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시대…북한은 지금] 北 자유시장 ‘북적’…백화점 ‘썰렁’

입력 2013.11.19 (21:12) 수정 2013.11.19 (2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김정은 체제 북한 사회의 실상을 알아보는 순섭니다.

오늘은 그 두 번째로 당에서 운영하는 백화점은 썰렁하지만, 자유시장은 북적이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드립니다.

도쿄 이재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 노동당이 운영하고 있는 한 국영상점.

중국산 상품이 가득 진열돼 있습니다.

그러나 물건을 사려는 손님은 3-4명뿐, 매장이 썰렁합니다.

종업원들도 판매에 관심이 없습니다.

<녹취> 국영상점 종업원 : "(이 치마 얼마입니까? ) 어휴,난 머리가 아파서.."

부근에 있는 백화점은 더합니다.

손님은 거의 없고, 종업원뿐입니다.

전력난때문인 지 조명마저 꺼져 있습니다.

자릿세를 내고 물건을 사고파는 자유시장, 이른바 장마당입니다.

이곳은 밀려드는 손님으로 북적이고, 군인들도 장을 보러 왔습니다.

<녹취> "(이거 얼마에요?) 300원이에요."

어린이까지 농산물을 가져와 팔고 있습니다.

<녹취> "(호박 1kg에 1,500원 부릅니다.) 1,500원 부르니? 너는 학교 안가니?"

화폐 개혁 실패이후 거래를 금지해온 중국돈도 공공연히 유통됩니다.

<녹취> "이 장비(중국 돈) 단속하는 사람 없습니까? (응 없어요,이른 시간에는 없어요.)"

상수도 시설이 부족해 세수하는 물까지 거래됩니다.

<녹취> "(세수 한번 하는데 얼마에요?) 500원인데,300원에 하세요."

북한 직장인의 월급은 북한 돈으로 5~6천 원선, 쌀 1kg을 겨우 살 정도입니다.

배급마저 제대로 안돼 주민들은 늘 극심한 빈곤상탭니다.

<녹취> "(할머니는 배급 못 탔습니까?) 글쎄 왜 배급을 안 주는지.. (배급을 안 줍니까?) 아직 안 줬어. "

이런 자유시장은 생계유지가 절실한 북한주민들에겐 갈수록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고집해온 북한에서도 시장 경제의 확산은 피할 수 없는 흐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정은 시대…북한은 지금] 北 자유시장 ‘북적’…백화점 ‘썰렁’
    • 입력 2013-11-19 21:14:45
    • 수정2013-11-19 22:21:00
    뉴스 9
<앵커 멘트>

김정은 체제 북한 사회의 실상을 알아보는 순섭니다.

오늘은 그 두 번째로 당에서 운영하는 백화점은 썰렁하지만, 자유시장은 북적이는 모습을 그대로 보여드립니다.

도쿄 이재호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 노동당이 운영하고 있는 한 국영상점.

중국산 상품이 가득 진열돼 있습니다.

그러나 물건을 사려는 손님은 3-4명뿐, 매장이 썰렁합니다.

종업원들도 판매에 관심이 없습니다.

<녹취> 국영상점 종업원 : "(이 치마 얼마입니까? ) 어휴,난 머리가 아파서.."

부근에 있는 백화점은 더합니다.

손님은 거의 없고, 종업원뿐입니다.

전력난때문인 지 조명마저 꺼져 있습니다.

자릿세를 내고 물건을 사고파는 자유시장, 이른바 장마당입니다.

이곳은 밀려드는 손님으로 북적이고, 군인들도 장을 보러 왔습니다.

<녹취> "(이거 얼마에요?) 300원이에요."

어린이까지 농산물을 가져와 팔고 있습니다.

<녹취> "(호박 1kg에 1,500원 부릅니다.) 1,500원 부르니? 너는 학교 안가니?"

화폐 개혁 실패이후 거래를 금지해온 중국돈도 공공연히 유통됩니다.

<녹취> "이 장비(중국 돈) 단속하는 사람 없습니까? (응 없어요,이른 시간에는 없어요.)"

상수도 시설이 부족해 세수하는 물까지 거래됩니다.

<녹취> "(세수 한번 하는데 얼마에요?) 500원인데,300원에 하세요."

북한 직장인의 월급은 북한 돈으로 5~6천 원선, 쌀 1kg을 겨우 살 정도입니다.

배급마저 제대로 안돼 주민들은 늘 극심한 빈곤상탭니다.

<녹취> "(할머니는 배급 못 탔습니까?) 글쎄 왜 배급을 안 주는지.. (배급을 안 줍니까?) 아직 안 줬어. "

이런 자유시장은 생계유지가 절실한 북한주민들에겐 갈수록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고집해온 북한에서도 시장 경제의 확산은 피할 수 없는 흐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