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온증 등 한랭질환, 집안도 위험

입력 2014.01.12 (07:13) 수정 2014.01.12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며칠째 강한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데요,

강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 한랭질환자가 백 명 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이런 한랭질환이 의외로 집에서 걸리는 경우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가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7살 김모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옷을 겹겹이 껴입고, 손에는 장갑을 낀 채 이미 백골이..."

숨진 지 5년 만에 발견된 김모 할머니.

발견된 장소는 다름 아닌 집안이었습니다.

이번 추위처럼 기온 변화가 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으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113명, 이 가운데 사망자도 10명에 이릅니다.

눈 여겨 볼 점은 한랭질환자의 발생장소, 의외로 길거리에 이어 집이 가장 많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 "난방이 안돼서 전기장판을 깔고 그래도 추워서 옷도 다 입고 자고 그래요"

환자의 60%는 5~60대, 하루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였던 12월 11일부터 16일 사이에 집중됐습니다.

난방비를 아끼려고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정소원(교수/가정의학과) : "노약자는 열을 잘 만들어내지 못해서 추위에 취약하며, 어린이는 체표면적이 넓어서 열손실이 더 큽니다. 35도 아래로 체온 떨어지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인의 적정 실내온도는 20도 안팎,

노약자와 어린이는 25도 안팎에 습도 50%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저소득층 노인과 심혈관질환자는 한파에 취약한 만큼, 주변 이웃과 복지 당국이 한번 더 챙겨봐야 불의의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체온증 등 한랭질환, 집안도 위험
    • 입력 2014-01-12 07:36:34
    • 수정2014-01-12 22:12:46
    일요뉴스타임
<앵커 멘트>

며칠째 강한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데요,

강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 한랭질환자가 백 명 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이런 한랭질환이 의외로 집에서 걸리는 경우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가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7살 김모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옷을 겹겹이 껴입고, 손에는 장갑을 낀 채 이미 백골이..."

숨진 지 5년 만에 발견된 김모 할머니.

발견된 장소는 다름 아닌 집안이었습니다.

이번 추위처럼 기온 변화가 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으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113명, 이 가운데 사망자도 10명에 이릅니다.

눈 여겨 볼 점은 한랭질환자의 발생장소, 의외로 길거리에 이어 집이 가장 많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 "난방이 안돼서 전기장판을 깔고 그래도 추워서 옷도 다 입고 자고 그래요"

환자의 60%는 5~60대, 하루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였던 12월 11일부터 16일 사이에 집중됐습니다.

난방비를 아끼려고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정소원(교수/가정의학과) : "노약자는 열을 잘 만들어내지 못해서 추위에 취약하며, 어린이는 체표면적이 넓어서 열손실이 더 큽니다. 35도 아래로 체온 떨어지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인의 적정 실내온도는 20도 안팎,

노약자와 어린이는 25도 안팎에 습도 50%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저소득층 노인과 심혈관질환자는 한파에 취약한 만큼, 주변 이웃과 복지 당국이 한번 더 챙겨봐야 불의의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