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남한은 구스다운, 북한은 개털 외투 ‘인기’
입력 2014.02.09 (07:23) 수정 2014.02.09 (09:22) 일요뉴스타임
<앵커 멘트>
요즘 한국에서는 방한복으로 거위털이나 오리털 외투가 인기가 많은데요.
북한에서는 군인들이 입는 개털 외투를 최고의 방한복으로 손꼽힌다고 합니다.
김개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중 접경 압록강입니다.
국경을 지키는 북한 병사들은 영하 10도 이상의 강추위와 거세게 몰아치는 바람을 꿋꿋하게 이겨냅니다.
<인터뷰> 북한 병사 : "좋아, 너네 것보다 더 좋아. (하나도 안 추워?) 응. 이보라우, 우리는 모자도 안 쓰고 나온 것."
북한 병사들이 입고 있는 긴 외투가 그 비결입니다.
외투 내피와 목 부분을 개털을 사용해 만들었기 때문에 개털 외투로 불립니다.
북중 접경의 초소 군인들은 긴 개털 외투를 입고 비무장지대 민정 경찰은 점퍼같이 짧은 걸 입습니다.
<인터뷰> 북한 병사 : "300원, 새 것. 이 사람이 내 친구같아. 이 사람이 줄거야. 개털 하나 갖다줘."
개털 외투를 구해달라고 밀거래꾼에게 요청한 지 사흘만에 압록강을 넘어온 개털 외투를 받았습니다.
부드러운 개털을 내피에 사용했고, 목에는 짙은 누런색 털을 썼습니다.
겉감에는 솜을 넣어 보온성을 높였고, 별 문양의 단추가 달려있습니다.
약간 무거운 느낌은 들지만 찬바람은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개털 외투는 외투가 부족해 초소 근무 때 돌아가며 입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마당에서 6만 원 정도에 거래되는데, 생활 수준이 낮은 북한 서민들이 입기에 부담이 큽니다.
단둥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요즘 한국에서는 방한복으로 거위털이나 오리털 외투가 인기가 많은데요.
북한에서는 군인들이 입는 개털 외투를 최고의 방한복으로 손꼽힌다고 합니다.
김개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중 접경 압록강입니다.
국경을 지키는 북한 병사들은 영하 10도 이상의 강추위와 거세게 몰아치는 바람을 꿋꿋하게 이겨냅니다.
<인터뷰> 북한 병사 : "좋아, 너네 것보다 더 좋아. (하나도 안 추워?) 응. 이보라우, 우리는 모자도 안 쓰고 나온 것."
북한 병사들이 입고 있는 긴 외투가 그 비결입니다.
외투 내피와 목 부분을 개털을 사용해 만들었기 때문에 개털 외투로 불립니다.
북중 접경의 초소 군인들은 긴 개털 외투를 입고 비무장지대 민정 경찰은 점퍼같이 짧은 걸 입습니다.
<인터뷰> 북한 병사 : "300원, 새 것. 이 사람이 내 친구같아. 이 사람이 줄거야. 개털 하나 갖다줘."
개털 외투를 구해달라고 밀거래꾼에게 요청한 지 사흘만에 압록강을 넘어온 개털 외투를 받았습니다.
부드러운 개털을 내피에 사용했고, 목에는 짙은 누런색 털을 썼습니다.
겉감에는 솜을 넣어 보온성을 높였고, 별 문양의 단추가 달려있습니다.
약간 무거운 느낌은 들지만 찬바람은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개털 외투는 외투가 부족해 초소 근무 때 돌아가며 입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마당에서 6만 원 정도에 거래되는데, 생활 수준이 낮은 북한 서민들이 입기에 부담이 큽니다.
단둥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 남한은 구스다운, 북한은 개털 외투 ‘인기’
-
- 입력 2014-02-09 07:27:14
- 수정2014-02-09 09:22:12

<앵커 멘트>
요즘 한국에서는 방한복으로 거위털이나 오리털 외투가 인기가 많은데요.
북한에서는 군인들이 입는 개털 외투를 최고의 방한복으로 손꼽힌다고 합니다.
김개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중 접경 압록강입니다.
국경을 지키는 북한 병사들은 영하 10도 이상의 강추위와 거세게 몰아치는 바람을 꿋꿋하게 이겨냅니다.
<인터뷰> 북한 병사 : "좋아, 너네 것보다 더 좋아. (하나도 안 추워?) 응. 이보라우, 우리는 모자도 안 쓰고 나온 것."
북한 병사들이 입고 있는 긴 외투가 그 비결입니다.
외투 내피와 목 부분을 개털을 사용해 만들었기 때문에 개털 외투로 불립니다.
북중 접경의 초소 군인들은 긴 개털 외투를 입고 비무장지대 민정 경찰은 점퍼같이 짧은 걸 입습니다.
<인터뷰> 북한 병사 : "300원, 새 것. 이 사람이 내 친구같아. 이 사람이 줄거야. 개털 하나 갖다줘."
개털 외투를 구해달라고 밀거래꾼에게 요청한 지 사흘만에 압록강을 넘어온 개털 외투를 받았습니다.
부드러운 개털을 내피에 사용했고, 목에는 짙은 누런색 털을 썼습니다.
겉감에는 솜을 넣어 보온성을 높였고, 별 문양의 단추가 달려있습니다.
약간 무거운 느낌은 들지만 찬바람은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개털 외투는 외투가 부족해 초소 근무 때 돌아가며 입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마당에서 6만 원 정도에 거래되는데, 생활 수준이 낮은 북한 서민들이 입기에 부담이 큽니다.
단둥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요즘 한국에서는 방한복으로 거위털이나 오리털 외투가 인기가 많은데요.
북한에서는 군인들이 입는 개털 외투를 최고의 방한복으로 손꼽힌다고 합니다.
김개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중 접경 압록강입니다.
국경을 지키는 북한 병사들은 영하 10도 이상의 강추위와 거세게 몰아치는 바람을 꿋꿋하게 이겨냅니다.
<인터뷰> 북한 병사 : "좋아, 너네 것보다 더 좋아. (하나도 안 추워?) 응. 이보라우, 우리는 모자도 안 쓰고 나온 것."
북한 병사들이 입고 있는 긴 외투가 그 비결입니다.
외투 내피와 목 부분을 개털을 사용해 만들었기 때문에 개털 외투로 불립니다.
북중 접경의 초소 군인들은 긴 개털 외투를 입고 비무장지대 민정 경찰은 점퍼같이 짧은 걸 입습니다.
<인터뷰> 북한 병사 : "300원, 새 것. 이 사람이 내 친구같아. 이 사람이 줄거야. 개털 하나 갖다줘."
개털 외투를 구해달라고 밀거래꾼에게 요청한 지 사흘만에 압록강을 넘어온 개털 외투를 받았습니다.
부드러운 개털을 내피에 사용했고, 목에는 짙은 누런색 털을 썼습니다.
겉감에는 솜을 넣어 보온성을 높였고, 별 문양의 단추가 달려있습니다.
약간 무거운 느낌은 들지만 찬바람은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습니다.
개털 외투는 외투가 부족해 초소 근무 때 돌아가며 입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장마당에서 6만 원 정도에 거래되는데, 생활 수준이 낮은 북한 서민들이 입기에 부담이 큽니다.
단둥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일요뉴스타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개형 기자 thenews@kbs.co.kr
김개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