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정치 냉랭·교류 흔들…한일 관계 어디로 가나?
입력 2013.12.09 (21:30)
수정 2013.12.10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아베정권 출범이후 일본의 우경화와 우리 정부의 강경대응으로 한일 관계가 최악의 상황입니다.
풀 수 있는 해법은 없는 지, 9시뉴스에서 오늘부터 집중 보도합니다.
첫 순서로 한일 관계의 현주소를 짚어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지리적으로 얼마나 가까울까요?
부산에서 대마도까지 49.5km, 국회에서 인천공항까지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를 찾는 관광객중 1/3인 400만 명이 일본인이고, 우리도 한 해 180만 명이 일본을 방문합니다.
이와 반대로 정치 관계는 빙하깁니다.
2011년 이후 두 나라간 정상회담이 중단됐고, 지난 9월 외무장관 회담 결렬이후 관계 개선 노력도 성과가 없습니다.
일본인이 주고객이던 면세점, 요즘은 중국 쇼핑객만 가득한데요,
일본인 관광객이 급격히 줄어들었기때문입니다.
그 이유, 환율도 있지만 악화된 정치관계도 큽니다.
200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양국 교역량도 지난해 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있죠.
정치 외교 갈등이 민간교류,경제부문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실태를 이해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탄소섬유 분야 세계 1위 기업인 일본 도레이, 새만금 산업단지에 3천 억원을 투입해 신소재 공장을 짓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영관(도레이 첨단소재 회장) : "새만금처럼 인프라가 완벽하게 갖춰진 곳이 없습니다.그래서 여기서 잘 만들어서 배에 실으면 중국이 다 우리 시장이니까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고"
그러나 동일본 지진 이후 급증했던 일본 기업의 한국 투자는 올들어 주춤한 상황,.
전체 해외 투자는 5.9% 줄어든 반면 한국 투자는 35%나 급감했습니다.
<녹취> 일본기업 관계자 : "정치적으로라든가 국민 감정이 악화된 부분도 있고 엔이 약세를 보이면서 (예전에 비해) 30% 정도를 더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서울 명동 거리, 손님을 부르는 소리는 중국어가 더 많이 들립니다.
<녹취> "들어와서 발라 보세요"
외국인 관광객 수 1위 자리를 지켰던 일본인들이 사상 처음 2위로 내려 앉은 겁니다.
정치,외교 분야의 찬 바람이 경제와 민간 교류로 번졌기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지평(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한일 관계가 악화되고 있으면 기업 내부 결정 구조상 합의 도출을 하는게 꺼리게 되는 그런 심리적인 부담은 있는 것 같습니다"
경제계에선 한일간 정치갈등이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법을 모색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이런 상태에서 일본 정부는 관계 개선을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확대 발표한 방공식별구역에 대해서도 오늘 유화적 입장을 보였죠,
영공을 포함한 중국과는 달라 문제될 것 없다,
그리고 사전 의사소통이 있었다 강조했습니다.
중국, 북한문제 등을 감안할 때 한일간, 한미일간 공조 복원이 그만큼 절실해진 것이죠.
그러나 한일관계 경색의 원인인 그릇된 역사인식과 관련해선 여전히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진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화입니다.
아베정권 출범이후 일본의 우경화와 우리 정부의 강경대응으로 한일 관계가 최악의 상황입니다.
풀 수 있는 해법은 없는 지, 9시뉴스에서 오늘부터 집중 보도합니다.
첫 순서로 한일 관계의 현주소를 짚어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지리적으로 얼마나 가까울까요?
부산에서 대마도까지 49.5km, 국회에서 인천공항까지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를 찾는 관광객중 1/3인 400만 명이 일본인이고, 우리도 한 해 180만 명이 일본을 방문합니다.
이와 반대로 정치 관계는 빙하깁니다.
2011년 이후 두 나라간 정상회담이 중단됐고, 지난 9월 외무장관 회담 결렬이후 관계 개선 노력도 성과가 없습니다.
일본인이 주고객이던 면세점, 요즘은 중국 쇼핑객만 가득한데요,
일본인 관광객이 급격히 줄어들었기때문입니다.
그 이유, 환율도 있지만 악화된 정치관계도 큽니다.
200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양국 교역량도 지난해 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있죠.
정치 외교 갈등이 민간교류,경제부문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실태를 이해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탄소섬유 분야 세계 1위 기업인 일본 도레이, 새만금 산업단지에 3천 억원을 투입해 신소재 공장을 짓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영관(도레이 첨단소재 회장) : "새만금처럼 인프라가 완벽하게 갖춰진 곳이 없습니다.그래서 여기서 잘 만들어서 배에 실으면 중국이 다 우리 시장이니까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고"
그러나 동일본 지진 이후 급증했던 일본 기업의 한국 투자는 올들어 주춤한 상황,.
전체 해외 투자는 5.9% 줄어든 반면 한국 투자는 35%나 급감했습니다.
<녹취> 일본기업 관계자 : "정치적으로라든가 국민 감정이 악화된 부분도 있고 엔이 약세를 보이면서 (예전에 비해) 30% 정도를 더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서울 명동 거리, 손님을 부르는 소리는 중국어가 더 많이 들립니다.
<녹취> "들어와서 발라 보세요"
외국인 관광객 수 1위 자리를 지켰던 일본인들이 사상 처음 2위로 내려 앉은 겁니다.
정치,외교 분야의 찬 바람이 경제와 민간 교류로 번졌기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지평(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한일 관계가 악화되고 있으면 기업 내부 결정 구조상 합의 도출을 하는게 꺼리게 되는 그런 심리적인 부담은 있는 것 같습니다"
경제계에선 한일간 정치갈등이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법을 모색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이런 상태에서 일본 정부는 관계 개선을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확대 발표한 방공식별구역에 대해서도 오늘 유화적 입장을 보였죠,
영공을 포함한 중국과는 달라 문제될 것 없다,
그리고 사전 의사소통이 있었다 강조했습니다.
중국, 북한문제 등을 감안할 때 한일간, 한미일간 공조 복원이 그만큼 절실해진 것이죠.
그러나 한일관계 경색의 원인인 그릇된 역사인식과 관련해선 여전히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진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정치 냉랭·교류 흔들…한일 관계 어디로 가나?
-
- 입력 2013-12-09 21:28:55
- 수정2013-12-10 22:20:17

<앵커 멘트>
아베정권 출범이후 일본의 우경화와 우리 정부의 강경대응으로 한일 관계가 최악의 상황입니다.
풀 수 있는 해법은 없는 지, 9시뉴스에서 오늘부터 집중 보도합니다.
첫 순서로 한일 관계의 현주소를 짚어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지리적으로 얼마나 가까울까요?
부산에서 대마도까지 49.5km, 국회에서 인천공항까지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를 찾는 관광객중 1/3인 400만 명이 일본인이고, 우리도 한 해 180만 명이 일본을 방문합니다.
이와 반대로 정치 관계는 빙하깁니다.
2011년 이후 두 나라간 정상회담이 중단됐고, 지난 9월 외무장관 회담 결렬이후 관계 개선 노력도 성과가 없습니다.
일본인이 주고객이던 면세점, 요즘은 중국 쇼핑객만 가득한데요,
일본인 관광객이 급격히 줄어들었기때문입니다.
그 이유, 환율도 있지만 악화된 정치관계도 큽니다.
200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양국 교역량도 지난해 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있죠.
정치 외교 갈등이 민간교류,경제부문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실태를 이해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탄소섬유 분야 세계 1위 기업인 일본 도레이, 새만금 산업단지에 3천 억원을 투입해 신소재 공장을 짓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영관(도레이 첨단소재 회장) : "새만금처럼 인프라가 완벽하게 갖춰진 곳이 없습니다.그래서 여기서 잘 만들어서 배에 실으면 중국이 다 우리 시장이니까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고"
그러나 동일본 지진 이후 급증했던 일본 기업의 한국 투자는 올들어 주춤한 상황,.
전체 해외 투자는 5.9% 줄어든 반면 한국 투자는 35%나 급감했습니다.
<녹취> 일본기업 관계자 : "정치적으로라든가 국민 감정이 악화된 부분도 있고 엔이 약세를 보이면서 (예전에 비해) 30% 정도를 더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서울 명동 거리, 손님을 부르는 소리는 중국어가 더 많이 들립니다.
<녹취> "들어와서 발라 보세요"
외국인 관광객 수 1위 자리를 지켰던 일본인들이 사상 처음 2위로 내려 앉은 겁니다.
정치,외교 분야의 찬 바람이 경제와 민간 교류로 번졌기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지평(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한일 관계가 악화되고 있으면 기업 내부 결정 구조상 합의 도출을 하는게 꺼리게 되는 그런 심리적인 부담은 있는 것 같습니다"
경제계에선 한일간 정치갈등이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법을 모색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이런 상태에서 일본 정부는 관계 개선을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확대 발표한 방공식별구역에 대해서도 오늘 유화적 입장을 보였죠,
영공을 포함한 중국과는 달라 문제될 것 없다,
그리고 사전 의사소통이 있었다 강조했습니다.
중국, 북한문제 등을 감안할 때 한일간, 한미일간 공조 복원이 그만큼 절실해진 것이죠.
그러나 한일관계 경색의 원인인 그릇된 역사인식과 관련해선 여전히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진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화입니다.
아베정권 출범이후 일본의 우경화와 우리 정부의 강경대응으로 한일 관계가 최악의 상황입니다.
풀 수 있는 해법은 없는 지, 9시뉴스에서 오늘부터 집중 보도합니다.
첫 순서로 한일 관계의 현주소를 짚어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지리적으로 얼마나 가까울까요?
부산에서 대마도까지 49.5km, 국회에서 인천공항까지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를 찾는 관광객중 1/3인 400만 명이 일본인이고, 우리도 한 해 180만 명이 일본을 방문합니다.
이와 반대로 정치 관계는 빙하깁니다.
2011년 이후 두 나라간 정상회담이 중단됐고, 지난 9월 외무장관 회담 결렬이후 관계 개선 노력도 성과가 없습니다.
일본인이 주고객이던 면세점, 요즘은 중국 쇼핑객만 가득한데요,
일본인 관광객이 급격히 줄어들었기때문입니다.
그 이유, 환율도 있지만 악화된 정치관계도 큽니다.
2009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양국 교역량도 지난해 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있죠.
정치 외교 갈등이 민간교류,경제부문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실태를 이해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탄소섬유 분야 세계 1위 기업인 일본 도레이, 새만금 산업단지에 3천 억원을 투입해 신소재 공장을 짓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이영관(도레이 첨단소재 회장) : "새만금처럼 인프라가 완벽하게 갖춰진 곳이 없습니다.그래서 여기서 잘 만들어서 배에 실으면 중국이 다 우리 시장이니까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고"
그러나 동일본 지진 이후 급증했던 일본 기업의 한국 투자는 올들어 주춤한 상황,.
전체 해외 투자는 5.9% 줄어든 반면 한국 투자는 35%나 급감했습니다.
<녹취> 일본기업 관계자 : "정치적으로라든가 국민 감정이 악화된 부분도 있고 엔이 약세를 보이면서 (예전에 비해) 30% 정도를 더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서울 명동 거리, 손님을 부르는 소리는 중국어가 더 많이 들립니다.
<녹취> "들어와서 발라 보세요"
외국인 관광객 수 1위 자리를 지켰던 일본인들이 사상 처음 2위로 내려 앉은 겁니다.
정치,외교 분야의 찬 바람이 경제와 민간 교류로 번졌기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지평(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한일 관계가 악화되고 있으면 기업 내부 결정 구조상 합의 도출을 하는게 꺼리게 되는 그런 심리적인 부담은 있는 것 같습니다"
경제계에선 한일간 정치갈등이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법을 모색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이런 상태에서 일본 정부는 관계 개선을 공개적으로 요청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확대 발표한 방공식별구역에 대해서도 오늘 유화적 입장을 보였죠,
영공을 포함한 중국과는 달라 문제될 것 없다,
그리고 사전 의사소통이 있었다 강조했습니다.
중국, 북한문제 등을 감안할 때 한일간, 한미일간 공조 복원이 그만큼 절실해진 것이죠.
그러나 한일관계 경색의 원인인 그릇된 역사인식과 관련해선 여전히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진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창화입니다.
-
-
정창화 기자 hwa@kbs.co.kr
정창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해연 기자 haeyon@kbs.co.kr
이해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