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경북 ‘비닐하우스’ 피해 커…약한 지지대 원인
입력 2014.02.09 (21:06) 수정 2014.02.09 (22:12) 뉴스 9
<앵커 멘트>
경북 동해안에도 지난 7일부터 50 센티미터가 넘는 눈이 내렸습니다.
평소 폭설 대비가 미흡해 비닐하우스 같은 시설물 피해가 컸습니다.
신선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토마토 재배 비닐 하우스가 눈 무게를 이기지 못해 힘없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폭설에 하우스 지붕이 땅에 닿아 아예 들어갈 수 없을 정돕니다.
<인터뷰> 이수원(폭설 피해 농민): "밤사이에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너무 많은 눈이 내려서 저희가 어떻게 손쓸 여유도 없이...."
포항과 청송 등 경북 지역에서만 이렇게 폭설로 인해 무너져 내린 비닐 하우스는 130동이 넘습니다.
강원 동해안에 비해 눈은 절반 수준만 내렸지만 하우스 붕괴 피해 규모는 10배나 많습니다.
무엇보다 파이프 굵기와 높이 등 폭설에 대비한 규정대로 비닐하우스 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 강원도에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대부분 폭이 좁고, 높이가 낮은 반면, 경북의 비닐하우스는 폭이 넓고 높이가 높습니다.
지붕의 모양도 강원도는 원형이지만 경북은 면적이 넓은 삼각형에 가까워 상대적으로 눈이 쌓이기 쉬운 구조입니다.
<인터뷰> 김윤환(포항시 친환경농정과): "강원도는 아마 눈에 더 비중을 뒀을 것이고 우리 지역은 눈이 강원도 대관령쪽보다 적으니까 눈에 비중을 적게 뒀을 것이고..."
폭설 등 기상이변이 잦아진 현실에서 비닐하우스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강화된 규정 적용과 과감한 시설 투자가 필요한 때입니다.
KBS 뉴스 신선민 입니다.
경북 동해안에도 지난 7일부터 50 센티미터가 넘는 눈이 내렸습니다.
평소 폭설 대비가 미흡해 비닐하우스 같은 시설물 피해가 컸습니다.
신선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토마토 재배 비닐 하우스가 눈 무게를 이기지 못해 힘없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폭설에 하우스 지붕이 땅에 닿아 아예 들어갈 수 없을 정돕니다.
<인터뷰> 이수원(폭설 피해 농민): "밤사이에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너무 많은 눈이 내려서 저희가 어떻게 손쓸 여유도 없이...."
포항과 청송 등 경북 지역에서만 이렇게 폭설로 인해 무너져 내린 비닐 하우스는 130동이 넘습니다.
강원 동해안에 비해 눈은 절반 수준만 내렸지만 하우스 붕괴 피해 규모는 10배나 많습니다.
무엇보다 파이프 굵기와 높이 등 폭설에 대비한 규정대로 비닐하우스 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 강원도에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대부분 폭이 좁고, 높이가 낮은 반면, 경북의 비닐하우스는 폭이 넓고 높이가 높습니다.
지붕의 모양도 강원도는 원형이지만 경북은 면적이 넓은 삼각형에 가까워 상대적으로 눈이 쌓이기 쉬운 구조입니다.
<인터뷰> 김윤환(포항시 친환경농정과): "강원도는 아마 눈에 더 비중을 뒀을 것이고 우리 지역은 눈이 강원도 대관령쪽보다 적으니까 눈에 비중을 적게 뒀을 것이고..."
폭설 등 기상이변이 잦아진 현실에서 비닐하우스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강화된 규정 적용과 과감한 시설 투자가 필요한 때입니다.
KBS 뉴스 신선민 입니다.
- 경북 ‘비닐하우스’ 피해 커…약한 지지대 원인
-
- 입력 2014-02-09 21:08:39
- 수정2014-02-09 22:12:31

<앵커 멘트>
경북 동해안에도 지난 7일부터 50 센티미터가 넘는 눈이 내렸습니다.
평소 폭설 대비가 미흡해 비닐하우스 같은 시설물 피해가 컸습니다.
신선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토마토 재배 비닐 하우스가 눈 무게를 이기지 못해 힘없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폭설에 하우스 지붕이 땅에 닿아 아예 들어갈 수 없을 정돕니다.
<인터뷰> 이수원(폭설 피해 농민): "밤사이에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너무 많은 눈이 내려서 저희가 어떻게 손쓸 여유도 없이...."
포항과 청송 등 경북 지역에서만 이렇게 폭설로 인해 무너져 내린 비닐 하우스는 130동이 넘습니다.
강원 동해안에 비해 눈은 절반 수준만 내렸지만 하우스 붕괴 피해 규모는 10배나 많습니다.
무엇보다 파이프 굵기와 높이 등 폭설에 대비한 규정대로 비닐하우스 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 강원도에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대부분 폭이 좁고, 높이가 낮은 반면, 경북의 비닐하우스는 폭이 넓고 높이가 높습니다.
지붕의 모양도 강원도는 원형이지만 경북은 면적이 넓은 삼각형에 가까워 상대적으로 눈이 쌓이기 쉬운 구조입니다.
<인터뷰> 김윤환(포항시 친환경농정과): "강원도는 아마 눈에 더 비중을 뒀을 것이고 우리 지역은 눈이 강원도 대관령쪽보다 적으니까 눈에 비중을 적게 뒀을 것이고..."
폭설 등 기상이변이 잦아진 현실에서 비닐하우스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강화된 규정 적용과 과감한 시설 투자가 필요한 때입니다.
KBS 뉴스 신선민 입니다.
경북 동해안에도 지난 7일부터 50 센티미터가 넘는 눈이 내렸습니다.
평소 폭설 대비가 미흡해 비닐하우스 같은 시설물 피해가 컸습니다.
신선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토마토 재배 비닐 하우스가 눈 무게를 이기지 못해 힘없이 무너져 내렸습니다.
폭설에 하우스 지붕이 땅에 닿아 아예 들어갈 수 없을 정돕니다.
<인터뷰> 이수원(폭설 피해 농민): "밤사이에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너무 많은 눈이 내려서 저희가 어떻게 손쓸 여유도 없이...."
포항과 청송 등 경북 지역에서만 이렇게 폭설로 인해 무너져 내린 비닐 하우스는 130동이 넘습니다.
강원 동해안에 비해 눈은 절반 수준만 내렸지만 하우스 붕괴 피해 규모는 10배나 많습니다.
무엇보다 파이프 굵기와 높이 등 폭설에 대비한 규정대로 비닐하우스 시설물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 강원도에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대부분 폭이 좁고, 높이가 낮은 반면, 경북의 비닐하우스는 폭이 넓고 높이가 높습니다.
지붕의 모양도 강원도는 원형이지만 경북은 면적이 넓은 삼각형에 가까워 상대적으로 눈이 쌓이기 쉬운 구조입니다.
<인터뷰> 김윤환(포항시 친환경농정과): "강원도는 아마 눈에 더 비중을 뒀을 것이고 우리 지역은 눈이 강원도 대관령쪽보다 적으니까 눈에 비중을 적게 뒀을 것이고..."
폭설 등 기상이변이 잦아진 현실에서 비닐하우스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강화된 규정 적용과 과감한 시설 투자가 필요한 때입니다.
KBS 뉴스 신선민 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