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구직난…채용 박람회 확산
입력 2013.12.12 (07:39)
수정 2013.12.12 (08: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을 탈출해 남한에 정착한 주민이 2만5천 여명에 이르는데요.
많은 탈북자들이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일자리를 연결해 주기 위한 채용 박람회가 열렸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딸과 함께 북한을 탈출해 지난 2009년 입국한 김모 씨.
정착금은 탈출비용을 갚는데 쓰고 일자리도 없다보니 생계가 막막합니다.
<인터뷰> 김모 씨(탈북자) : " 현실적으로 워낙 차이점이 많아서 잘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정착금도 줬다지만 이미 브로커비로 다주고 빈주머니로......"
민간 연구소인 북한인권정보센터 조사를 보면, 탈북자의 실업률은 20%에 가깝습니다.
그나마도 고용의 질이 낮은 일자리가 대부분입니다.
탈북자들에게 일자리를 연결해주는 채용박람회.
70여 개 업체가 참가했고, 일자리를 찾는 탈북자 천여 명이 몰렸습니다.
그 동안 탈북자를 고용했던 업체에선 신뢰를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구인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나경주((주)비엠씨 과장) : "처음엔 염려를 많이 했었는데, 그분들이 많이 성실하고 근무를 오랫동안 많이 하시고 해서 "
하지만, 단순하게 일자리를 나누기에 앞서, 이들에 대한 편견을 깨는 일은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습니다.
<인터뷰> 윤승일(경기도남북협력담당관 ) : "북한 이탈 주민을 모으는게 힘들었고요. 또 취업하는 업체들 모으는데도 상당히 힘들었습니다."
경기도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탈북자 채용 박람회를 계속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북한을 탈출해 남한에 정착한 주민이 2만5천 여명에 이르는데요.
많은 탈북자들이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일자리를 연결해 주기 위한 채용 박람회가 열렸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딸과 함께 북한을 탈출해 지난 2009년 입국한 김모 씨.
정착금은 탈출비용을 갚는데 쓰고 일자리도 없다보니 생계가 막막합니다.
<인터뷰> 김모 씨(탈북자) : " 현실적으로 워낙 차이점이 많아서 잘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정착금도 줬다지만 이미 브로커비로 다주고 빈주머니로......"
민간 연구소인 북한인권정보센터 조사를 보면, 탈북자의 실업률은 20%에 가깝습니다.
그나마도 고용의 질이 낮은 일자리가 대부분입니다.
탈북자들에게 일자리를 연결해주는 채용박람회.
70여 개 업체가 참가했고, 일자리를 찾는 탈북자 천여 명이 몰렸습니다.
그 동안 탈북자를 고용했던 업체에선 신뢰를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구인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나경주((주)비엠씨 과장) : "처음엔 염려를 많이 했었는데, 그분들이 많이 성실하고 근무를 오랫동안 많이 하시고 해서 "
하지만, 단순하게 일자리를 나누기에 앞서, 이들에 대한 편견을 깨는 일은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습니다.
<인터뷰> 윤승일(경기도남북협력담당관 ) : "북한 이탈 주민을 모으는게 힘들었고요. 또 취업하는 업체들 모으는데도 상당히 힘들었습니다."
경기도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탈북자 채용 박람회를 계속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탈북자 구직난…채용 박람회 확산
-
- 입력 2013-12-12 08:04:07
- 수정2013-12-12 08:12:00

<앵커 멘트>
북한을 탈출해 남한에 정착한 주민이 2만5천 여명에 이르는데요.
많은 탈북자들이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일자리를 연결해 주기 위한 채용 박람회가 열렸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딸과 함께 북한을 탈출해 지난 2009년 입국한 김모 씨.
정착금은 탈출비용을 갚는데 쓰고 일자리도 없다보니 생계가 막막합니다.
<인터뷰> 김모 씨(탈북자) : " 현실적으로 워낙 차이점이 많아서 잘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정착금도 줬다지만 이미 브로커비로 다주고 빈주머니로......"
민간 연구소인 북한인권정보센터 조사를 보면, 탈북자의 실업률은 20%에 가깝습니다.
그나마도 고용의 질이 낮은 일자리가 대부분입니다.
탈북자들에게 일자리를 연결해주는 채용박람회.
70여 개 업체가 참가했고, 일자리를 찾는 탈북자 천여 명이 몰렸습니다.
그 동안 탈북자를 고용했던 업체에선 신뢰를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구인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나경주((주)비엠씨 과장) : "처음엔 염려를 많이 했었는데, 그분들이 많이 성실하고 근무를 오랫동안 많이 하시고 해서 "
하지만, 단순하게 일자리를 나누기에 앞서, 이들에 대한 편견을 깨는 일은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습니다.
<인터뷰> 윤승일(경기도남북협력담당관 ) : "북한 이탈 주민을 모으는게 힘들었고요. 또 취업하는 업체들 모으는데도 상당히 힘들었습니다."
경기도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탈북자 채용 박람회를 계속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북한을 탈출해 남한에 정착한 주민이 2만5천 여명에 이르는데요.
많은 탈북자들이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습니다.
이들에게 일자리를 연결해 주기 위한 채용 박람회가 열렸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딸과 함께 북한을 탈출해 지난 2009년 입국한 김모 씨.
정착금은 탈출비용을 갚는데 쓰고 일자리도 없다보니 생계가 막막합니다.
<인터뷰> 김모 씨(탈북자) : " 현실적으로 워낙 차이점이 많아서 잘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정착금도 줬다지만 이미 브로커비로 다주고 빈주머니로......"
민간 연구소인 북한인권정보센터 조사를 보면, 탈북자의 실업률은 20%에 가깝습니다.
그나마도 고용의 질이 낮은 일자리가 대부분입니다.
탈북자들에게 일자리를 연결해주는 채용박람회.
70여 개 업체가 참가했고, 일자리를 찾는 탈북자 천여 명이 몰렸습니다.
그 동안 탈북자를 고용했던 업체에선 신뢰를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구인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나경주((주)비엠씨 과장) : "처음엔 염려를 많이 했었는데, 그분들이 많이 성실하고 근무를 오랫동안 많이 하시고 해서 "
하지만, 단순하게 일자리를 나누기에 앞서, 이들에 대한 편견을 깨는 일은 우선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았습니다.
<인터뷰> 윤승일(경기도남북협력담당관 ) : "북한 이탈 주민을 모으는게 힘들었고요. 또 취업하는 업체들 모으는데도 상당히 힘들었습니다."
경기도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탈북자 채용 박람회를 계속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
이승훈 기자 hun21@kbs.co.kr
이승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