‘홍상어’ 최종시험 4발 중 3발만 명중
-
- 입력 2013-09-16 07:14:44
- 수정2013-09-16 07:54:30

<앵커 멘트>
우리 군이 천억 원을 들여 한국형 대잠수함 유도 미사일, 홍상어를 개발했는데요.
실전배치 이후 명중률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생산을 중단한 채 시험발사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홍상어의 성능이 나아지지 않고 있어 생산재개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 군은 지난 2010년부터 한 발에 20억 원 가까이하는 홍상어 50여 발을 배치했습니다.
2009년 첫 시험 발사에서 4발 가운데 3발이 명중한 것이 근거였습니다.
<인터뷰> 노대래(전 방위사업청장) : "(홍상어가) 워낙 비싸기 때문에 시험발사를 4번밖에 안 했습니다. 그래 가지고 75% 명중률이면 합격으로 한다고 기준이 돼있어 가지고."
하지만 홍상어는 실전배치 이후인 지난해 7월 한 발을 검증발사했을 때는 아예 실패했습니다.
물 속으로 들어가 목표물을 찾아가야 하지만, 어뢰 추진체가 작동하지 않아 그대로 가라앉아 버린 겁니다.
실전배치 이후 진행된 홍상어 시험발사는 모두 12차례.
이 가운데 목표물을 명중시킨 것은 모두 8발로 전체 시험발사 명중률은 66.7퍼센트에 불과합니다.
시험발사를 거듭해도 명중률이 더 개선되진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윤형(방위사업청 대변인) : "그동안의 발사 결과를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하여 9월 중으로 양산 재개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성급한 양산보다는 명중률을 높여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우리 군이 천억 원을 들여 한국형 대잠수함 유도 미사일, 홍상어를 개발했는데요.
실전배치 이후 명중률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생산을 중단한 채 시험발사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홍상어의 성능이 나아지지 않고 있어 생산재개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우리 군은 지난 2010년부터 한 발에 20억 원 가까이하는 홍상어 50여 발을 배치했습니다.
2009년 첫 시험 발사에서 4발 가운데 3발이 명중한 것이 근거였습니다.
<인터뷰> 노대래(전 방위사업청장) : "(홍상어가) 워낙 비싸기 때문에 시험발사를 4번밖에 안 했습니다. 그래 가지고 75% 명중률이면 합격으로 한다고 기준이 돼있어 가지고."
하지만 홍상어는 실전배치 이후인 지난해 7월 한 발을 검증발사했을 때는 아예 실패했습니다.
물 속으로 들어가 목표물을 찾아가야 하지만, 어뢰 추진체가 작동하지 않아 그대로 가라앉아 버린 겁니다.
실전배치 이후 진행된 홍상어 시험발사는 모두 12차례.
이 가운데 목표물을 명중시킨 것은 모두 8발로 전체 시험발사 명중률은 66.7퍼센트에 불과합니다.
시험발사를 거듭해도 명중률이 더 개선되진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 백윤형(방위사업청 대변인) : "그동안의 발사 결과를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등 관련 기관과 협의하여 9월 중으로 양산 재개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성급한 양산보다는 명중률을 높여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중근 기자 news24@kbs.co.kr
이중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